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소비문화의 인터페이스, 쇼윈도우 - 창작과 향유의 매개체로서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 저자명|김상민
  • 학위|박사
  • 졸업연도|2016
  • 담당교수|김형수

주제어

쇼윈도우, 창, 거울, 도시 스크린, 시각문화, 소비사회, 소비자, 감상자, 상호작용, 상품화, 이미지 연출, 의미작용, 시각체험, 환영성, 투명성, 반영성, 자기반영성, 상업성, 예술성, 욕망

국문초록

쇼윈도우는 역사적 변천과 함께 그 인터페이스의 역할 또한 끊임없이 변모해 왔다. 특히 쇼윈도우의 이미지 연출은 등장 초기의 일차원적인 상품의 진열 방식에서 벗어나, 점차 다차원적인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오늘날 쇼윈도우를 통해 펼쳐지는 독창적인 이미지 연출은 ‘생산-소비’의 상업적 개념을 뛰어넘어 ‘창작-향유’의 예술적 개념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쇼윈도우를 장식하는 방법과 내용이 본격적인 시각 예술작품의 수준에까지 이르러 있는 것이다. 실제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있는 유명한 예술가들이 특정 브랜드와의 적극적인 협업을 통해 쇼윈도우를 창작 작품을 발표하는 전시의 장(場)으로 삼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변화와 맞물리면서 21세기 디지털 시대의 쇼윈도우는 도시 문화 속에서 하나의 ‘시각 스크린’으로 새롭게 자리잡고 있다. \r\n 연구자는 오늘날의 소비사회에서 쇼윈도우가 예술 표현의 새로운 장이 될 수 있는지, 또한 그 전시 방식이 기존 예술 제도에 하나의 대안적 방법이 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연구자 본인이 미술가의 입장에서 창작과 이론에 쏟아왔던 그동안의 관심이 자연스럽게 반영되었다. 서구의 시각예술을 중심으로 영화, 건축 등의 이론을 정의하는데 사용되었던 ‘창과 거울’의 개념을 도입하고, 그것을 소비사회의 ‘변형된 창과 거울’의 개념으로 확장시키는 논증 방법을 전개했다. 무엇보다 예술가가 연출한 쇼윈도우의 실증적 사례를 세계적으로 폭넓게 조사해 연구의 분석틀로 삼았다. \r\n 본 연구는 먼저 쇼윈도우의 등장 배경, 사회적, 미학적 변화에 따른 역사적 전개 과정을 개관하고, 그 역사적 변화 속에서 쇼윈도우의 이미지 연출 방식과 소비자의 상호작용에 주목했다. 특히 쇼윈도우의 이미지 연출에서 상업적 영역과 예술적 영역의 혼성에 특별히 논의의 초점을 집중했다. 그리고 본 연구의 핵심 주제인 현대 도시의 시각 스크린으로 자리잡은 쇼윈도우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여기에서는 스크린의 미학적 정의, 도시 스크린으로 진화된 쇼윈도우, 이에 따른 시각 체험의 확장에 대해 논의하고, 오늘날 소비문화 속에서 쇼윈도우를 통해 펼쳐지는 새로운 인터페이스를 ‘변형된 창과 거울’의 개념으로 정리하였다. \r\n 일반적으로 쇼윈도우의 이미지 연출 방식은 비주얼 머천다이징(Visual Merchandising) 분야의 핵심 논제이며, 이에 대한 여러 전략은 다각도로 연구, 분석되고 있다. 따라서 그동안의 쇼윈도우에 대한 연구는 상업적 매개체로서의 기능에 치우쳐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예술적, 사회학적 매개체로서의 분석은 대단히 미흡한 실정이었다. 본 연구는 예술가들이 연출한 쇼윈도우에서 창작 형식과 내용, 그 의미작용, 작품 표현과 소비자/감상자와의 상호작용을 총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오늘날의 예술가들이 쇼윈도우라는 매개체를 통해 예술적 표현 방식을 확장하고 또 다른 차원의 시각 체험을 던질 수 있는 가능성을 열고자 한다. 나아가, 테크놀로지의 발달, 시각문화와 소통방식의 변화와 더불어 끊임없이 확장될 쇼윈도우의 인터페이스에 있어 열린 콘텐츠 구성과 창의적 연출 방법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초록

A ‘show window’ first appeared when Consumerism began in the Western culture at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Since then, it functions as an everyday-landscape and as a form of an urban screen in our contemporary environment of the 21st century. Imagery expression method in a show window display has transformed from a ‘mere display of items’ to a ‘complex, multi-leveled communication method’ that expresses complicated human emotions and/or layers of illusions. In other words, the imagery expression method of a show window has expanded from a commercial concept of ‘production-consumption’ to an artistic conept of ‘creation-appreciation’. From this aspect, one can say that the expression method of images behind a show window display has reached the stage of art. In reality, many visual artists are collaborating with commercial brands to creatively display their art works through a medium of a show window. \r\n This research is to speculate upon possibilities of expanding artistic expression methods through the medium of a show window. It explores the possibilities of whether this can lead to newer creative expression methods as well as alternative ways to display art works for artists. Therefore, this research analyzes selected show window displays created by artists from a perspective of ‘transformed window and mirror’. Since long ago, the concept, ‘window and mirror’ has been used in order to define and analyze the theories behind visual arts, films, and architecture. The analysis framework of ‘transformed window and mirror’ used in this research is a concept similar to the concept of ‘window and mirror’ but altered to correspond with the environment of today’s consumer culture.\r\n Before executing the analyses mentioned above, this research examines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a show window. It also discusses how commercial characteristic is combined with artistic characteristic in show window displays as our social, technical environment has evolved. In addition, in order to speculate upon a show window as an urban screen, discussion in regards to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show window display methods and how it represents today’s consumer culture is thoroughly reviewed.\r\n Today, effective imagery expression method in a show window display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Visual Merchandising and many experiments are being executed from a commercial aspect in order to lure many potential customers. However, not many analyses have been performed from both aesthetic and social point of view. Through this research, one hopes that it can offer an opportunity to artists, of expanding artistic expression methods and creating a whole new level of expanded visual experience. In addition, this research is to open up newer possibilities of creating unique expression methods in the near future where many forms of newer show window displays will develop due to the ever-increasing technology of today.\r\n\r\nKeywords: Show window, Window, Mirror, Urban screen, Visual culture, Consumer culture, Commodification, Image expression, Signification, Visual Experience, Illusionism, Transparency, Reflectivity, Self-refelctivity, Commercial character, Artistic character, Desire

비고 : DVA-1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