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유기적 전체로서의 지가 베르토프의 키노 아이 연구 <무비 카메라를 든 사나이>를 중심으로
  • 저자명|임홍재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5
  • 담당교수|서현석

주제어

지가 베르토프, 키노-아이, 기계적 지각, 모더니즘, 러시아 혁명, 구축주의, 소비에트 영화, 다큐멘터리

국문초록

본 논문은 지가 베르토프(Dziga Vertov. Дави?д А?белевич Ка?уфман)의 영화 <무비 카메라를 든 사나이 Man with Movie Camera. Человек с киноаппаратом>(1929)에 나타난 키노-아이(kino-eye)의 이론과 실천이 지향하는 유기적 전체에 관한 논의이다. 유기적 전체란 카메라에 의해 포착된 이미지들이 단순히 총합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의미 있는 시각적 요소들의 관계를 통해 이루어진 영화의 전체를 의미한다.\r\n\r\n 지가 베르토프의 키노-아이는 영화 역사상 가장 급진적인 영화 만들기의 이론이자 실천으로, 영화 이미지의 시각 주체를 기계, 즉 카메라에 위치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는 소비에트 혁명이라는 시대적인 배경 속에서 일어난 ‘본다는 행위’의 혁명적 전환을 의미하는 것으로, 유물론적 세계관에 의거해 사물의 질서를 파악하기 위한 지각 방식의 변화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그의 영화는 쉽게 파악되지 않는 서사 구조와 분산적 이미지 전개 방식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들은 질 들뢰즈(Gilles Deleuze)에 의해 중요하게 다뤄진 바 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영화 이미지의 비유기적 연쇄가 모순되게도 베르토프의 영화를 유기적 전체로 이끄는 방법론이 된다는 사실을 주장하고자 한다. 즉, 분산적으로 결합된 이미지는 산술적이고 기계적인 결합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미지의 상호 작용을 통해 새로운 의미를 획득하고 또 다른 의미로 도약 가능하다는 것이 본 연구의 주장이다. \r\n\r\n 이를 위해 먼저 제2장에서는 키노-아이라는 기계적 지각이 탄생한 역사적·예술사적 배경을 살펴본다. 이는 20세기 초 총체화된 삶으로서의 기계 문명의 경험이 어떻게 인간의 지각 방식과 예술의 형식을 변화시켜 왔는지에 대한 논의이기도 하다. 특히 러시아 아방가르드인, 구축주의자들은 기계를 소비에트 사회주의 국가의 완성을 위한 동력으로 인식했고, 베르토프의 영화가 지향하는 삶과 예술의 통합, 인간의 기계화 역시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r\n\r\n 제3장에서는 본격적으로 키노-아이의 기계적 지각이 어떻게 영화적으로 구현되었는가에 대해 논의한다. 키노-아이의 실체를 밝혀내기 위해 우선적으로 앙리 베르그손(Henri Louis Bergson)의 유물론적 이미지론을 살펴보아야 하는데, 이는 베르그손이 세계를 객관적 이미지의 체계, 즉 모든 사물들이 서로에게 작용·반작용하는 것으로 인식했고, 또 이러한 사유가 베르토프의 영화에서 매우 직접적인 방식으로 재현되기 때문이다. 기계적 지각의 정확성, 시점의 자율성, 사물의 운동을 강조하는 카메라가 그것이며, 포착된 이미지들은 하나의 서사로 통합되지 않는 이질적이고 분산적인 방식으로 조직되었다. \r\n\r\n 마지막 제4장에서는 이와 같이 기계적 지각에 의해 포착되고 비유기적으로 조직된 영화의 이미지들이 지각의 확대를 이끌어 낼 수 있음을 주장한다. 베르토프 영화의 구조는 기계적으로 결합된 하나의 영화적 총체가 아니며, 오히려 유기체가 그 스스로 부단히 변화하는 것처럼 의미와 해석을 달리해 볼 가능성을 발생시킨다. 실제로 개별적인 이미지들은 전체와의 맥락 속에서 섬세하게 고려되어 편집되었고, 이는 들뢰즈가 말한 “전체(tout)”의 개념과도 일맥상통하는 것이다. 한편 베르토프의 영화가 서사적·형식적 측면에서 열린 전체를 지향하고 있다면, 그의 영화는 고전 서사 영화로 대표되는 영화적 총체에 관한 비판적 사유로서 이해할 수 있다.\r\n\r\n 결과적으로 베르토프의 <무비 카메라를 든 사나이>는 기계와 상호작용하는 인간의 이미지들의 파편적인 결합을 통해 프롤레타리아로서의 책임 의식과 과학적이고 창조적인 혁명사회의 이상을 제시한다. 그것은 사물과 세계로부터 소외받지 않는 인간의 모습이며, 모든 것이 관계 속에서 작용·반작용하는 세계에 대한 믿음이다. 다시 말해, 이질적인 사물의 관계로 구성된 세계에 대한 지각은 베르토프 영화의 본질이자 그의 영화를 유기적 전체로 볼 수 있는 근거이다.

영문초록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and identify the concept of organic whole represented by the theory and practice of Kino-Eye in Dziga Vertov’s film Man with Movie Camera(1929). The organic whole, rather than the sum of the various images captured by the camera, means the overall montage structure which has been made through the linkages of the meaningful visual elements.\r\n\r\nDziga Vertov’s Kino-Eye is the most radical filmmaking theory and practice in the history of film. The concept of Kino-Eye indicates that the subject seeing images is a machine, that is to say a camera. It represents a revolutionary change in terms of ‘seeing,’ which occurred i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Russian Revolution. This change can also be interpreted as a change in perception in terms of understanding the order of things based on a materialistic world view. His film presents dispersive image arrangement pattern that do not allow viewers to easily understand the whole story. It was also mentioned by Gilles Deleuze in Cinema Ⅰ : The movement-image. Howev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sert that such inorganic continuum of film images ironically becomes a methodology that leads Vertov’s film to an organic whole. This study attests that the dispersive combination of images is not only arithmetic and mechanical but also possible to be developed as another concept with different interpretation by interaction of images.\r\n\r\nThis study starts examining the historical, aesthetical background of the birth of Kino-Eye as a mechanical perception in the second chapter. This examination is also to cover how technologies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have changed human perception and aesthetic convention. Especially Russian constructivists perceived machine as a driving force for completion of Soviet socialist nation. The integration of life and art and mechanization of human that Vertov’s film presents can also be comprehended in the same context.\r\n\r\nIn the third chapter, this study covers how Kino-Eye’s mechanical perception is implemented in a cinematic manner. In order to identify Kino-Eye, Henri Louis Bergson’s materialistic image theory is examined prior to this. Bergson perceived the world as a system of objective images - in other words, a system of objects that act and react to each other. This is presented in Vertov’s film in a very direct manner through a camera that emphasizes accuracy of mechanical perception, autonomy of viewpoint, and movement of objects. The captured images are organized in a way that emphasizes their difference. \r\n\r\nThe last chapter asserts that the range of perception can be expanded by film images, captured by mechanical perception and organized by inorganic continuum. The structure of Vertov’s film is not a cinematic whole mechanically combined. It rather creates possibilities for new meanings and interpretations as if an organism changes itself consistently. Individual images are combined delicately in accordance with the whole context. This is in line with the concept of “tout” elucidated by Deleuze. If Vertov’s film interprets the whole as an open concept in terms of narrative and form, it can be interpreted as a critical voice toward the cinematic totality often discovered in classic epic films. This study also covers Jean-Louis Baudry’s dispositif and the introspective aspect of his film as media. \r\n\r\nThis article studies for Vertov's film could be discussed as an organic whole with fragmented images which Kino-Eye captured and organized. The dispersive collection of inter-connective images in Man with Movie Camera suggests the Vertov's vision for a revolutionary society in which human beings are not alienated from the surrounding world and it's materiality.

비고 : MCA-1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