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텅 빈 공간의 매혹 -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의 공간구성을 중심으로 -
  • 저자명|장우진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5
  • 담당교수|이윤영

주제어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이탈리아 영화, 네오리얼리즘, 모더니즘, 텅 빈 공간, 탈프레이밍, 서사구조, 공간구성, 편집

국문초록

본 논문은 지극히 간단하고 단순한 하나의 질문으로부터 시작된다. 텅 빈 공간은 왜 매혹적인가? 영화의 공간을 가장 탁월하게 구성한 감독들 중 하나인 이탈리아의 영화감독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Michelangelo Antonioni 1912-2007)의 작품에는 유독 텅 빈 공간이 자주 등장한다. 그의 영화에 등장하는 텅 빈 공간은 사라짐의 공간이다. 하지만 이 사라짐 또한 결국에는 사라짐으로써 영화 내부에 불확정성이라는 심연을 만들어낸다. 우리가 도저히 파악할 수 없을 것만 같은 이 심연을 바라보는 순간 텅 빈 공간의 매혹은 비로소 시작된다. 안토니오니는 단적으로 말하지 않는 영화, 무언가에 대해서 설명하기를 거부하는 영화를 통해 특유의 스타일을 구축함은 물론, 그 매혹을 오늘날까지 유지하고 있다. 이것은 안토니오니가 오직 이미지의 작업에만 고심하고 몰두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안토니오니의 영화를 해독함에 있어 시각적 요소와 이미지의 해석은 가장 먼저 이루어져야 한다. \r\n 이에 대한 방법론으로 본고는 안토니오니의 영화에 필수적으로 등장하는 텅 빈 공간과 영화의 주요 요소들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안토니오니의 공간구성 방식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안토니오니에게 있어 텅 빈 공간은 단순히 시각적인 요소로만 기능하는 것이 아니라 영화 내부에 불확정성을 불어넣음으로써 영화의 연결과 구성, 나아가 영화 전체의 서사구조에까지 깊게 관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주요하게 살펴보고자 하는 지점은 안토니오니가 영화 내에서 텅 빈 공간을 사용하는 방식이다. 연구 대상으로는 소외 4부작 중 <밤 La Notte>(1961)과 <일식 L'Eclisse>(1962), <붉은 사막 Il Deserto Rosso>(1964), 그리고 비교적 후기영화인 <확대 Blow-Up>(1966)와 <여행자 The Passenger>(1975)를 중점적으로 언급하였다.\r\n 본 논문은 우선 공간 구성의 가장 첫 단계라 할 수 있는 프레이밍에 관한 연구로 시작된다. 안토니오니 영화의 시각적 구성은 기존의 영화들과는 달리‘탈프레이밍’이라는 방식으로 구축되었다. 제2장에서는 이 탈중심적이고 탈언어적인 프레이밍 방식이 화면 내에서 어떻게 텅 빈 공간을 발생시키는지, 또 어떤 식으로 기능하게 만드는지에 대해 살펴본다. 제3장에서는 논의를 보다 확장시켜 화면과 화면 간의 연결에 대해 분석한다. 이 분석은 안토니오니가 화면과 화면, 즉 텅 빈 공간을 연결함에 있어‘잘못된 연결’로써 공간의 연속성과 유기성을 파괴하며 얻어내는 변증법적이고 탈언어적인 효과에 대한 논의이기도 하다. \r\n 마지막으로 제4장에서는 영화 내의 언술 혹은 언술 행위들이 사라짐으로써 영화 전체의 서사구조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앞서 언급한 안토니오니 영화의 구성 방식들─탈프레이밍, 불연속적 편집─은 영화의 서사 진행을 느슨하고 파편적으로 만드는데, 이는 영화를 언어 텍스트로부터 멀어지게 함으로써 불확정성을 불러일으킨다. 이 불확정성은 안토니오니의 영화에서 텅 빈 공간이라는 형태를 동반하고 나타나는데, 중요한 것은 불확정성이 영화 내부에 잠재성과 가능성을 끌어들인다는 점이다. 이는 텅 빈 공간이 안토니오니 영화의 중요한 시각적 구성 요소일 뿐만 아니라, 앞으로 끝없이 형성될 수많은 의미 연결 가능성의 장임을 증명해준다.

영문초록

This study originates from a single simple question: how does beauty of empty space is created in cinematic forms of narration? It often appears in many films of Italian film director Michelangelo Antonioni(Michelangelo Antonioni, 1912-2007), one of the most accomplished directors in terms of spatial composition. The empty space that appears in Antonioni’s films implies vanishment of characters or story information, which then conveys the theme of uncertainty ultimately. The formal and aesthetic refinement that characterizes his films derives from this overriding sense of uncertainty. Antonioni refined cinematic narratology by invigorating the cinematic faculty to treat on-screen and off-screen spaces. This is attributed to his dedication to cinematic images. Therefore, interpretations of visual elements and images in his films are required prior to all other work in order to interpret his films. \r\n To approach this subject methodologically, this study analyzes Antonioni’s cinematic composition techniques of space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ty space that frequently appears in Atonioni’s films and essential elements of film.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empty space does not only function as a visual element but plays a big part in coherency, composition, and narrative structure of his films by putting uncertainty into the whole narratives. Therefore, the emphasis of this study is on the way Antonioni utilizes empty space. This study focuses on La Notte(1961), L'Eclisse(1962), and Il Deserto Rosso(1964), part of a series of four films that he created with the theme of isolation, and Blow-Up(1966) and The Passenger(1975), part of his relatively later works. \r\n This study begins by investigating framing, the so-called first stage of spatial composition. The visual spatial configuration in the films of Antonioni’s is constructed in the form of ‘deframing,’ unlike other conventional films. The second chapter of this study examines how this decentering and deverbalizing framing creates empty space on screen and what type of functions it allows the empty space to perform. The third chapter of this study makes a further study and analyzes the composition of shots and scenes. This analysis gives an understanding of dialectical, deverbalizing effects that Antonioni creates by destroying continuity and systematic nature of space as it is considered to be ‘erroneous composition’ in terms of composing scenes – in other words empty spaces.\r\n The last chapter investigates how the disappearance of visual enunciation in Antonioni’s films influence their narrative structure. The cinematic composition techniques of Antonioni’s mentioned above – deframing and discontinuity editing - make the narratives of the films vague and fragmentary, and that brings uncertainty into the narratives by isolating them from textual representation of the theme. This uncertainty is thus not simply a thematic motif but a formative rendering of an inherent property of cinematic representation of space. In other words, the films become self-reflexive representations of the essence of cinematic potentials. This indicates that empty space is not only a stylistic visual spectacle but a decisive, performative key for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inema and space.

비고 : MCA-1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