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지아장커 초기 영화에 나타난 재현의 정치학
  • 저자명|김희령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6
  • 담당교수|이윤영

주제어

지아장커, 재현의 정치학, 고향삼부곡, 세계, 명료함, 화려함, Jia Zhangke, politics of representation, hometown trilogy, the world, clarity, beauty

국문초록

본논문은 지아장커 초기영화 <소무>에서 <세계>까지에 나타난 재현 방식을 정치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는 연구서다. 중국 영화감독 지아장커는 1988년 첫 장편(<소무>)을 시작으로 현재까지도 활발하게 작품활동을 하고 있으며, 국내에도 비교적 잘 알려져 있는 감독이다. 감독의 초기 작품들은 관습적인 양식을 탈피하여, 현대 중국의 모습을 생동감 있게 꾸밈없이 보여주는 사실주의 영화라는 평을 받는다. 그러나 정작 그의 영화는 즁국에서 단 한편(<세계>)을 제외하고는 모두 검열에 통과되지 못했다. 이러한 중국의 특수한 정치적 상황은 예술계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으며, 중국 영화를 이해하고 분석함에 있어서 간과되어서는 안 되는 부분이다. 지아장커의 영화에 나타난 재현의 정치학을 살펴보기 위해 먼저 2장에서는 중국의 재현의 정치학을 분석한다. 검열의 배타성, 선전 영화, 그리고 여러 학자들의 주장을 바탕으로 중국의 이데올로기적 재현 방식을 ‘명료함’과 ’화려함’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당연하게도 이 두가지만을 중국의 전통적인 이데올로기재현 방식이라고 규정 지을 수는 없다. 그러나 이 두가지는 인민의 교화를 목적으로 하는 선전물에서는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양상으로, 지아장커 초기 영화에서 이 두 방식이 배제되거나 거부된다고 본다. 이어서 3장과 4장에서는지아장커 초기 영화에 ‘명로한 것’과 ‘화려한 것’을 배제함으로서 나타나는 재현 방식을 직접적인 영화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고향삼부곡’인 <소무>, <플랫폼>, 그리고 <임소요>에 나타나는 재현의 정치학은 비교적 탈이데올로기적이다. 반면, 그의 네 번째작품 <세계>는 체제 안에서 제작된 작품으로 앞선 작품들과 비교해서 분석한다.

영문초록

This paper analyses the mode of representation in the early films of Jia Zhangke? from Xiao Wu (1997) to The World (2004) ?from a political perspective. Jia Zhangke is a Chinese filmmaker and screenwriter whose oeuvre is considered to have radically transformed the contemporary film scene in China with an unconventional approach. His films are known for their Realism due to their ability to vividly capture and represent the contemporary China. However, all of his films but one, The World, did not pass the censorship in China. Such political situation specific to China has greatly influenced the art world, which should not be overlooked in the analysis of Chinese cinema. In chapter 2, I investigate the Chinese politics of representation to evaluate political factors that Jia’s film achieves through his cinematic language, editing, and miss en scen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exclusivity of censorship, propaganda film, and theoretical argument on Jia Zhangke’s films, this study proposes that the China’s ideological mode of representation is in pursuit of ‘clarity’ and ‘beauty.’ It may not suffice to define the predominant mode of representation in China with only those two factors. However, clarity and beauty are shared features in propaganda materials that are set to enlighten the people, and Jia Zhangke distances himself from that idea of representation. In chapter 3 and 4, I examine his mode of representation which excludes ‘clarity’ and ‘beauty’, through an in-depth analysis of Jia’s cinematic languages. I read three of his early films, Xia Wu, Platform, and Unkown Pleasure, as being oppositional to the prevalent ideology of representation. On the other hand, his fourth film The World will be studied in comparison to earlier films in that it is somewhat conforming to the system.

비고 : MCA-1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