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시점 쇼트의 영화 공간 확장 연구
  • 저자명|이형석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5
  • 담당교수|서현석

주제어

영화 서술. 영화 공간, 시점 쇼트, 쇼트/역쇼트, 헐리우드 고전 영화, 비가시 영역

국문초록

본 논문은 영화 공간을 대상화하는 1차적인 시지각적 체험의 기계장치인 카메라가 ‘시점(point-of-view)’을 내포한 상태에서 내러티브 공간을 어떠한 방식으로 재현하는가에 대한 연구서이다. 쿨레쇼프 효과에서 에이젠쉬타인의 몽타주 이론까지 기존의 내러티브 공간 절합에 관한 많은 연구는 주로 쇼트의 연결에 근거하여 논의되어 왔다. 이러한 이론은 대부분 원근법적 체계 내에서 고정된 카메라에 의해 집약된 쇼트의 분할로 구축되는 영화 공간 그 자체에 주목하였다. 프레임 내부의 세계를 중립적인 시점들인 쇼트/역쇼트로 절합한 고전 영화(1930년대 이후)는 점차 내러티브 공간의 인지 범위를 내적 관점의 쇼트로 확장하는 방식을 선택하게 된다. 이렇듯 카메라는 지각적 주관성을 내포한 시점 쇼트(point-of-view shot)로 내러티브 공간을 강력하게 봉합하는 질료로서 작동하게 된다. 이처럼 시점 쇼트를 구축하기 위해 카메라는 프레이밍된 쇼트 혹은 쇼트의 연속체에서 화면 영역을 ‘부분’이 아닌 ‘전체’의 공간장으로 재프레이밍 하려는 기제를 드러낸다. 이는 프레임이라는 한정된 영역을 끊임없이 재점유하는 카메라의 운동성에 기인한다. 따라서 시점 쇼트는 마스터 쇼트, 설정 쇼트, 기점으로서의 쇼트, 쇼트/역쇼트 등의 관계망을 재위치시키는 중요한 매개변수로 연구되어져야 한다. \r\n카메라는 서사 체계에서 규정하는 화자(narrator)와 다른 방식으로 영화 공간을 발화할 수 있다. 그 결과로서 프레이밍된 영화 공간의 다양한 쇼트들 중에서도 시점 쇼트에 관한 연구는 결국 쇼트의 질료를 구성하는 카메라 양식에부터 출발해야 한다.\r\n따라서 카메라 양식과 결합한 시점 쇼트의 예로 트래블링 쇼트와 파노라마 쇼트를 고찰해 본다. 그리고 이러한 카메라 양식의 이해를 토대로 시지각의 자율성이 내재된 카메라가 시야 심도로 내러티브 공간을 탈구획함으로써 헐리우드 고전 영화의 특징인 ‘대칭성’이 시점 쇼트 안에 스스로 작동하는 방식들을 살펴본다. 그 밖에 주관적 청점이 내러티브 공간의 인지 범위를 비가시적인 영역으로 추동하는 음향 요소의 특징도 간략하게 다루고, 마지막으로 시점 쇼트가 잉여의 쇼트를 절합하여 화면 영역을 비가시 영역의 공간장까지 확장할 수 있다는 논의를 한다.\r\n이와 같이 능동적이면서 자율적인 시지각의 기계장치인 카메라로 재현되는 내러티브 공간에 내재된 시점 쇼트는 비가시 영역에 대한 ‘강력한’ 단서를 제공하는 속성을 지닌 비결정화된 쇼트의 확장 언어로 볼 수 있다.

영문초록

This thesis is a study on how the camera, the apparatus that objectifies the cinematic space into two-dimensional visual perception, reenacts the narrative space containing the 'point-of-view'. Numerous studies on spatial articulation, as early as Kuleshov's workshops on point-of-view shots and Eisenstein's theory of montage, have been proposed mainly based on articulation of individuated shots. These theories focused on cinematic space itself, established by division of shots by fixed cameras within the perspectival system. Classical films(since the 1930's), which articulated neutral perspective within the frame by utilizing shots and reverse shots, chose to expand its cognitive range of narrative space into shots of internal perspective. Thus camera came to act as a vehicle to bond point-of-view shots involving perceptual subjectivity with the narrative space. In order to establish point-of-view shots, the camera reveals its mechanism to reframe the display area of framed shot or continuum of shot from 'partial' to 'whole' field. This is due to the motility that allows the camera to continuously reoccupy within the limited area of the frame. Therefore, point-of-view shot should be studied as an important parameter which reorganizes the relations among master shot, set-up shot, starting point of the shot, shot/reverse-shots and so on.\r\nCamera can activate the cinematic space in different ways compared to narrators in narrative system. As a result, amongst various framed shots in cinematic space, the study of point-of-view shot should begin from the style of camera that constitutes the substance of shots. Therefore, travelling shot and panorama shot are studied as examples of shots bonded with style of camera.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se styles, my argument concerns how a camera that inheres perceptual autonomy secures the 'symmetry' on its own in classical Hollywood cinema by dislocating narrative space in depth of field. Also, there will be a brief discuss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auditory factors that drives spatial cognitive range from subjective point-of-audition to non-visible area. The last discussion will be about how point-of-view shot can expand the visible range to the non-visible field by articulation of surplus shot.\r\nThus the point-of-view shot within the narrative space reenacted by the camera, a proactive and autonomous machine of visual perception, can be viewed as an expanded language of 'de-crystallized' shots that provide 'powerful' clues regarding non-visible area.

비고 : MCA-1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