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다큐멘터리 영화에서 이미지와 말의 대위법적 구성 : 크리스 마커의 영화를 중심으로
  • 저자명|신은희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6
  • 담당교수|이윤영

주제어

크리스 마커, 다큐멘터리, 에세이 영화, 보이스 오버 나레이션, 대위법, 주관성, 진실, 직관, Chris Marker, documentary, essay film, voice over narration, counterpoint, subjectivity, truth, intuition

국문초록

o 영화에서 이미지와 말이 병치될 때 어떤 가능성을 보여 줄 수 있을까? 전통적인 다큐멘터리에서 이미지와 나레이션은 사실로 믿어지는 환영성이 있고, 나레이션은 이미지의 의미를 고정시킨다. 크리스 마커 영화의 이미지와 나레이션 사이에는 간극이 있다. 이러한 간극은 이미지와 나레이션이 의도된 의미와 연결되는 것을 어긋나게 하며, 다른 차원의 시공간을 경험하는 듯한 모호한 느낌을 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간극을 만드는 크리스 마커 영화의 이미지와 말의 관계를 탐구하고자 한다. 특히 나레이션의 역할을 조명하면서 다큐멘터리 영화에서 이미지와 나레이션의 관계로 논의를 이어가고자 한다. 나레이션은 화면 밖 공간에 위치하며 이미지를 서술하는 목소리일 뿐 아니라 언어(음성언어)이기도 하다. 연구자는 언어로서 마커 작품의 나레이션의 특징을 다음의 세 가지로 파악하였다. 첫째, 마커 영화의 나레이션은 철학적이다. 철학의 언어가 메타언어(언어에 대한 언어)이듯이, 마커는 나레이션으로 나레이션의 객관성의 문제를 제기한다. 둘째, 마커 영화의 나레이션은 문학적이다. 작가의 체험과 주관적 느낌을 다루는 문학의 언어처럼 마커는 나레이션으로 주관성을 표현한다. 셋째, 마커 영화의 나레이션은 기억과 관련된다. 외부의 세계(이미지)는 내면의 주관적 의식(언어)로 표현되듯이, 이미지와 나레이션은 기억을 형상화한다. \r\n다음으로 크리스 마커 영화에서 이미지와 말의 관계를 대위법이라는 개념으로 보여주고자 한다. 대위법은 음악의 작곡기법으로 둘 이상의 독립적인 멜로디(선율)을 결합하고, 각각의 성부(파트)가 다 자기 중요성을 갖고 움직이게 한다. 영화에서 대위법은 에이젠슈테인의 수직적 몽타주 등 주로 이미지와 사운드의 관계로 논의되어 왔다. 대위법은 사운드와 이미지의 불일치와 시적, 이데올로기적 병치 등으로 영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는 형식이다. 크리스 마커 영화에서 이미지와 나레이션은 병치되어 새로운 대상을 창출한다. 크리스 마커는 사람들이 이미 알고 있는 대상을 다루지 않고, 대상을 직관적으로 이해해서 그 대상의 의미를 새로 만들어낸다. 대위법은 이러한 세계를 만들기 위한 방법이다. \r\n다큐멘터리 영화에서 이미지와 나레이션의 관계는 진실의 문제와 관련된다. 다큐멘터리 영화의 진실에 대한 논의를 존 그리어슨의 영국 다큐멘터리 운동과 시네마-베리테를 통해 파악한다. 그리고 사유를 펼칠 수 있는 나레이션의 가능성을 ‘에세이 영화’ 등의 논의를 통해 탐색한다. 이미지와 말의 대위법적 구성을 크리스 마커의 다섯 작품 <북녘 사람들>(1959), <환송대>(1962), <시베리아에서 온 편지>(1958), <태양 없이>(1982), <5단계>(1996)를 통해 다룬다. 사진과 글로 구성된 사진집인 <북녘 사람들>과 유일한 극영화이자 스틸 영화인 <환송대>를 살펴본다. 그리고 다큐멘터리 영화 세 편을 각각 편지형식과 영화의 객관성 논의를 중심으로 <시베리아에서 온 편지>를, 정지화면과 기억을 중심으로 <태양 없이>를, 죽음과 기억의 모호성을 중심으로 <5단계>를 다루고자 한다.

영문초록

o What possibilities could be drawn from the juxtaposition of image and speech? In traditional documentaries, image and voice-over narration lay a certain illusionist effect that make the content seem truthful, and the voice-over narration fixates what the image means. Chris Marker’s films, however, have a gap between the image and voice-over narration. This gap keeps astray the connection of the image and the narration, giving a sense of ambiguity as if the audience experiences space and time in another dimension.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of image and narration which creates that gap. Especially, it sheds light on the role of voice-over narration, which will be followed by the discussion on the relation of image and narration. Voice-over commentary, located off-screen, is not only a voice that narrates the image, but also a spoken language. This study mainly characterizes the features of the Marker’s commentary into the following: A) The philosophical nature of Marker’s narration; As the language of philosophy is a meta-language, he poses the problem of objectivity of the narration. B) The literary nature of the voice-over narration; Resembling the literary language through which a writer deals with his or her own experience and subjective senses, Marker expresses his subjectivity. Lastly, Marker’s narration involves the matter of memory. As the external world(image) is represented into the internal, subjective consciousness(language), image and narration embody the memories. \r\nNext,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particular relationship of image and commentary using the concept of counterpoint. Counterpoint is a composing technique which combines 2 or more independent melodies with equal significance of each part. In film, counterpoint has been discussed in regards to the relations of image and sound in cases such as Eisenstein’s “vertical montage.” Counterpoint can generate new possibilities of film through its inconsistency of sound and image and poetic, ideological juxtapositions. In Chris Marker’s films, images and narration are juxtaposed in a way that creates new object. Instead of dealing with already well-known objects, Marker intuitively understands the object to make new meaning of it. Counterpoint is used to construct such world. \r\nIn documentary films, the relations of images and voice-over narration are associated with the matter of truth. The discussion on truth in documentaries will be covered through the John Grierson’s British documentary film movement and cinéma vérité movement. This study will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the voice-over narration through discussions on the essay film. The contrapuntal composition of images and languages will be argued focusing on 5 of Marker’s works including (1959), (1962), (1958), (1982), and (1996). First, the photo essay and , the only fiction film of Marker mostly composed of still photography, will be examined. Then, Marker’s 3 documentaries will be investigated with specific focuses on each film. While will be covered in terms of its form of letter and its objectivity, discussions on freeze frames and memories will be the focus of . Lastly, with the film , this paper will center on the theme of death and the ambiguity of memories.

비고 : MCA-1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