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네오 누아르(neo-noir)에 나타난 실존주의적 양상에 관한 연구: 로버트 알트만Robert Altman의 <기나긴 이별The Long Goodbye>(1973)을 중심으로
  • 저자명|권민정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0
  • 담당교수|이상길

주제어

네오 누아르, 누아르, 실존주의, 로버트 알트만, 기나긴 이별/ neo-noir, noir, existentialism, Robert Altman, The Long Goodbye

국문초록

필름 누아르의 실존주의적 양상은 그것이 위치한 시대적 분위기와 다양한 문화적 배경, 영화계의 상황과 특히 할리우드의 제작 시스템, 그리고 관객들의 성향과 기대 속에서 생성되고 강화된 것이었다. 그러므로 필름 누아르에 있어 실존주의적 테마와 요소들은 매우 중요한 특성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네오 누아르는 클래식 누아르와 시기적으로 다를 뿐 아니라, 장르에 대한 자의식과 자기 반영성을 가지고 필름 누아르에 대한 새로운 정의와 해석을 시도한 장르의 변화였다. 로버트 알트만의 <기나긴 이별>(1973)은 이러한 네오 누아르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다. 영화에서 필름 누아르 세계의 실존주의적 양상은 더욱 심화되며, 이에 따라 개인이 마주하는 실존주의적 양상은 더욱 심화된다. 부조리하고 우연한 세계에서 인물들은 더욱 혼란을 겪으며 목적과 방향을 잃는다. 그리고 네오 누아르의 끊임없이 움직이는 카메라와 분산적 시선, 에피소드적 플롯과 제한된 정보, 열린 결말 등은 이러한 실존주의적 양상과 세계를 다양한 표현 양식과 서술 방식을 통해 그리고 일깨운다. 또 관객들이 능동적으로 영화를 해석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또 관객들의 영화 관람의 과정 자체가 실존주의적 상황을 경험하는 과정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네오 누아르가 보여주는 이러한 실존주의적 양상의 변화는 고도로 발전하고 분화된 현대 사회라는 맥락과 그 속의 인간 조건이 반영된 결과이자, 필름 누아르라는 장르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의식을 보여주는 변화기도 했다. 이러한 장르에 대한 자의식은 필름 누아르의 반복적인 관습을 공유하면서 새로운 해석과 변화를 적용할 수 있는 작가주의와도 연관될 수 있음을 보았다. 네오 누아르를 중심으로 살펴 본 필름 누아르의 실존주의적 양상은 그것이 필름 누아르의 이해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지만, 이에 대한 새로운 관점과 해석이 이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더불어 철학이나 특정한 철학적 개념이 영화에서 어떻게 구체적인 표현을 얻고 재현될 수 있으며, 내용과 형식이 어떻게 상호작용할 수 있는가를 볼 수 있었다.  

영문초록

Existential aspects of film noir were generated and reinforced in American zeitgeist, various cultural cinematic backgounds, Hollywood production system, and audiences's feedback. Through various narrative strategies and visual style, film noir could exhibit and convey its existential aspects effectively. Thus, existential theme and mood are very important features of film noir. Neo-noir is distinguishable from classic noir not by its period but also by its new features. Then, it should be taken as a new, varied film noir. It shows the self-consciousness and the self-reflexivity to film noir, and tries to redefine and reconstruct the noir genre. This thesis takes Robert Altman's as a neo-noir canon. As the world of neo-noir is more incomprehensible and more inhuman, existential aspects that the individual confronts are deeper. Protagonists suffer the despair and lost the direction and the meaning of life in the world of absurdity and contingency. Neo-noir has supported and strengthened its existential themes with various narrative, representational and cinematic strategies like constantly mobile camera, distracted focus, episodic plot, limited information about events, open ending. These modes encourage spectators to interpret the film so that they can experience existential themes or situations through the film. This study shows that the change of the existential world of noir reflects the human condition of the modern universe that is extremely developed and divided and that it also represents the critical approach to film noir genre. Neo-noir, the self-conscious products shares the conventions of classic noir, but it also has connection with auteurism that gives the director the authority to invent new convention. Existential aspects are crucial to film noir, but it can be changed in the process of genre development. And this study has shown the way of interactions between cinematic modes and philosophical concepts.

비고 : MVC-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