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모바일 영상통화 서비스의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저자명|한민형
  • 학위|박사
  • 졸업연도|2011
  • 담당교수|이상길

주제어

모바일 영상통화, 기술수용모델, 혁신확산이론, 지속적 이용의도/ mobile video calling,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Innovation Diffusion Theory, Continuance Use Intention

국문초록

본 논문은 3G 이동통신에서의 모바일 영상통화 서비스의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들을 개발하고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몇 년 전 해외 이동통신사들이 스마트폰을 기반으로 하는 모바일 인터넷을 육성하고 있을 당시 국내 이동통신사들은 ‘보는 전화’가 3G 이동통신의 핵심이라는 논리로 마케팅을 펼치기 시작하였다. 하지만 모바일 영상통화 서비스의 실적은 현재까지도 매우 저조한 실정이며 어떤 요인들이 3G 휴대전화 이용자로 하여금 모바일 영상통화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이용하게 할 의도를 가지게 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문제를 다음의 네 가지로 설정하고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도출된 가설을 수립하고 검증하였다. [연구문제 1] 이용자들이 느끼는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연구문제 2] 이용자들이 지각하는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연구문제 3] 이용자들이 지각하는 이용 용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연구문제 4] 이용자들의 지속적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상기 연구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이론적 논의를 위하여 일련의 기술수용모델들과 혁신확산이론 그리고 지속적 이용의도에 관한 이론들을 검토하였다. 이 같은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수도권지역의 대학생들 13명을 심층 인터뷰 하였고, 여러 이론들과 심층 인터뷰 결과를 바탕으로 13가지의 구체적인 가설을 수립하기 이르렀다. 최종적으로 3G 휴대전화 이용자 153명을 대상으로 한 이용실험과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r\n\r\n첫째, 서비스 품질이 높을수록 그리고 이용자들이 지각하는 유용성이 높을수록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비스 품질이 높을수록 그리고 이용자들이 지각하는 유희성이 높을수록 이용자들이 지각하는 유용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용자들의 혁신성향이나 모바일 영상통화 서비스에 대해 지각하는 적합성 등은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유희성, 혁신성 그리고 적합성 모두 이용자들이 모바일 영상통화 서비스에 대하여 지각하는 이용 용이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설을 세웠지만 세 가지 변인 모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지 못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넷째, 이용자들이 느끼는 만족도가 높을수록, 지각하는 유용성이 클수록 그리고 지각하는 유희성이 클수록 이용자들이 느끼는 모바일 영상통화 서비스의 지속적 이용의도는 큰 것으로 나타났지만 여전히 이용 용이성은 지속적 의도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지 못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r\n\r\n이를 종합하면 본 연구를 통하여 기존의 업무용 정보기술의 수용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알려져 왔던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이용 용이성 가운데 지각된 유용성의 영향력은 여전히 큰 것으로 나타난 반면 지각된 이용 용이성과 관련해서는 모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지각된 유희성이 모바일 영상통화 서비스의 지속적 이용의도에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변인으로 새롭게 추가되었다. 이는 휴대 중에 번거로움 없이 이용할 수 있는 모바일 서비스의 특성을 반영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통하여 설정한 연구문제와 가설들을 검증하였고 대부분은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동일하게 채택되었다. 하지만 이용자들의 혁신성향과 해당 서비스에 대한 적합성 여부는 최초 수용의도에 관한 연구에서와는 달리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기존의 업무용 정보기술의 수용요인과 모바일 서비스의 수용요인은 많이 다르다는 것으로 알 수 있어 애플의 페이스타임(FaceTime)이나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의 수용연구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것이다.

영문초록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d empirically test a theoretical model of the determinants of continuance use intention towards mobile video calling on 3G networks. When foreign mobile network operators focused on the sales of mobile broadband, Korean operators implemented marketing strategies for 'video calling' as the killer application of 3G network systems. However, a recent record shows that Korean cell phone users barely use the mobile video calling service on 3G networks. Therefore, there needs to be examined what determinants have effects on users' continuance use intention toward mobile video calling. Based on these objectives, key questions guiding this research include: (1) What are the major factors that affect cell phone user's satisfaction? (2) What are the major variables that affect cell phone user's perceived usefulness. (3) What are the major variables that affect cell phone user's perceived ease of use? (4) What are the major variables that affect cell phone user's continuance use intention? To resolve these research questions, this research reviewed a series of Technology Acceptance Models, Innovation Diffusion Theory, and theories of Continuance Use Intention. To discover the factors that may affect the continuance use intention towards mobile video calling,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college students in Metropolitan Seoul Area. At the same time to investigate such subject of study, 13 specific hypotheses were constructed from the above theories and the findings from the in-depth interview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erived from the surveys that were conducted with 153 college students. First, the higher the service quality of mobile video calling and the greater the usefulness a user perceives, the greater the level of user satisfaction. Second, the higher the service quality of mobile video calling and the greater enjoyment a user perceives, the greater the level of perceived usefulness. However, neither innovativeness nor compatibility showed a remarkable influence on the perceived usefulness. Third, although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perceived enjoyment, user's innovativeness and the level of compatibility all may have influences on the user's perceived ease of use, none of these three factors had a remarkable influence at all. Finally, the greater level of satisfaction and the greater the level of usefulness and enjoyment a user perceives, the greater level of continuance use intention toward mobile video cal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factors that were known to be influential in the traditional technology acceptance are different from those in the mobile service such as mobile video calling. For example, the perceived usefulness was strongly supported in this research as well as the other previous researches; however, the links between the perceived ease of use and other factors were not supported by empirical analysis. At the same time, perceived enjoyment was added as the most influential determinant of users' continuance use intention toward mobile video calling. Although all the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were carefully reviewed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personal innovativeness and the level of compatibility did not show any remarkable influence on their dependent variables. This research may contribute to the future research on the adoption of Apple's new FaceTime as well as other smartphone applications.

비고 : PVC-1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