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한국의 비디오 문화 형성 과정에 대한 연구: VCR 수용자의 가정 내 영화 소비를 중심으로
  • 저자명|김신식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1
  • 담당교수|이상길

주제어

비디오, 비디오 문화, 비디오 대여점, 영화, 영화 대여, 영화 소장

국문초록

이 논문은 한국의 비디오 문화 형성 과정을 VCR 의 도입과 초기 수용 과정, 영화 대여의 제도화와 비디오 대여점을 통한 '비디오 보기'의 일상화, 영화 '읽기'와 영화 '갖기'라는 새로운 영화 문화의 세 가지 차원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VCR로 영화를 보던 가정 내 역사적 경험이 갖는 함의를 담아내고자 했다. 특히 본 연구는 VCR이 도입되면서 생긴 다양한 현상 중 영화 대여와 영화 소장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통해 VCR의 수용자의 영화 경험 속에서 인식되는 영화의 의미에 대해 고찰하였다.\r\n\r\nVCR의 도입과 수용과정을 살펴본 3장에서는 비디오를 둘러싼 이중적 인식에 주목했다. 이것은 '우수한' 하드웨어인 VCR 생산과 '열등한' 소프트웨어인 불법 영화테이프 소비라는 구도가 만들어지면서 나타나는 생산과 수용의 괴리로 요약될 수 있다. 이는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기도 했지만 한편으로 당시 대중이 위법적인 체험을 통해서라고 추구하고 싶은, 영화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이 논의와 더불어 1988년 올림픽 개최를 통한 VCR 구매의 증가에 주목하고 이를 가정 내 영화 수용 환경이 조성되어 가는 시기라고 규정하였다.\r\n\r\n4장에서는 VCR로 영화를 보는 가정 내 일상의 모습을 영화 대여 행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비디오대여점의 등장과 영화테이프라는 상품의 속성, VCR 수용자와 비디오 대여점주가 맺어가는 관계 안에서 '신뢰'라는 정서는 영화 대여에 중요한 측면으로 작용하였다. 이런 가운데 영화 대여에서 감안되는 시네마와의 관계는 극장 개봉작 중심의 영화 대여 현상을 만들었다. 아울러 비디오용으로만 출시된 영화인 '비디오 영화', 극장 흥행에는 실패했지만 비디오 보기를 통해 주목을 받은 영화 소비도 생겨났다.\r\n\r\n5장에서는 영화 소장을 중심으로 VCR을 통해 전문적이 영화 수용을 꾀했던 이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1990년대 영화의 대중적 열기에 비디오 보기가 중심에 있었으며, 영화에 지식을 투여하는 이들은 영화테이프 소장 등의 방식으로 열의를 보였다는 것, 이와 같은 영화 수용자들의 태도는 전문적인 비디오 대여점의 출현을 비롯한 각종 영상 모임의 등장과 연계되었다는 것을 검토하였다.\r\n\r\n결론 부분에서는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비디오 문화의 지속성을 설명하고자 했다. 이 논의 안에는 영화의 서적화와 영화 경험의 개인화, 그리고 '행위'에 중점을 두는 영화 경험이라는 부분이 영화 테크놀로지의 발전을 통해 강조된다는 것을 명시하였다. 그리고 이런 맥락을 통해 시네마의 가치는 시네마 이후의 영화 테크놀로지와 늘 연계되어 왔음을 주장했다.

영문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formation process of video culture in Korea into three dimensions of new film culture including VCR introduction, initial consumption, systemization of film rental and institutionalization of 'video watching' through a video rental store, film 'ownership' and film 'reading'. This study is intended to imply historical experience of watching a film at home using VCR. This study, particularly, investigated the signification of film perceived by the VCR consumer's film experience by focusing on film rental and film ownership.\r\n\r\nChapter 3, which examined introduction and consumption process of VCR, emphasized double perception on video. This can be summarized into a disjunction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which appears as the outline between production of VCR, the 'superior' hardware, and consumption of an illegal film tape, the 'inferior' software is structured. It used to be a main issue of society but, in the meantime, it was showing the high interests of the public over a film though it was against the law. With this discussion, the study turned its eyes on the increase of VCR consumption during 1988 Seoul Olympics and defined it as the period of environmental development for home film consumption.\r\n\r\nIn Chapter 4, ordinal features of a house that watches a film by BCR were reviewed centering around film rental behaviors. In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relations between the emergence of a video rental store and an attribute of the product, namely, a film tape, and a VCR consumer and the owner of the video rental store, the emotion 'credibility' played an important role. During the process, the relation between film rental and a cinema created new phenomena. The cinema-released film appealed to consumers most strongly, while there was consumption of not only a 'video film' for home video but also a film appealed by means of 'vide watching' despite it made a box-office failure.\r\n\r\nChapter 5 considered those who attempted film consumption by VCR based on film collection. It was applied to review that video watching was in the center of the public fever of film in the 1990s, those who invested their knowledge into film displayed their passion by collecting film tapes, and the attitudes of film consumers had connection with emergence of a professional video rental store and other image-related meetings.\r\n\r\nThe conclusion tried to explain the continuity of video culture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 The discussion specified publication of film, personalization of film experience, and 'behavior' centered film experience are emphasized through development of film technology. It also asserted the value of cinema and film technology after cinema in the context, always have been linked with each other.

비고 : MVC-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