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신자유주의 한국사회에서 심리/치료 담론의 문화정치적 함의: 텔레비전의 심리/치료 담론을 중심으로
  • 저자명|류지윤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2
  • 담당교수|이상길

주제어

심리/치료 담론, 텔레비전, 신자유주의, 통치성, 상징적 통치기술, 상징폭력, 자기의 테크놀로지, 치료윤리, 치료적 자아/ psy/therapy discourse, television, neo-liberalism, governmentality

국문초록

이 연구는 2000년대 한국 텔레비전에서 생산된 심리/치료 담론을 '신자유주의 시대의 상징적 통치기술'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했다. 심리/치료 담론이란 인간의 심리 즉 '마음의 작용과 의식의 상태'에 대한 지식 –심리학, 정신분석학, 심리 치료학 등- 을 생성시킴으로써 인간의 정신질환이나 내면세계에 관한 설명을 산출해내는 언표들과 규칙들의 집합체를 가리킨다. 심리/치료 담론은 2000년대 이후 한국사회에서 급속도로 확산되었는데, 이 연구는 지상파 3사 방송국에서 2000년부터 2011년 8월까지 방영된 텔레비전 텍스트를 비판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현상의 문화정치적 함의를 알아보았다. \r\n\r\n먼저 텔레비전 심리/치료 담론의 상징적 통치기술을 살펴보기 위해 심리/치료 담론을 하나의 지적, 실천적 통치 테크놀로지로 보고 텔레비전을 하나의 '담론 생산의 장'으로 설정하는 이론적 작업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소재를 선별하고 특정한 담론을 대량으로 유포시키는 텔레비전은 신자유주의적 통치 질서에 조응하는 심리/치료 담론을 수용자에게 구조화시켜 전달하며, 거기서 제시되는 기준들을 모두가 따라야 할 규범으로 자리잡게 하는데 일조한다. 그리고 '매개된 중심의 신화'에 젖어있는 수용자들은 전문가에 대한 믿음을 바탕으로 텔레비전 심리/치료 담론을 하나의 삶의 규범으로 내면화시킨다. 또한 텔레비전의 심리/치료 담론은 '관찰-진단-처방'이라는 내러티브 전략을 갖고 있었는데, 이것은 각각 가시화시키는 권력, 규범화하는 권력 그리고 자기의 테크놀로지라는 권력작용으로 설명된다. 먼저 텔레비전 심리/치료 담론은 신경생물학적인 접근이나 전문가의 권위 혹은 특정한 기술들을 통해 인간의 내면세계를 '가시화'시킨다. 또한 표현주의적 개인주의 전통에 기반한 심리/치료 담론은 치료형식을 갖춘 리얼리티 프로그램과 만나면서 관찰 카메라나 고백 테크놀로지를 통해 일상의 고통을 가시화시킨다. 마지막으로 텔레비전 심리/치료 담론은 현대사회의 위험을 개인의 정신질환으로 가시화시킴으로써 사회적 책임을 개인의 책임으로 돌리고 이곳에 '치료윤리'가 개입되게 하면서 개인화된 자기통치를 가능하게 만든다. \r\n\r\n위와 같이 다양한 방식으로 가시화된 대상들은 모두 전문가 집단에 의해 '진단' 내려지는데, 텔레비전 심리/치료 담론은 인간의 정신상태에 대한 정상성이나 행복한 라이프스타일을 규정함으로써 신자유주의적 통치질서에 부합하는 시민성을 만들어낸다. 특히 텔레비전 심리/치료 담론은 개인과 국가를 연결하는 '사회'를 만들어내고 그 결과 개인을 '시민'으로 호명한다는 점에서 신자유주의 시대의 상징적 통치기술로 작용한다. 그리고 사람들은 그러한 전문가 담론에 의존하여 자신의 라이프스타일을 자유롭게 선택하고 개인적 정체성을 구축하는 동시에 통치 당한다. 끝으로 텔레비전의 심리/치료 담론은 자기 자신과의 긍정적 관계 맺기, 자기관리로서의 소통기술 그리고 가족경영이라는 자기의 테크놀로지를 사람들에게 '처방'함으로써 사회적 위험을 개인 스스로 관리하게 만든다. 즉 텔레비전 심리/치료 담론은 자신의 내면세계를 '앎의 대상'으로 문제화시킴으로써 사회적 불평등과 제도적 문제점을 가리고 오히려 사회문제를 치료가 필요한 개인의 정신적 문제로 환원시킨다. 이로써 개인은 모두 잠재적인 환자로 상정되며 치료윤리를 내면화시킨 주체는 이제 '치료적 자아', 자율적 자아로 재탄생 된다.

영문초록

This research is to look into psy/therapy discourse with the perpective of symbolic governmental technology in the neo-liberalism era. Psy/therapy discourse is the aggregation of statements and rules that produce descriptions about mental disease or internal world of human by creating knowledge on the 'the states of mental process and conscousness' such as psychology, mental analysis, psychological therapy, etc. The psy/therapy discourse has been spread in Korean society since 2000s. In this research, I looked into cultural political implication of such phenomena by critically analyzing television texts had been aired since year 2000 to August 2011. Firstly, in order to see the symbolic governmental technology of psy/therapy discourse, I conducted a theoritical work to setup television as ‘the discourse producing field‘ by taking the psy/therapy discourse as a intellectual and practical governmental technology. As a result, the television that selects materials and massively distributes certain discourses deliver psy/therapy discourse corresponding with neo-liberalism governmental and it helps the standards suggested from there to become norms that everyone should follow. Moreover, recipients who are in 'the myth of mediated center' internalize television psy/therapy discourse as a life norm based on the belief about experts. Moreover, the television psy/therapy discourse had a narrative strategy as 'observation – diagnosis – prescription' and each of these are explained as visualizing power, norm normalizing power, and technology of the self. First of all, television psy/therapy discourse 'visualize' internal world of human through neuro-biological approach, authority of experts, or certain technologies. Also, the psy/therapy discourse based on expressive individualism convention visualize everyday agonies through observation cameras or confession technology when they meet reality programs equipped with 'therapy' form. Lastly, television psy/therapy discourse turns social responsibility to indivisual responsibility by visualizing the danger of modern society as individual’s mental disease and makes individualized self-control possible with intervention of therapy morals. All the visualized objects with such diverse methods are ‘diagnosed’ by expert group. The television psy/therapy discourse defines normality of human’s mental status or happy lifestyle and makes citizenship corresponding with neo-liberalism governmental order. In particular, the television psy/therapy discourse makes a 'society' that connects individual and country. As a result, an individual is called as 'citizen' who acts as the symbolic governmental technology in the neo-liberalism era. Moreover, people relay on experts’ discourses so they select their lifestyles freely and establish personal identify but also get controlled at the same time. Finally, the television psy/therapy discourse gives self technologies including making positive relationship with oneself, communication skill as self-help, and family management as 'prescriptions' to people so individual can manage social risks by oneself. Namely, the television psy/therapy discourse makes one’s internal world as an 'object to know' so it covers social inequality and institutional problem and even retrun the social problem to individual’s mental problme that needs therapy. Therefore, the individuals are all considered as potential patients and the subject that internalizes therapy morals is reborn as 'therapeutic self' or autonomous self. In conclusion, the television psy/therapy discourse visualizes, evaluate, and control invisual human’s internal world and then suggest norms that everyone should follow. Specifically, psy/therapy discourse produces therapeutic self that endlessly observes one’s internal world and control by oneself through suggesting normative normality and lifestyles. Furthermore, the television psy/therapy discourses are spoken by experts who have official language ability about human’s mind. They are delivered through television especially with symbolic power so they naturally structurlize recipients' way of thinking and everyday lives.

비고 : MVC-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