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한국사회에서 토익(TOEIC)의 확산 과정에 대한 비판적 분석
  • 저자명|최다혜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6
  • 담당교수|이상길

주제어

토익(TOEIC), 토익 열풍, 토익의 확산, 표준화, 인재의 표준화, 영어시험, TOEIC, overheated flow of TOEIC

국문초록

이 논문은 한국에서 대표적인 영어시험으로 부상한 토익(TOEIC)이 전사회적으로 확산되어온 현상에 문제를 제기한다. ‘국제적 의사소통을 위한 영어 시험’으로서 1982년 한국에 처음 도입된 토익은 30여 년이 지난 2015년, 200만여 명이 응시하고 1,600여 개의 정부 및 공공기관과 기업 그리고 약 200여 개의 대학이 채택하면서 다른 영어 시험보다 월등히 높은 수요를 보인다. 이제 토익은 영어 실력을 측정하는 시험을 초월하여 사회 각 영역의 인재를 표준화하는 도구가 되었다. 그러나 장기간 사회 전역에 소비되어 개인의 일상에까지 침투한 토익에 대해 비판적으로 접근한 연구는 거의 없다. 이 논문은 토익을 둘러싼 사회문화적 맥락을 추적함으로써 토익 열풍을 학술적 논의로 발전시켜 그의 해결책을 마련하고자 한다. 계보학적 담론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책, 기업, 교육 영역의 독립적인 담론들이 서로 결합되고 중첩되면서 토익의 확산에 기여했다. 구체적으로, 다섯 단계로 구분된 토익의 확산 과정은 1980년대 이후 정부 정책을 중심으로 한국이 신자유주의 국가로 발전하는 과정과 맞물렸다. 해외 문호 개방 정책이 시행된 토익의 도입 단계(1982~1989)에서 영어가 능력을 표상했고 1986년 아시안 게임과 1988년 서울올림픽에 활용되었던 토익이 대외적으로 인정받게 되었다. 일부 대기업은 토익 점수를 승진, 해외파견, 가산점 등 인사고과에 반영하였다. 토익의 본격 채택 단계(1990~1997)에서 1995년 정부의 세계화 정책에 따라 새로운 인재상이 출현했고 신경영 전략을 취한 기업은 신입 채용에 토익 점수를 요구했다. 곧 대학가, 학원가, 서점가에 토익이 등장했다. 토익 채택의 확대 단계(1998~2005)에 1997년 IMF 외환위기를 기점으로 기업이 토익을 적극 채택함으로써 토익의 의미가 능력에서 역량으로 전환되었다. 직무에 대한 역량을 강조한 정부도 공직 채용에 토익을 의무화했다. 취업난이 극심해지자 대학생은 토익 공부에 매진했고 토익 강사를 내세운 토익 사설학원이 팽창했다. 토익 채택의 심화 단계(2006~2012)에서 정부의 주도로 영어 교육이 중시되었고 대학은 국제화 수준, 취업률 지수 등을 높이려고 토익 졸업 인증제, 토익 학점, 토익 신입학 전형 등을 활성화했다. 토익을 채택한 기업이 많아지자 토익은 필수 취업 스펙으로 자리매김했고 인터넷 토익 사교육 시장은 토익을 상품화했다. 토익 채택의 지속 단계(2013~)의 취업시장에서 토익 언표가 만연하자 토익이 창의인재 담론과 갈등을 빚었고 기업 채용 변화로 인해 그 가치가 하락했다. 그러나 여전히 높은 토익 응시율은 토익의 권력이 막강하며 담론과 현실의 모순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토익의 확산 과정은 다음과 같은 사회적 함의를 지닌다.

첫째, 세계의 중심이 된 미국 영향 하에 인적자원이 탄생했다. 글로벌 스탠더드로 치환된 미국의 기준에 입각하여 한국사회를 추동하는 각 기관은 인재 평가와 선발에 토익을 활용했다. 즉, 토익을 일환으로 사회의 인재상이 점철되었다. 둘째, 토익은 한국사회에 작동하는 성공 담론의 축을 강화했다. 자본화된 영어의 성공 담론에 기대어, 정부, 기업, 대학은 토익을 혁신과 위기 극복의 방편으로 도입했다. 대중 매체와 토익 주관사, 토익 학원, 수험자도 토익을 국가 경쟁력의 상징이자 개인의 성공 수단으로 담론화했다. 셋째, 성과 위주의 평가가 도구화된 한국사회의 모습이다. 토익 점수는 개인의 비가시적인 능력을 수치화함으로써 인적자원 간의 차등, 차별을 낳았다. 하지만 표면적으로 모든 지원자에게 입사, 입학, 졸업 등 균등한 기회를 제공하면서 토익은 수험자에게 권력기관이 설정한 기준 점수에 대해 암묵적인 동의를 구하며 상징권력이 되었다. 이는 평등주의로 포장하려는 한국사회의 네 번째 함의이다. 다섯째, 기업 채용 담론에 안착한 토익은 영어 교육을 시장화했다. 대학이 국제 경쟁력 제고를 위해 채택한 토익은 사실상 취업률 상승을 위함이었다. 또한 토익과 같은 영어 시험이 영어 교육을 잠식하면서 사교육 시장이 성행했고 영어 열풍이 글로벌화를 뜻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토익의 확산 과정에 대해 비판적으로 접근하여 한국의 사회 구조적 특징을 재조명하였다. 그 기저에 한국사회가 개개인의 존엄성과 고유성을 무시하고 표준화를 통해 양적 성장과 수치 늘리기에 치중해 왔음을 주장하는 바이다.

영문초록

The study brings up an issue about the phenomenon that has been spread throughout the society as TOEIC appeared to represent an English exam in Korea. As an ‘English exam to communicate internationally’, demand of TOEIC is highly above other exams. 30 years passed since its first start in Korea in 1982 till 2015, and now more than 2 million people apply for the exam and approximately 1,600 governmental and public facilities and corporations, and more than 200 universities chose TOEIC as an official English exam. Now, TOEIC became more than just to adjust English skills and was chosen to be a selection and evaluation system in every social field that standardizes what a talented person is.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that have critically analyzed TOEIC while it has been all around the society for a long time and now that is affecting individuals. This study tracks sociocultural context surrounding TOEIC to develop an overheated flow of TOEIC into academic discussion, and to suggest the resolution. As a result of genealogical discourse analysis, each independent discourse derived from policy, corporation, and education field has combined and overlapped with each other, which influenced TOEIC to be spread out. Specifically, the diffusion process of TOEIC is divided into five steps and interconnected with the steps when Korea was developing into a neoliberal state ever since 1980s. At the stage of introduction of TOEIC(1982~1989), the Overseas Open-Door Policy was held and adjusting English skills meant obtaining an ability. TOEIC was recognized when it was used during 1986 Asian Game and 1988 Seoul Olympics. Some major corporations reflected TOEIC scores in employees’ performance evaluations such as promotion, overseas posting and additional benefits. At the stage of full adoption of TOEIC(1990~1997), new standard for talented people has appeared according to the Globalization Policy of the government in 1995 and corporations that has adopted new strategy required TOEIC scores when hiring new employees. Soon, TOEIC has shown up in the area of universities, academies, and book stores. At the stage of the expansion of TOEIC adoption(1998~2005), after 1997 the IMF Financial Crisis, corporations actively adopted TOEIC into their systems and the meaning of TOEIC altered from ability into competence. The government emphasizing capabilities of duties has adopted TOEIC as a mandatory process of hiring public servants. As unemployment problem rose up, university students focused on studying TOEIC and private TOEIC academies with popular teachers expanded. At the stage of advanced adoption of TOEIC(2006~2012), English education has been boosted with the lead of the government and universities activated graduation certification of TOEIC, credits of TOEIC, TOEIC entrance policy in order to level up the value of being globalized and to record a high rate of employment of graduate students. As the number of corporations that adapted TOEIC has increased, TOEIC has become mandatory for the employment process and online TOEIC education market has commercialized TOEIC. At the stage of continuous status of adoption(2013~), as the statement of TOEIC in employment market has overflowed, there has been an issue regarding creative talents and as corporations changed their hiring system, the value of TOEIC has decreased. However, the rate for the examination is still high. This reveals that the power of TOEIC still exists and shows the contradiction of discourse and reality.\r\nThe diffusion process of TOEIC has following social meaning.

First, human resources have appear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U.S. that has been the hub of the world. Institutes that drive Korean society according to the U.S. standard, which was considered to be the global standard, utilized TOEIC for evaluation and selection system. Thus, TOEIC formed a standard of talented people in Korean society. Second, TOEIC has emphasized the meaning of being successful in Korean society. English has capitalized in Korea and Koreans have believed that English guarantees success. Relying on this concept, government, corporations and universities adapted TOEIC as a means of a revolution and a method of overcoming a crisis. Mass media, hosts of TOEIC, TOEIC academies and examinees also considered TOEIC as the symbol of competence of the country and a means of success in individual life. Third, it’s about Korean society where result-oriented assessment is focused. TOEIC score has digitized individual’s ability that is not visible and this resulted in differentiation and discrimination among human resources. Superficially, however, TOEIC provided examinees with an equal chance of employment, entrance and graduation of university and as a result, TOEIC became a symbolic power as achieving tacit agreement from examinees of the standardized scores that has been set by the authority. This is Korean society’s fourth implication of covering the situation under the name of egalitarianism. Fifth, as TOEIC has settled down in the system of corporation recruitment, it has marketized English education. Universities adapted TOEIC as a means of developing global competence, but the actual purpose was to raise the rate of employment. Moreover, as English exams including TOEIC influenced English education field, private English education market developed and this did not mean globaliz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critically approached the diffusion process of TOEIC and shed new light on the features of the structure of Korean society. As the final statement, this study contends that this phenomenon is based on Korean society that has ignored individual’s dignity and characteristic and has been concentrated on quantitative growth and an number increase through standardization.

비고 : MVC-1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