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공식기억의 형성과 재생산 - ‘천안함 침몰 사건’을 중심으로
  • 저자명|이병선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7
  • 담당교수|윤태진

주제어

공식기억, 집합기억, 정체성, 민족국가, 미디어 기억, 담론복합체, 천안함 침몰 사건, 남남갈등, 민족주의, 반공 이데올로기

국문초록

이 연구는 천안함 침몰 사건의 공식기억 형성과 재생산 과정을 추적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천안함 침몰 사건의 가장 큰 특징은 여타의 군사적 이슈들과 달리 원인을 초기에 규명하기 어려웠던 모호함에 있다. 이 모호함은 남남갈등의 일환으로 비화되었고, 이 때문에 현재까지도 천안함 침몰 사건을 둘러싼 여론조사 결과는 분분하게 나타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천안함 침몰 사건에 관한 사회적 논의는 증발한 것처럼 보이는데, 공식기억은 이 같이 증발된 논의 속에 단 하나의 기억인 것처럼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천안함 침몰 사건의 사회적 논의가 증발된 한국사회의 밑바탕을 탐구하고자 했다.
천안함 침몰 사건의 공식기억이라는 연구대상을 살피는 데 있어 이 연구는 민족국가의 정체성 형성이라는 관점과 남남갈등이라는 관점에서 접근했다. 공식기억의 상위개념인 집합기억은 사회적 구성틀을 통해 구성원들로 하여금 다른 집단과 구별되는 정체성을 획득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민족국가는 구성원들의 정체성을 형성하기 위한 도구로 집합기억을 선택하는데, 재구성된 과거는 공식기억이 되어 구성원들의 정신적 바탕을 만들어 나간다. 그 중에서도 현대의 국가적 사건들은 언론을 통해 매개된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공식기억을 설명하는 데 있어 언론과 정부의 담론복합체 개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한편 국내의 기억 연구 맥락에 따르자면 천안함 침몰 사건은 남남갈등의 맥락에 위치해 있다. 한국의 이념적 정파 간 갈등이 본격화된 2000년대 이후 ‘전쟁 서사(국가 서사)’와 ‘친일 서사(민족 서사)’의 대립이 심화되었는데 천안함 침몰 사건 역시 그 일환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천안함 침몰 사건에 관한 공식기억의 형성과정과 이후의 유지 및 재생산 과정을 추적하기 위해 일간지의 사설과 대통령의 연설, 희생자들의 추모식과 군이 건립한 안보공원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연구 방법으로는 각각 비판적 담론 분석과 내러티브 분석을 택했는데, 표면적으로는 이들 연구대상이 발화하는 사건의 기술에 초점을 맞췄으나 이들의 발화에 내재된 이데올로기를 포착하는 것 또한 주요한 목표로 삼았다.
공식기억의 형성과정에 해당하는 기간 일간지 사설과 대통령 연설에서 드러나는 것은 학습된 공포와 자기규율의 이데올로기다. 네 개의 국면으로 나뉘었던 형성과정에서 당사자의 역할을 했던 것은 정부와 보수언론이었는데, 이들은 선명한 메시지를 통해 담론을 장악했다. 보수언론과 정부는 국제사회라는 외부적 규범을 내세워 국민들이 자기규율 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했고, 이를 뒷받침한 것은 북한이라는 실질적 공포였다. 이 공포는 반공 이데올로기 속에서, 군대라는 실재 속에서 반복돼 온 학습된 공포로서, 과거부터 계속해서 ‘정상국민 되기’ 규범의 위치를 점해온 존재였다.
공식기억의 유지 및 재생산에서 나타나는 것은 개인과 가족, 가족과 국가의 동일시, 이 동일시를 근거로 한 ‘우리의 전쟁’의 정당화다. ‘우리’로 뭉뚱그려진 개개인은 가족의 경계 안에 들여지거나 이를 거부할 경우 내쳐지게 된다. 가족의 경계 안에 들어간 개인은 국가가 선택한 전쟁을 나의 전쟁으로 받아들이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같은 내부 결속은 국가의 미래를 위한 선택이라는 점에서 정당화된다.
이 연구는 현재진행형의 기억들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는 점에서 지속적인 연구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정권의 성격에 따라 이미 완결된 것으로 받아들여졌던 역사의 영역까지 재고의 대상이 되는 상황을 목도한 지금, 앞으로도 기억의 동학은 지속적인 추적 대상으로서 연구될 필요성이 있다. 기억의 변용과 재조합은 한국 사회가 안고 있는 갈등의 첨예한 양상을 보여주는 과거이자 풀어 나가야할 미래이기 때문이다.

영문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e the official memory formation and reproduction process of the sinking incident of Cheonan warship. The greatest feature of the incident is the ambiguity that was difficult to elucidate early on, unlike other military issues. This ambiguity has become a part of South-South conflict, and the results of the poll about the affair still remain controversial. Nonetheless, the social debate about the sinking incident of Cheonan warship seems to have evaporated, and the official memory exists as a single memory in this heated discussion. Therefore,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the basis of Korean society where the social debate on the affair was evaporated. This research looked at the formation of national identity and the South-South conflict in studying the object of study as the official memory of the sinking incident of the Cheonan warship. Collective memory, which is the upper concept of official memory, plays a role in acquiring the identity that distinguishes members from other groups through the social framework. The nation state chooses collective memory as a tool for forming members identity, and the reconstructed past becomes official memory, creating the spiritual basis of the members. Since most of the contemporary national events are mediated through the media,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concept of the discourse complex of media and government in explaining an official memory.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domestic memory studies, the sinking incident of Cheonan warship is located in the context of South-South conflict. In the 2000s, as the conflict between the ideological factions deepened, the confrontation between “war narrative”(state narrative) and “pro-Japanese narrative(nation narrative)” has been intensified, and the sinking incident of the Cheonan warship can be interpreted as one of them. Based on the above discussions, I will analyze the editorials of the daily newspapers, the speeches of the President, the memorial ceremonies of the victims, and the memorial park built by the navy in order to trace the formation and reproduction process of official memory about the sinking incident of the Cheonan warship. As a research method, I chose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nd narrative analysis. On the surface, we focused on the description of the incident that the research subjects uttered, but also aimed at capturing the ideology inherent in their utterances. It is the ideology of learned fear and self-discipline that is revealed in the editorials and presidential speeches during the period of official memory formation. It was the government and conservative media that played a part in the process of memory formation, which was divided into four stages, and they took the discourse through clear messages. The conservative media and the government encouraged the people to maintain their own discipline by referring to the external norms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and what was backed up was the real fear of North Korea. This fear was a learned fear repeated in the reality of anti-communist ideology and military, and it has been the position of the norm of "becoming a normal people" from the past continuously. What appears in the maintenance and reproduction of official memory is the identification among individuals, families, and nation, and the justification of ‘our war’ based on this identification. Individuals who are united by "us" are brought into the boundaries of the family, but are abandoned if they reject it. This internal unity is justified because it is a choice for the future of the nation. This study has the possibility of continuous research in that it has made the study of the present progressive memory. In the future, the dynamics of memory need to be studied as a continuous tracking object. This is because we have witnessed the situation in which "history", which has been accepted as completed, becomes subject to re-consid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tendency of the regime. The transformation and recombination of memory is the past that shows the acute aspect of the conflict in Korean society and it is the future to be solved.

비고 : MVC-1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