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정보격차의 발생변인 연구: 정보격차의 인지적 측면과 활용적 측면을 중심으로
  • 저자명|이동우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03
  • 담당교수|윤태진

주제어

정보격차

국문초록

정보화 시대를 바라보는 시각은 매우 다양하다. 이러한 시각들 중에서 현대 정보화 시대에서 가장 중요하고, 가장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정보격차의 문제이다. 어떤 이들은 뉴 미디어의 기술적인 속성상 이용자들간의 정보격차가 더욱 심해질 것이라 주장하고, 또 다른 이들은 단지 이러한 기술적 속성만이 아니며 이용자들의 인적 요인이 중요하게 작용한다고 주장한다.\r\n\r\n이와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뉴 미디어의 대표주자로서, 또한 가장 정보적 매체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인터넷을 통하여 인터넷 이용자들간에 나타날 수 있는 정보격차에 대해 여러 가지 요인들을 살펴보며, 과연 어떠한 요인들에 의해 정보격차가 발생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r\n\r\n본 연구에서는 정보격차가 발생할 수 있는 대상을 인터넷으로 삼고자 하였다. 초기 인터넷은 미국의 구축된 군사 지휘 체계와 통제 체계의 효과적 관리를 위하여 탄생하였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일반 사람들도 많이 이용하게되었다. 이에 따라 인터넷은 초기의 탄생 목적만이 아닌 일반 용도로도 많이 이용하게되었다. 따라서 현재 인터넷은 전 세계에 퍼져 있는 컴퓨터간 정보를 공유하기 위하여 컴퓨터와 통신망을 연결해놓은 최대의 컴퓨터 네트워크라 정의되어지고 있다. 이렇듯 오늘날 인터넷은 정보 공유를 위한 매체이며 그렇게 받아들여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상과 같이 활용ㆍ정의되고 있는 인터넷을 통하여 나타날 수 있는 정보격차를 연구하고자 함은 그 의의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겠다.

영문초록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formation Gap-related Variables focused on cognitive and behavioral aspects of information gap. Today internet is used to sharing information by world users. So internet is defined to share information among computers connected on world networking. So a study on information gap come out on internet is very significant. Specially internet is representative of new media, so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more and more important.\r\n\r\nAlso in this study to measure the information gap, information was divided to cognitive information and behavioral information. Because many studies on information gap measured specific knowledge gap, so this study endeavored to break from the convention and to effort to lay sterss on users. Cognitive information is recognized naturally during to use internet, and behavioral information gap is recognized artificially through endeavoring to learn computer or internet. So in this study, cognitive information is related to the skill or service through internet, and behavioral information is related to the computer literacy to utilize the computer effectively. \r\n\r\nAlso in this study a basic assumption was that internet user''s information gap would be largely affected by information-seeking motivation, information processing strategies, socioeconomic status(SES), socio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additionally utilization of internet, attitude to internet. This variables is dealt more largely as compared to study on information gap till now. So this study create three research question.\r\n\r\nResearch question 1. What variables affected to expand the cognitive information gap?\r\nResearch question 2. What variables affected to expand the behavioral information gap?\r\nResearch question 3. What difference among variables affected to expand the information gap between cognitive information and behavioral information?

비고 : MMJ-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