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가상공간의 시각 이미지와 자아정체성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싸이월드에서의 사진 활용행위를 중심으로
  • 저자명|김수현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06
  • 담당교수|이상길

주제어

가상공간 개인 홈페이지 시각 이미지 디지털 사진 자아정체성 거울단계 오브제 쁘띠 아 응시 자아-이상/ Virtual space Personal homepage Visual image Digital photo Self-identity The mirror stage Object petit

국문초록

우리는 현실공간과 구별되는 ‘가상공간', 즉 인터넷 개인 홈페이지에서 자신의 모습과 관심사와 생활, 주변 사람들 등에 관한 사진 등을 활발히 업로드 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개인 홈페이지'에 ‘디지털 사진' 이미지를 올리는 것은 오늘날 젊은 세대들에게 일상 속에 새롭게 형성된 문화로 향유되고 있다. 이는 신체와 라이프 스타일, 사회적 관계 등을 인터넷 공간을 통해 시각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자아의 정체성과 관련이 있다. 그러나 기존에 가상공간에서의 정체성에 대한 연구는 아이디와 닉네임, 또는 아바타에 한정되어 연구되어 왔으며, 오늘날 젊은 세대의 많은 사람들이 활용하고 중독을 경험하기도 하는 개인 홈페이지의 사진 이미지 활용문화와 관련된 연구가 부재하다는 점에서 연구의 필요성을 지닌다. 이에 본 연구는 가상공간의 ‘시각 이미지'와 ‘자아정체성'에 관한 연구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개인 홈페이지에서의 사진의 활용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절차는 먼저, 연구를 위한 이론적 기반으로서 자아정체성의 개념과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자아정체성과 시각 이미지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견해들을 살펴보았으며, 자아정체성과 연관하여 시각적 이론 분석의 관점을 지닌 라캉(J. Lacan)의 개념들을 본 연구의 분석의 토대로 삼기 위해 그 개념들을 간략히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주제에 맞는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인터넷 개인 홈페이지 이용자들은 어떠한 사진을 선택하여 어떠한 동기로 업로드 하는가?'. 둘째, ‘개인 홈페이지에서의 사진을 보여주기를 통해 자아는 이미지와 정체성 형성에 있어서 어떠한 과정을 경험을 하며 그 함의는 무엇인가?'. 그리고 셋째, ‘자아는 타인의 홈페이지에서 사진을 봄으로써 정체성 인식에 있어서 어떠한 과정을 경험하며 그 함의는 무엇인가?'. 연구의 수행을 위해 개인 홈페이지의 최대 보유 사이트인 싸이월드의 활발한 이용자들인 투멤들과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그들의 개인 홈페이지에서의 디지털 사진 활용을 둘러싼 일상과 경험, 내면세계와 새로운 시각 이미지 활용 문화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참고 자료로써 그들의 개인 홈페이지의 사진과 투멤 게시판 글 등을 참조하였다. \r\n\r\n연구결과를 간략히 정리해보면, 첫 번째 연구의 결과에서는 개인 홈페이지에서의 사진 이용자들은 그것을 앨범에 보관하기보다 개인 홈페이지를 새로운 앨범으로 활용하며 디지털 사진의 기술적 변형 가능성을 활용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이 중에 특히 신체로 표현되는 정체성의 변형을 통해 자아가 자신의 시각 이미지와 정체성을 선택과 편집, 수정 등을 통해 정체성을 새롭게 재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그들은 라캉의 ‘거울단계'의 거울에 비친 상을 통해 새로운 자아를 인식하고 인지하는 ‘이상적 자아(ideal ego)’와의 ‘동일시'와 ‘상상계'의 단계를 거치게 되며, 시각 이미지를 재료로 하여 이용자들은 디지털 사진을 통해 스스로와 자기 주변을 다양한 ‘시각적 기호’로 구성한다고 할 수 있다. 수정되고 변형된 신체 이미지 사진은 이상적인 자아에 대한 ‘결핍'과 그것을 메꾸고자 하는 ‘욕망'에서 기인하며, 디지털 사진을 그에 대한 대용물(소타자, ‘object petit a’, 오브제 쁘띠 아)로서 ‘물신'의 대상으로 받아들이고 보다 이상적인 자아의 이미지를 만들어 이에 의지하는 현상을 보였다. 여기서 인터뷰를 통해 이용자들의 이야기를 통해 보다 자세히 살펴본 결과 이 과정에서 타자의 ‘응시’에 대한 인식이 있었으며, 이용자들이 자신의 디지털 사진을 업로드 할 때 타인에게 자신에 대해 강조하고 싶은 이미지나 특정 맥락의 디지털 사진의 보여주기를 통해 상징계의 ‘자아-이상(Ego-ideal)’적 정체성와 연결됨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연구문제 1를 통해 나타난 현상을 연구문제 2에서 심화하여 개인 홈페이지의 디지털 사진을 통해 신체적으로, 생활과 문화적으로, 사회적으로 자아정체성이 구성되는 과정을 라캉의 여러 개념과 이론들을 토대로 살펴보았다. \r\n\r\n그 결과로 사진 이용자들은 디지털 사진을 자신의 현실 세계의 실제 자아정체성 보다 자신이 추구하는 이상적인 이미지로, 새로운 신체와 라이프 스타일, 가치관, 사회적 관계 등에 관한 사진의 수정과 선택적 보여주기를 통해, 새로운 자아정체성을 보여주고 있었으며, 궁극적으로 타자의 응시, 즉 사회적 인정과 인기를 얻기 위한 사진 이미지들을 업로드하여 자신을 표현함을 알 수 있었다. 이 때 이용자들은 디지털 사진 이용 시 환상유지의 법칙을 따르면서, 디지털 사진 속의 자아의 이미지의 ‘미끄러짐'과 ‘봉합', ‘fort-da game', 그리고 동일시의 과정과 ‘부정’의 과정을 통해 이상적인 자아정체성에 대한 추구를 변증법적으로 끊임없이 경험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새롭고 이상적인 자아정체성의 추구는 상상계의 차원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상징계'로 이어지며 ‘큰타자‘의 욕망과 응시를 무의식적으로도 인지하는 상징적 상호작용적인 사회의 영향을 받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셋째로, 많은 사람들이 타인의 홈페이지에서 사진 이미지를 통해 타인의 정체성에 대해 인지하고 평가하며 자신과 공감대를 이루기도 하고 그 사람에 대한 새로운 정체성을 부여하는 것이 현상화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즉, 인터넷 가상공간이 개인 홈페이지의 타인의 사진이 그 사람의 선택과 설정에 의해 재구성됨을 인지하고 있을지라도 동시에 이를 보는 사람들은 이를 통해 그 사람의 정체성을 파악하려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시각 이미지인 홈페이지의 사진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은 스스로의 내부 자율성에 의한 것이라고 오인되지만 실제로 타자의 욕망인 응시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과 같이, 또한 주체가 타인 홈페이지의 사진을 통해 홈페이지 주인의 정체성을 인지하는 과정은 스스로가 보는 주체라고 인지할지라도 실제로 이는 응시를 위해 제공된 사진이라는 점에서 보는 사람이 시선의 자율성을 통제 받는 객체가 되는 과정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타인의 홈페이지에서 사진을 보는 사람이 주체가 아닌 응시를 위해 만들어진 시각 이미지에 의해 객체로 전복되는 과정을 함축하는 것이다. \r\n\r\n결론적으로 실재의 신체가 존재하지 못하는 가상공간은 인터넷 개인 홈페이지에 자아에 대한 신체, 라이프 스타일, 가치관, 사회적 관계 등의 시각 이미지인 사진의 선택과 변형을 통해 새로운 자아정체성을 제시함으로써 존재의 공간이 확대되고 새로운 정체성의 장(field)이 되었음을 의미한다. 이 과정에서 생성되는 한 개인의 자아정체성은 디지털 사진의 변형 가능한 속성으로 인해 그 재구성하는 과정이 보다 쉽게 가능하게 되며, 실재의 나에게 존재하지 않는 것이 내가 되기도 하는 것이다. 오늘날 디지털 사진 이용자들은 개인 홈페이지에서 타인의 응시를 염두에 두며, 디지털 사진 보여주기와 보기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자신의 원하는 시각 이미지를 통해 선택적으로 보여주고, 또한 타인의 정체성을 인식하는 방법으로 개인 홈페이지와 디지털 사진을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가상공간에서 디지털 사진을 활용은 이상적인 자아정체성에 대한 유의미한 시각 이미지의 생산과 전시이자 새로운 자아정체성의 구성과 인식의 과정에서 ‘욕망'이란 것을 하나의 문화실천의 전략으로 수용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영문초록

We can see the phenomenon that people frequently upload photos about their figure, interest, surrounding people, and so on, on the internet personal homepage in ‘virtual space’ different from real world space. It is enjoyed by younger generation nowadays as a new culture in everyday life that uploading ‘digital photo’ on ‘personal homepage’. It is related with self-identity in that it shows body, life style, social relation, and so on visually in the internet space. However, the preceding studies about self-identity and virtual space are limited about ID, nickname, or avatar. The fact that there is no study about photo image culture on the personal homepage that a lot of younger generation make use of it and experience addiction to it in these days gives a necessity to study. Therefore this study accomplished the study of photo culture in the personal homepage as a research about ‘visual image’ in virtual space and ‘self-identity’. The first procedure is about the fundamental notions and paradigm shift of self-identity as a theoretical foundation of study. I mentioned the opinions of the scholars about the self-identity and visual image, and briefly arranged the notions of J. Lacan who has the view about it, to take his frame as the base of this study. I set the questions for the study purpose as follows. First, ‘what kind of photo do the internet personal homepage users choose and what is their motive to upload it?’. Secondly, ‘what process does the self experience about the formation of identity by showing photo on the personal homepage and what does it imply?’. Thirdly, ‘what process does the self experience about the recognition of identity by watching photo on the other’s homepage and what does it imply?’. To answer these questions and to pay attention to their stories about lives and experiences with their use of digital photo on their homepages, inner worlds, and the new culture using visual images, I interviewed the Tomems, the users of the Cyworld site that has the majority of the personal homepage users, and I looked around their photos on the homepage and bulletin board for Tomems as reference materials. To sum up the results of these researches, the result of the first study is that the photo users on the personal homepage use the homepage as a new album instead of keeping it in the book album and they use digital techniques and tools to take transformational possibility on the photos. Especially with the transformation of the body identity by the selection, edition, and retouching, the self make up new identity. In the course of these processes, they experience the ‘the imaginary’ and the ‘identification’ with the ‘ideal ego’ recognizing the new self by the mirror image of the Lacan’s ‘the mirror stage’ and reconstitute the visual images with digital photos about themselves and surroundings as ‘visual symbol’. The retouched and transformed body image photos come from the ‘lack’ of the ideal self and from the ‘desire’ to fulfill it and show the phenomenon that users take the digital photos as the ‘object petit a’ of it as the object of the ‘fetish’ making more ideal self images. At this point, when I asked the users more about it, they told the recognition of the other’s ‘the gaze’ related with the ‘ego-ideal’ and ‘the symbolic’ when they show their digital photos of the significant images or special context they want to emphasize new images. To study further the results of the question 1, I looked into the course the constitution of the self-identity categorized it in the field of body, life, culture, and social by the digital photo on the personal homepage with the Lacan’s notions and theories in the question 2. \r\n\r\nAs a result, the photo users want to show the more ideal image than the real image of themselves in the real world with the ideally adjusted and selected photo image about the new body, life style, the sense of values, social relation, and so on, ultimately they want to express themselves by those photo to make a new self-identity to get the others gaze, social recognition and popularity. Here, they ceaselessly experience the dialectic pursuit of the ideal self-identity through the circle of the Identification and ‘disavowal’ with the ‘glissment’, ‘suture’, and ‘fort-da game' taking a rule to keep up the illusion. Therefore the chase of the new and ideal self-identity does not end in the imaginary phase but it is connected with ‘the symbolic’ phase and is affected by the symbolic interaction of society recognizing the desire and the gaze of ‘The Other’ even unconsciously. Thirdly, there is phenomenon that a lot of people recognize, evaluate, or sympathize with the other through the photo images on the other’s homepage, and give a new identity to the other. Although they know that the photo of the other’s homepage was selected and reconstituted by him/her, they want to know his/her identity through it. As the process of self-identity formation is misunderstood that it is controlled by the subject’s inner self-control, but actually it is influenced by the others’ desire, the gaze, the process of the recognition of the other’s identity by the photo on the homepage means that he/she becomes a object because his/her eye is controlled by the homepage owner’s suggested images, even though the viewer can think himself/herself as a subject of the process. In other words it implies that the course of the viewer’s overturn from subject to object by the visual images made for the gaze on the other’s homepage. In conclusion, the internet personal homepages of the virtual space, impossible to present the real body, become an extended new field of existence for a new identity by showing the selected and transformed visual images about the body, life style, the sense of values, social relation, and so on. The self-identity in this course can be reconstituted more easily with the transformational character of the digital photo. Therefore it is possible that the thing that does not exist in real me becomes me. We can see that the digital photo users express selectively their identities concerning the others’ gaze and recognize the others’ identity with the photo images. The use of digital photos in the virtual space is the production and display of meaningful and ideal visual images and the acceptance of the desire as a strategy of cultural practice in the course of the new formation and recognition of the self-identity.

비고 : MVC-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