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한국요리만화 장르의 발전과 관습에 관한 연구
  • 저자명|정재현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06
  • 담당교수|이상길

주제어

요리만화 장르이론 장르형성과 변화 장르 간 혼종 문화적 정당화/ ‘cooking’ comics genre theory the formation and the change of genre hybridization between genre cultural legitimation

국문초록

장르에 대한 연구는 산업적 맥락과 사회·문화적 맥락, 수용자의 태도가 텍스트에 어떻게 구조화되어 나타나는지에 대한 인식을 제공해준다. 하지만 한국에서의 만화연구는 작가와 캐릭터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기존에 시도된 장르연구들조차 특정 장르의 관습을 찾아내어 유형화시키거나 장르만화의 발전 방안과 만화장르의 구분 체계 등을 제시하는 데 머물러왔다. 이러한 연구들은 장르연구의 기초는 제공하지만 장르가 제작되는 물적 조건과 장르를 둘러싼 콘텍스트를 간과할 우려가 있다. \r\n\r\n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텍스트 분석 위주의 구조주의적 장르연구와 장르의 형성과 발전과정에 대한 발생론적 연구를 결합하려 하였다. 만화장르와 만화계의 구조 및 콘텍스트의 다양한 변화 양상을 가장 역동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대상으로서 요리만화를 선택하였으며, 요리만화장르의 형성과 변화가 지니는 의미를 폭넓게 해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에서는 영화, TV와 같은 대중문화영역에서 논의된 장르이론을 논의의 배경으로 삼았다. 대중문화 생산물의 장르연구는 산업과 텍스트, 수용자 사이의 연결고리로서의 장르, 반복보다는 차이와 변화를 통해 기존 장르와 투쟁하고 분열하며 진화하는 장르 개념을 강조한다. 대중산업에서 장르는 상업성을 구현하는 창작시스템인 동시에 장르적 관습에 기반한 독자들의 평가시스템이며, 대중성을 보장하는 중요한 장치이자 생산의 전략이기 때문이다. 본문에서는 자료검토와 생산자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요리만화장르의 형성과정을 제시하였다. \r\n\r\n다음으로 요리만화의 장르관습과 변화양상을 유형화하였으며, 그러한 장르변화의 원인을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요리만화의 제작에 참여한 만화작가와 기획단행본 기자, 3대 메이저 만화출판사의 편집자 등 11명에 대한 심층인터뷰가 진행되었다. 장르의 관습과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한국에 수입된 일본의 대표적인 요리만화 세 편과 한국요리만화 전수에 대해 내용과 형식의 두 측면에서 체계적인 텍스트 분석을 시도하였다. \r\n\r\n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에서 요리만화장르의 형성은 만화계의 장르 다양화에 대한 추구와 음식에 대한 사회적 관심의 증가, 전문만화에 대한 한국독자의 욕구를 배경으로 일본요리만화가 유입되면서 시작된다. 수입된 만화는 국내 흥행 가능성과 일본에서의 인기순위를 기준으로 선별되며, 재미있는 대작이 소개될 때 안정적 독자층에 대한 기대와 함께 일본요리만화가 지속적으로 수입되고 한국요리만화가 작가와 기획자의 성향을 토대로 생산되면서 장르가 형성된다. 요리만화 장르의 형성은 특정한 관습의 확립을 통해 드러나며, 이러한 관습은 한국만화에서 고전적 모델의 변용과 기존 장르만화와의 혼종이라는 두 가지 방식으로 변형되어 나타난다. 이는 한국 만화독자층의 문제, 취재와 전문성 확보의 어려움, 일본과의 문화적 차이, 만화시장의 침체, 잡지의 폐간, 만화시장의 생산·유통·소비 시스템의 문제 등에 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들은 만화장르의 형성과 변화과정에 대한 하나의 사례분석이 되는 동시에 장르의 형성과 변화를 설명하는 데 있어 만화산업과 사회·문화적 맥락, 수용자의 맥락을 모두 포괄해야 함을 다시 한 번 상기시켜 준다. 또한 개별 만화들의 제작 배경에 대한 분석은 문화생산물의 생산구조를 설명하는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국내 요리만화는 생산과정에 있어 경제적 요인이나 만화산업, 사회의 구조 이외에도 개별 작가와 기획자의 성향 및 경험이 강조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창작을 사회적으로 형성된 아비투스와 제도화된 위치 사이의 만남으로 제시하는 부르디외의 논의를 지지해준다. 그리고 장르의 변화에 대한 설명들은 기존에 논의된 장르이론들이 만화장르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검증해 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고정적인 장르개념과 장르의 발전을 유기체적 진화로 설명하는 개념들은 만화장르에 유용하지 못하다. 만화에서의 장르는 차이를 중요한 속성으로 가지며 차이를 통해 레퍼토리를 확장한다. 또한 언어에서 랑그와 파롤의 관계처럼 개별 만화작품들이 장르와 투쟁하고 분열하는 과정 속에서 장르가 진화하는 모습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일본요리만화의 유입과정에 대한 분석은 자국의 문화가 충족시켜 주지 못하는 문화적 욕구를 가장 근접한 곳에서부터 찾는다는 엘라스마(Elasmar)의 개념을 검증한다. 하지만 한국에 소개된 장르의 변화에 대해서는 문화의 혼성화 개념이 더욱 유효함을 살펴볼 수 있었다. 무국적성을 띠는 일본의 완성도 높은 만화가 큰 인기를 모으더라도 국내에서는 그것을 단순히 모방하거나 그대로 표절하기보다 수용자와 문화적 취향에 맞게 문화생산물을 재해석하고 재생산하며 수용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만화의 ‘정당성의 영역’으로의 진입이 장르발전의 토대가 되어줌을 설명한다. 만화는 유치하며 유해하고 어린이들이 읽는 것이라는 문화적 인식의 변화 없이는 독자층이 세분화되기 어려우며, 장르의 다양화 역시 이루어기 힘든 것이다. 특히, 요리만화를 비롯한 전문만화는 성인독자층과 성인만화잡지의 존재를 요구하기 때문에 정당성의 영역으로의 진입이 장르의 활성화에 토대가 되어줄 수 있다.

영문초록

A study on genre helps us to understand how the contexts of industries, socio-culture and audiences are presented on the text. In Korea, however, most researches about comics have focused on the author or the character. Some studies related to the comics genre have been limited to the conventions of a particular genre or have suggested the development way of a genre comics and the classification system. This type of research provides the basis of the genre study, but tends to overlook the contexts surrounding a genre. This study tries to combine the structuralist approach and the genetic approach. ‘Cooking’ comics was the genre selected because it shows the diverse changes of structure and context in the most dynamic way. Indepth interview with ‘cooking’ comics producers and text analysis focusing on the narrative and the image were conducted. Genre theories, discussed in popular culture studies such as Film and TV theories, were applied as theoretical devices. In brief, the formation of the ‘cooking’ comics genre is initiated by the import of Japanese ‘cooking’ comics with the background of the pursuit on diversification of comics genre, increasing social interest on food, and Korean reader''s desire for the specialized comics. When the comics in the early stage of the genre gained great popularity, the genre of ‘cooking’ comics is formed through the production of Korean comics and the continuous import of Japanese comics with the expectation of stable readers'' group. The genre convention of ‘cooking’ comics appeared in two modified ways in Korean ‘cooking’ comics: the transformation of classical models and the hybridization with other genres. This is because of the difficulty of gathering data and specialty, the problem of Korean comics readers'' group, the cultural gap between Korea and Japan, the stagnation of the comics market, the discontinuance of comic magazines, and the problem in the 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of the comics industr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reminds us that the industrial and socio-cultural context, and the attitudes of audiences all have to be included in accounting for the formation and the change of the genre. Also, analysis of the production background of ‘cooking’ comics can be useful in explaining the structure of cultural production. This study materially examines how the genre theories can be applied to the genre of comics. Furthermore, the analysis of the inflow process of Japanese ‘cooking’ comics proves the concept of ‘cultural proximity''. But the concept of ‘cultural hybridization’ is valid to explicate the changing genre. Finally, this study shows that comics'' moving into the ‘sphere of legitimation'' becomes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a comics genre.

비고 : MVC-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