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문화백수의 정체성과 정치성에 대한 탐구: 독립영화 제작인들을 중심으로
  • 저자명|김숙현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06
  • 담당교수|이상길

주제어

포스트포디즘 포스트모더니즘 정체성 미시정치 소수의 정치 비물질 노동 다중 대중문화 독립영화 문화생산 문화실천 문화백수/ Post-Fordism Post-Modernism identity micropolitics minor politics immatarial labo

국문초록

어린 시절부터 무척이나 영화를 좋아하던 나는 결국 내 영화를 만들었다. 꿈을 이루어낸 것 같지만, 나는 스스로를 ‘문화백수’라고 칭하며, 한 걸음 물러나서 나를 살펴본다. 사람들은 ‘문화백수가 무엇이냐’는 질문을 할 것이다. ‘문화백수’는 생소하지만, 존재하지 않는 단어는 아니다. 하지만 여기서 '문화백수'는 나를 비롯한 내 주변의 사람들, ‘집 나온 아이들’처럼 불안하지만 문화 분야 어딘가에서 자신의 창의성을 힘차게 발휘하고자 하는 젊은 사람들에 대한 관심으로 구체화한 용어이다. 특히 이들은 경제적인 열악함과 곱지 않은 사회의 시선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삶의 경로를 모색하는데 노동을 중시하며, 문화적인 비물질적 노동을 자발적으로 수행하고 있었다. 그래서 나는 궁금해졌다. 이들은 어떤 욕망을 가진 채 성장했으며, 어떤 정체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정체성을 유지하는 힘은 무엇일까.1990년대 한국 대중문화의 팽창 속에서 현재의 20-30대는 ‘영상세대’라고 묘사되었다. 그리고 현재 이들은 문화생산자로 성장했다. 하지만 이들의 과부화된 문화생산 욕망에 비해, 기댈 수 있는 제도적 환경은 부실하다. 또 이들은 기업들의 투자 대상이면서 이윤 창고이며, 동시에 국가 정책의 대상이다. 이러한 변화와 더불어 새로운 욕망을 가진 세대의 탄생을 보여주는 지점이 한국의 영화판이다. 그리고 나는 그 중에서 문화백수라고 불릴 수 있는 20-30대의 독립영화 생산자들, 나의 지인들과 그 친구들에 관심을 가지며, 인터뷰했다. \r\n\r\n이 때 중요 연구문제는 첫째, 이들이 어떻게 영화생산의 욕망을 키워왔으며 둘째, 현재 자신의 정체성을 어떻게 구성하고 있는지 셋째, 구성된 정체성으로 실천하는 이들의 작업과 노동은 어떠한 잠재력을 가질 수 있는가에 대한 것이다. 나는 연구문제의 배경이 되면서, 동시에 문화백수가 발붙인 거시적이고 복잡한 현실구성과 이를 바라 볼 연구의 이론적인 관점을 밝혔다. 문화백수들이 발 디딘 ‘포스트시대'는 이들의 정체성이 복잡하게 엮일 수밖에 없음을 보여주지만 또 이들의 역동성과 불안정성은 오히려 긍정적인 힘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들 문화백수를 살펴보는 영역은 세 군데이다. 문화백수 개인들의 욕망형성의 배경이 되는 한국영화의 성장과 이들의 활동 범위인 독립영화판과 개별적인 문화실천의 영역이다. 그래서 얻어진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영화의 도약은 정책, 산업, 인력, 담론의 발전에 있었다. 하지만 한국영화 발전의 기록에서 누락된 개인의 영화 생산 욕망은 한국영화 발전의 요소들과 상응하지만, 그 관계는 소비영역에서 두드러지고 있었다. 한국영화의 도약 아래, 문화백수 개인들은 담론과 교육의 소비를 통해 영화 생산의 욕망을 키웠고, 현실의 영역 즉 산업과 정책과의 관계를 통해 좀 더 정치적으로 자신의 정체성을 구축했다. 하지만 산업과 정책은 개인의 영화소비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지만, 막상 개인이 영화를 생산할 때는 이들의 욕망을 착취하거나 소외시키는 경향을 보인다. 이 가운데 안정을 주는 것은 스스로 조직한 커뮤니티, 네트워크이다. 그래서 독립영화판 속에서 문화백수는 개별적인 차별 전략을 취한다. 이들은 독립영화라는 모순적인 기표를 취하면서, 성찰적인 질문을 던진다. 그리고 그들은 제도와 소통을 통해 하나로 환원될 수 없는 접합점을 만들어 내며 자기 정체성을 구축한다. 한편 문화생산을 실천하는 지점에서, 개인들의 정체성의 정치가 본격적으로 일어난다. 재특이화를 이룬 정체성은 새로운 영화, 새로운 영화의 영토 만들기와 연결되고, 독립영화의 기표를 통한 정체성 형성은 자기 욕망을 바탕으로 한 영화 만들기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도와의 소통을 통해 형성한 정체성은 탈주적인 실험적 실천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문화 실천의 모습은 전략적이고, 실험적인 형태로 모색된다. 거시적인 영역은 미시적인 차원의 개인들의 정체성에 깊은 연관을 준다. 포스트모더니즘과 포스트포디즘으로 대표되는 포스트시대, 한국영화, 독립영화와 문화백수 개인이라는 큰 축은 간헐적으로 상호 침투한다. \r\n\r\n그래서 내가 주목한 부분은 불완전하고 불명확하게 흔들리는 접속면 그 자체이다. 이 거시적인 변화의 큰 축은 분명 이들의 정체성 형성에 깊은 영향을 줄 것이지만, 이러한 접속은 결국 개인의 문화적 사유화 과정과 실천을 통해 다양하게 분화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제도와의 간극 속에서 분화하는 개인의 탈주적 실천은 다중적인 노동실천으로 볼 수 있다. 그래서 이들은 경제적으로는 ‘백수’이지만, 이들이 ‘문화’를 생산한다는 점에서 활력의 생산자이다. 그래서 이들의 역동적이며 불안정한 정체성 구상은 거시적인 영역과 거친 접촉면을 가지면서 차이를 증폭하는 방향으로 자기 변주를 일으키며 삶의 경험적 실천으로 이어간다. 나의 경험에서 이어나간 ‘문화백수’에 대한 논의는 쉽사리 일반화하기는 힘들겠지만, 나는 나의 연구과정을 최대한 솔직하게 풀어 놓았다. 이 연구는 그 동안 가시화되지 않았던 사람들을 불러 세우고, 이들의 욕망과 문화실천을 거시적인 변화와 연결시켜보았다. 하지만 여전히 내가 강조하고 싶은 부분은 다중의 분자적 욕망 혹은 삶 정치의 영역이 아니라, 이들이 재편성되는 과정에 대한 것이다.

영문초록

Having been a film enthusiast since a childhood, I have, at last, made my own film. It seems that the dream has come true. But even now I am preoccupied with a term; I step back and look back, and dub myself 'A Cultural Nomad'. 'A cultural nomad' is a term embodying the concerns over insecure youths who try to vigorously show their creativity. These are my peers and myself. They value labor and they voluntarily take a path in which they grope for their living and perform cultural,immaterial labor. However, they are inferior in the economy of production and disregarded in general society. So I became curious about what motivates them, what is their identity, and what continues to maintain this identity.Current twenty and thirty year-olds have been described as 'the video generation' as a result of the expansion of Korean popular culture in 1990s. They have been raised by cultural producers the institutional boundaries they could turn to are poor in comparison to their overloaded desire for cultural production. Still, they are both an investment target and profit group for corporations, which are also objects of the larger national institution. It is the Korean film world where we see the big, macroscopic changes that have given birth to this generation with new desires.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is and with a concern for independent film production, I interviewed both acquaintances and personal friends in their twenties and thirties who might be called the cultural nomads. The main issues in the study were: first, where their desire for film production grew from, second, how they constructed their self-identities and third, what potential their work and labor could have given their constructed identities.Let us further consider then, the macroscopic and complicated structure of the reality that forms the background here and that of cultural nomads, as well as the theoretical point of view of this study. The 'post-era' in which the cultural nomads are living suggests that their identities will be may be quite complex, made up of a multitude of sources. On the contrary, their resultant insecurity and their dynamicity can be a source of positive energy. Each of the three territories in which the cultural nomads were observed show growth in the Korean film industry.. This arena is the environment of their activities and the domain of cultural practic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discussed below.The growth of the Korean film genre came through the expansion of policies, industries, human resources, and various discourses. Individual desires when it comes to film production that were overlooked in studies relating to the growth of the Korean film correspond directly with the factors of that growth, but the details were prominent in the area of consumption, specifically. With the growth of the Korean film, the cultural nomads aroused the desire of film producers and simultaneously constructed their identities more politically through a territory of reality or a relation between industries and policies. It is true, industries and policies interconnect with individual consumption of film positively but when it comes to independent film production, they tend to either exploit or alienate individual desires. Therefore, the cultural nomads have worked out a discriminative strategy on their own. They ask an introspective question, using a contradictory signifier, an independent film. In doing this, they make a point of contact that cannot be reduced as one point,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system, and then they construct their own identity using that very system.. Meanwhile, the politics of individual identities occurs in the area of cultural production. Resingularized identities connect with a new film and the territorialization of the new film. To structure identities through the signifier of the independent film connects a film, specifically with one's individual desire, not a mass, institional ethos. The identities are structured through a communication with the system but area also now linked to experimental practices of flight.After all, a macroscopic territory is deeply correlated with individual identities on a microscopic level. The Post-era, the Korean film genre, the independent film industry, and the cultural nomad these gross axes penetrate each other intermittently. Thus I observed that the junction itself is trembling imperfectly and obscurely because, the axis of the macroscopic change might, on one hand, affect the structuring of their identities obviously but in the end, these links branch off in all directions through an individual's process and practice of cultural privatization. They merge but they also diverge. Their tension and branching practice of flight would be seen as multiple practice of labor. They are nomads economically but producers of puissance for their cultural producers. Therefore, their dynamic and insecure construction of identities touches a macroscopic and known territory only briefly and then leads into experimental life practices, generating a self-variation in the direction of an amplified difference.An argument on the cultural nomad, derived from my own experience, might not be easily generalized. It may be seen as too subjective. However, I have expressed the process of my inquiry honestly. This study focused on the people who were almost unknown to the film field so far and connected their desire and cultural practice with the macroscopic changes around them. However, I want to lay more emphasis not on territories or the minutiae of desires of a multitude or even on living politics, but on the ongoing process of their reorganization.

비고 : MVC-06-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