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드라마 <내 이름은 김삼순>의 즐거움에 관한 연구: 텍스트와 수용자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저자명|윤세라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06
  • 담당교수|윤태진

주제어

텔레비전 드라마텍스트 분석수용자 연구즐거움/ TV dramatext analysisaudience studypleasure

국문초록

본 연구는 드라마 <내 이름은 김삼순>에서 의미를 발생시키는 텍스트와 수용자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무엇인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주요 요인을 텍스트에 내재되어 있는 즐거움의 요소와 이로부터 수용자가 느끼는 재미라고 판단하고, 이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즉 본 연구는 <내 이름은 김삼순> 텍스트에 내재되어 있는 즐거움의 요소, 이로부터 수용자가 느끼는 재미, 그리고 이들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김삼순 캐릭터를 중심으로 이 드라마 텍스트에 내재되어 있는 즐거움의 요소를 살펴보았고, 이 드라마를 열광적으로 즐겨 본 일곱 명의 수용자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수행하여 이들이 이 드라마로부터 느낀 즐거움을 알아보았다. 김삼순 캐릭터는 관습적 가치에 영향을 받고 이에 저항하는 듯 보이지만, 결국 관습적 가치에 순응하고 이와 타협하는 매우 현실지향적인 캐릭터였다. 삼순의 겉모습, 삼순의 언행, 그리고 그녀의 언행에 따라 맺어지는 삼순의 인간관계는 표면적으로만, 그리고 그 과정에 있어서만 저항적이었고, 결과적으로는 이 모든 것들이 드라마 내, 외에서 모두 관습적 가치에 순응하고 이와 타협하는 모습이었다. 그러나 김삼순 캐릭터가 이와 같기 때문에, 이것이 드라마에서 즐거움의 요소로 작용할 수 있었다. 즉 김삼순 캐릭터는 그 즐거움의 요소들이 적절히 배치되어 활용되고 있었다. 김삼순 캐릭터의 저항적 즐거움의 요소만 존재했다면, 이는 불완전하고 불안정한 즐거움의 요소가 되었을 것이다. \r\n\r\n그런데 여기에 순응적/타협적 즐거움의 요소가 함께 존재함으로써, 김삼순 캐릭터는 드라마에서 완전하고 안정된 즐거움의 요소가 될 수 있었다. 김삼순 캐릭터에 내재되어 있는 즐거움의 요소는 그 표면과 그 과정에 내재되어 있는 저항적 즐거움의 요소와 함께 그 심층과 그 결과에 내재되어 있는 순응적/관습적 즐거움의 요소의 결합으로, 드라마에서 안정된 즐거움의 요소로 작용하였다.<내 이름은 김삼순>의 수용자들이 느낀 즐거움 중에서도 이 드라마의 저항적 요소로부터 느낀 즐거움이 가장 먼저 드러났다. 수용자들은 가장 먼저 김삼순 캐릭터로부터 느낀 즐거움을 설명하였는데, 이것은 김삼순 캐릭터의 저항적 특징으로부터 느낀 즐거움이었다. 수용자들은 김삼순 캐릭터를 그동안 드라마에서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여주인공 캐릭터로 보며, 그 현실적 묘사를 김삼순 캐릭터의 차별성으로 꼽았다. 그러나 이와 같이 수용자들이 일차적으로 느낀 즐거움은 표면적인 즐거움이었고, 보다 심도 있고 강력한 즐거움은 대체적으로 이 드라마의 순응적/타협적 즐거움의 요소로부터 느낀 것이었다. 이 드라마의 수용자들이 강력한 즐거움을 느꼈던 순응적/타협적 즐거움의 요소는 판타지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수용자들은 자신들과 비슷한 모습을 드라마에서 볼 수 있기를 원했지만, 한편으로는 자신과 똑같은 모습보다는 현재의 모습과는 거리가 있으나 자신이 꿈꾸는 판타지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모습 즉 비현실적인 판타지를 보기를 원했다. 그리고 이로부터 즐거움을 얻기를 바랐다. 수용자들은 이 드라마에서 관습적 가치를 따르고 이와 타협하는 요소로부터 즐거움을 느꼈는데, 이 중에서도 수용자가 드라마로부터 바라는 이상적 판타지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것으로부터 더 강한 즐거움을 느낀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앙(Ang 1985)이 설명한 ‘감정적 리얼리즘(emotional realism)’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수용자들이 드라마로부터 원하는 이상적 판타지는 현실과는 거리가 있는 것으로, 앙의 설명에서 보자면 ‘경험적 사실과 거리가 있고 과장도 심하여 황당무계’해 보이기도 하는 것이다. 수용자들이 드라마에서 보기를 원하는 것은 그동안의 드라마 시청을 통해서 학습된 내용으로, 기존 드라마에서 쉽게 볼 수 있었던 비현실적 요소들이고, 이것은 바로 현실에서는 보기 쉽지 않은 것들이다. 그런데 여기에서 이를 자연스러운 감정의 발전으로 느끼고 이에 공감하며 이로부터 강력한 즐거움을 얻었다는 것은 앙이 주장한 ‘감정적 진솔함’을 느낀 것이다. 즉 이 드라마 텍스트에 내재되어 있는 순응적/타협적 즐거움의 요소들 중에서 수용자들이 드라마로부터 원하는 이상적 판타지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켜 줄 수 있는 요소가 수용자와 만났을 때, 이로부터 수용자는 큰 즐거움을 얻었고 그 상호작용은 매우 활발해졌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이 이 드라마 텍스트에 내재되어 있는 즐거움의 요소와 이로부터 수용자가 느끼는 재미의 보다 실제적인 상호작용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영문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leasure within the text, pleasure from the audiences, and the interaction of these two kinds of pleasure in the drama . To accomplish the study, I designed two research questions. One is to examine the factors of the pleasure which are inherent in the text, focusing on the main character Samsoon. The other is to observe the pleasure from the audiences who enthusiastically watched the drama . Seven audiences were interviewed in depth. Although the main character Samsoon seems to be the one who is against the traditional values, she is actually a very acceptable person, adapting to the traditional values. Samsoon's appearances, her speech and behavior, and her personal relationship are resistant to the traditional values only superficially. \r\n\r\nHowever, as the results of the text analysis, it was turned out that she is very adaptable and negotiable with the traditional values. Because of this adaptable and negotiable characteristic of Samsoon, the drama enhances its pleasure. Namely, this is the point where the pleasure of the drama comes from. If the oppositional characteristic of Samsoon is the only factor that generates the pleasure of the drama, it would be incomplete factor of the pleasure. However, the character of Samsoon gives the complete and well-balanced pleasure due to her adaptable and negotiable characteristic. Therefore, the complete and well-balanced pleasure from this drama is driven by these two levels of pleasure : One is the oppositional characteristic of Samsoon which is superficially appeared throughout the drama, and the other is the adaptable and negotiable feature which can be found through the inner deep interpretation of the drama text.It was Samsoon's resistance to the traditional values that the audiences of the drama firstly got pleasure. The audiences picked out the realistic and lively description of the character Samsoon as a distinguished trait compared to the other dramas, and this oppositional characteristic of Samsoon firstly aroused the pleasure. However, it is a primary and superficial pleasure. The stronger and deeper pleasure is from the adaptable and negotiable factor of the drama. This adaptable and negotiable factor can be named fantasy. The audiences want to see the drama character which is realistically similar to themselves, but on the other hand they also look forward to satisfy their fantasy that they want to be in their dreams. The audiences get stronger pleasure when the ideal fantasy is satisfied by the adaptable and negotiable factor of the drama character.In this study, the term of ‘emotional realism’ what Ang(1985) said becomes clear. When the audiences find out the elements that meet the ideal fantasy that they want from the drama, they get great pleasure 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drama text and the audiences becomes very active. In this contex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actual interaction between the pleasure factors within the drama text and from the audiences.

비고 : MVC-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