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전지구화 내에서의 수용자 문화소비: 일본에서의 한류를 중심으로
  • 저자명|이호정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06
  • 담당교수|윤태진

주제어

전지구화 문화적 정체성 한류 일본 수용자 연구 문화적 소비/ globalization cultural identities Korean Waves Japan audiences cultural practice

국문초록

전지구화를 통해 국경을 넘나들며 진행된 문화 교류는 교류가 진행된 사회뿐만 아니라 그 사회의 사회 구성원 개개인에게도 영향을 미친다. 기술의 발달, 경제적 자본의 뒷받침, 글로벌 미디어를 통한 다양한 이미지, 사람들의 이주 및 여행의 경험 등이 서로 얽히면서 전지구화라는 커다란 흐름을 만들어 내고, 이러한 흐름이 다시 개별 수용자들의 일상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최근 몇 년 동안 각 아시아 국가들에서 확장되고 있는 한국 대중문화의 붐은 이와 같은 전지구적 이슈의 한 흐름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한류의 인기에 대해 분석을 시도하는 많은 연구들이 있어왔는데, 많은 논의들이 오리엔탈리즘이나 유교 주의적 전통을 이용하여 한류를 설명하거나, 특정한 팬덤 현상을 바탕으로 수용자 연구를 진행하면서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처럼 그 동안 한류에 대한 연구는 주로 한류 인기의 원인 분석과 특정 장르나 그룹의 수용자들의 성향을 국가별로 설명하는데 집중되어 개별적인 수용자의 활동을 제대로 읽어내지 못했으므로, 이제 수용자들의 팬 되기 과정과 문화적 정체성의 형성 과정, 한국 대중문화 소비를 통한 의미 생산 활동 등을 살펴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팬들이 한국 대중문화를 접하면서 팬이 되고 자기인식의 변화를 겪게 되는 과정과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일상생활에서 그들의 취향이 어떻게 나타나게 되는지를 함께 살펴보려 하였다. 특히 일본 수용자들이 문화적 취향을 형성하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한류의 형성에 오리엔탈리즘이나 유교 주의적 영향보다는 수용자들의 개별적인 경험과 인식의 차이가 더욱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였다. \r\n\r\n이를 위해 연구에서는 우선 아파두라이의 전지구화 이론을 논의의 배경으로 삼았다. 아파두라이의 전지구화 논의는 에스노스케이프, 테크노스케이프, 파이낸스스케이프, 미디어스케이프, 이데오스케이프 다섯 가지의 정경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전지구화를 형성한다고 설명한다. 특히 이중에서도 사람들의 이동과 이주, 관광, 그리고 미디어의 영향 등 수용자들의 개별적인 경험들이 전지구화가 형성되는데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이렇게 형성된 전지구화는 다시 개별 정경들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제 수용자들은 전지구화를 통해서 그들의 문화적 정체성을 변화시키고 일상생활 안에서 이러한 변화를 드러내게 된다는 것이다.본문에서는 팬들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이들이 한국 대중문화의 팬이 되어가는 과정과 이를 통해 변화한 한국에 대한 이미지, 자기 인식 등에 대해 살폈다. 다음으로 이러한 변화를 바탕으로 일상생활 속에서 어떤 식으로 자신들의 문화적 성향을 드러내고 소비하게 되는지를 논의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처럼 미디어의 영향이 절대적으로 팬이 되는데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수용자 개개인의 개별적인 상황과 경험에 따라서 팬이 되는 과정과 인식이 다르게 나타났다. 팬이 되면서 이들은 공통적으로 한국에 대한 긍정적인 의미구축 과정을 거치게 되고, 다른 수용자들과의 비교나 자신의 문화적 취향에 대한 자체적인 평가를 통해서 팬으로서의 자신을 인식하며 전체적인 문화적 흐름 내에서 자신의 위치를 자리매김하려는 시도를 보였다. \r\n\r\n이를 바탕으로 팬들은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문화적 소비를 하게 되는데, 처음에는 의식적인 문화적 행위였던 행동들이 점차 일상적인 활동으로 여겨지거나, 수용자 스스로에게 다른 의미를 가진 행동으로 해석되는 경우들도 있었다. 예를 들어 한국어를 공부하는 행동은 처음에는 자신이 좋아하는 연예인의 이야기를 이해하기 위해서 시작한 것이었지만, 점차 자신을 위해 뭔가 투자를 한다는 의미로 다가가게 되면서 한국어 습득의 성공여부와 상관없이 그 자체로 팬들에게 의미를 갖게 되기도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들은 하나의 전지구적 문화적 현상을 이해하는데 전체를 포괄하는 개념적인 설명만큼 수용자들의 개별적인 경험과 활동들도 큰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다시 한 번 상기시켜 준다. 그리고 전지구화와 개별 수용자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발전하고 있음을 제시한 아파두라이의 논의를 지지해 주는 것이기도 하다. 특히 이와 같은 개별 수용자들의 일상생활의 변화를 살피는 분석 결과들은 개별 수용자들의 삶에 전지구화가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검증해주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따르면 오리엔탈리즘이나 유교 주의적 사고 등의 추상적인 개념들만을 통해서 한류 수용자들을 분석하는 것은 유용하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개별적인 수용자들이 한류와 연관된 문화적 소비를 통해 자신의 취향과 한류를 조율하고 발전시켜 나가는 과정에서 일상생활 속의 전지구화가 점차 진화하게 되었던 것이다.

영문초록

Globalization is fundamentally characterized by flows across national boundaries. Objects in motion that lead the flow and affect building globalization include ideas and ideologies, people and goods, images, and technology. Appadurai (1996) proposed those objects as five dimensions of an elementary framework for exploring globalization- ethnoscapes, technoscapes, financescapes, mediascapes, and ideoscapes. In this theory, globalization can be built by considering these landscapes together, which also affect individual audiences.Most preceding studies recognize Korean wave among Japanese as one area of global cultural flow. Otherwise, the researchers tend to explain Korean wave by western-centric Orientalism or Confucian traditions. They overlook Japanese audiences who are the subjects of globalization. To better study practices of audiences' daily lives with global culture flow, this study focuses on Japanese audiences' cultural identity and consumption that prefer the Korean Pop Culture. For closer observation, this study entails in-depth interviews with Japanese audiences.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tudy, besides media, Japanese audiences' personal experiences and recognition add to their fandom of international pop culture. Mixed with the individual base and various images from media, Japanese fans could constitute their preference about Korean pop culture. Being fans, they form their cultural identity and construct positive national images of Korea. As Japanese fans, they consume a great deal of Korean culture in their daily lives such as incorporating unique Korean facets in special situations, cooking Korean dishes, or spending a day in a Korean town. These activities allow audiences to share similar experiences with native Korean comrades. Furthermore, during these activities, globalization is articulated with multiple sites in audiences' daily lives.This study shows Japanese audiences’ Korean pop culture tastes and globalization affects the progress each achieves. Globalization is no longer a metaphysical concept in today's world but a realistic idea which is routinely represented. Besides, individuals not only work in ethnoscapes to form globalization but also show globalization in their daily life.

비고 : MVC-0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