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미디어를 통해 재현된 ‘우리’ 속 ‘타자(他者)’와 ‘타자’ 속 ‘우리’에 관한 연구:외국인 이주 노동자와 한국인 이주 노동자를 다룬 텔레비전 다큐멘터리를 중심으로
  • 저자명|주재원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06
  • 담당교수|윤태진

주제어

재현 이주 노동자 타자(他者) 텔레비전 다큐멘터리 민족주의 인종주의 담론 우리화 문화적 배제 구별짓기/ Representation Migrant workers Others Television Documentaries Nationalism Racism Discourse Cultural

국문초록

신자유주의 경제 체제가 전 세계로 확장되면서 지구촌은 세계화(Globalization)라는 새로운 구조 속에 재편되고 있으며, 이는 노동력의 전 지구적 이동 현상에도 영향을 미쳤다. 이주 노동자(migrant workers)라는 용어가 전 세계 노동 시장에 새롭게 등장하게 되었고, 한국 사회도 이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다. 한국 사회는 본래 전형적인 노동자 수출국이었으나, 1990년대부터는 급속도로 외국인 이주 노동자가 유입되면서 여러 가지 사회적 갈등과 문제에 부딪히게 되었다. 하지만 이제까지의 외국인 이주 노동자에 관한 연구들은 주로 국가 정책적 차원, 문화 인류학적 차원, 사회학적 차원에 국한되어 이루어졌으며, 외국인 이주 노동자에 대한 차별과 문화적 배제 현상에 대한 사회적 담론 생산 주체로서의 미디어 연구는 매우 부족했다.\r\n\r\n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의 미디어가 민족주의로 대표되는 거대 담론을 이데올로기적으로 구성하는 방식을 살펴보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즉, 미디어를 이데올로기 재생산의 담론적 실천 주체로 보고, 어떻게 추상적 이데올로기를 구체화하는지, 이러한 담론이 어떤 방식으로 문화적, 사회적 차이를 보다 근본적인 차이로 환원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접근하자면 한국 사회 내 외국인 이주 노동자들이 미디어를 통해 어떻게 재현되는지, 그 속에 내재된 배타적 민족주의 담론의 강화와 이방인에 대한 타자 만들기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객관적인 비교를 위해 미디어가 재현하는 또 다른 집단인 해외에 거주하는 한국인 이주 노동자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한국 사회에서 ‘타자’와 ‘우리’를 바라보는 미디어의 ‘이중적 시선’이 어떻게 작용하고 있으며, 그것에 내재된 혹은 그것을 통해 재구성되는 사회 담론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하였다.이러한 목적으로 2004년 1월부터 2005년 6월까지 1년 6개월 동안 공중파 3사(KBS, MBC, SBS)에서 방영된 다큐멘터리 형식의 프로그램 중 외국인 이주 노동자와 한국인 이주 노동자를 소재로 한 26편을 대상으로 텍스트 분석을 실시하였다. \r\n\r\n본 연구에서는 서사 분석, 비판적 담화 분석, 영상 텍스트 분석 등의 세 가지 분석 방법을 중첩적으로 차용하여 텍스트를 분석하였는데, 이러한 통합적 연구방법을 통해 텔레비전 다큐멘터리의 재현에 대한 분석이 시각적 서사로서의 ‘영상’과 해설로서의 ‘나레이션’ 및 ‘인터뷰’ 그리고, 전체적인 흐름으로서의 ‘서사 구조’를 다각도로 분석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분석방법을 통해 1차적으로 텍스트를 분석하고, 거기에 따른 분석결과를 다시 2차적 텍스트로 분류한 뒤, 2차적 분석 결과에 따른 해석을 통해 오늘날 미디어에서 재현되는 한국사회의 문화, 사회적 담론의 현주소를 발견해보고자 하였다.분석 결과를 정리해보면, 텔레비전 다큐멘터리에서의 외국인 이주 노동자는 잠재적 범법자, 동정의 대상(불쌍한 존재), 가난함, 불결함, 이질성 등과 같은 가치로 재현되고 있으며, 한국인 이주 노동자는 영웅, 고향으로 돌아와야 할 존재, 따뜻함, 인간적임, 성실함, 유능함 등과 같은 가치로 재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적 가치가 외국적 가치에 따라 상대적으로 변하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외국인 이주 노동자들이나 동남아시아, 아랍권 국가와 비교했을 때 한국적 가치는 ‘이성적, 문명적, 냉철함’이라는 가치로 재현되지만, 유럽과 같은 서구 국가와 비교했을 때는 ‘감성적, 자연, 따뜻함’과 같은 가치로 재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 사회에서의 이러한 문화적 배제 현상은 크게 ‘민족주의’와 ‘인종주의’ 담론에 의해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타자’와 ‘우리’를 구분하는 작업은 단순히 차이를 구별하는 것이 아니라 차이의 당위성과 자신의 우위성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여기에서 역사적 기억은 중요한 상징자원으로 활용된다. 그리고 이러한 역사적 기억은 미디어의 재현을 통해 끊임없이 재생산되고, 이를 통해 지배적 담론으로서의 민족주의와 인종주의는 더욱 견고하게 유지된다. 문화적 배제 장치로서의 민족주의 담론은 혈연공동체로서의 민족이라는 절대적인 경계선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매우 특수한 상황을 제외하고는 양보하지 않는 경향을 보인다. 또한 이것은 내부의 결속력을 강화하고, 내부 구성원들에게 외부를 바라보는 절대적인 잣대를 제시함으로써, 획일화된 이데올로기를 확립한다. \r\n\r\n한편 문화적 배제 장치로서의 인종주의 담론은 타자를 부정하면서도 의존하는 상호보완적 관계에서 이루어지는데, 이는 한국의 근대화, 식민지 경험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판단된다.본 연구자는 미디어 재현을 통해 이루어지는 외국인 이주 노동자 대한 문화적 배제와 한국인 이주 노동자들에 대한 끊임없는 정체성의 확인 과정을 ‘우리화’라는 개념으로 설명했다. 내부의 타자를 여전히 타자로 바라보게끔 하는 담론적 기제를 ‘타자화’라고 한다면, 외부의 ‘우리’를 끊임없이 ‘우리’로 호명하는 담론적 기제는 ‘우리화’라고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담론의 이중절합 구조로, 내부의 ‘그들’과 외부의 ‘우리’를 바라보는 정형화된 담론을 끊임없이 생산하는 요소이며, 나아가 ‘상상의 공동체’로서의 민족 담론을 만들어내는 중요한 메커니즘으로 작용하는 것이다.

영문초록

With expansion of neo-liberal economic system around the world, the global society has been newly reorganized in the name of 'Globalization', and this change has also had influence upon international movement of labor. New terms like 'migrant workers' has begun to be used in international labor market, and South Korea couldn't be an exception in this trend. In fact, Korea was one of typical countries exporting labor, but this situation was reversed in 1990s when influx of foreign migrant workers was rapidly increased and various social problems concerned with it were at the same time occurred. Meanwhile, by now, studies about these migrant workers have been limited in a few categories like study for national policy making, anthropological study, or social researches. Studies about the media which was basically main body producing social discourses concerning discrimination against foreign migrant workers and cultural exclusionism toward them were very scarce.The main purpose in this study is to examine means of producing discourses by media which makes major discourses ideologically biased toward nationalism. It would be analyzed how the media gives a concrete form to abstract ideology ,and how the ideological discourses transform some subtle cultural or social differences into fundamental differences would be analyzed. More specifically, it would be consulted how foreign migrant workers in South Korea are shown through the media and how the discourses based on exclusive nationalism found in programs of the media and on the alienation of foreigners are fortified. For an objective comparison, the image of Korean migrant workers working in foreign countries through the media would be examined. Through these processes, it would be consulted how this 'dual perspective' of the media toward 'Others' and 'Ourselves' in Korean society functioned and how the discourses immanent in this perspective or the discourses reorganized by this perspective should be interpreted.In this purpose, the texts of 26 documentaries aired on by 3 major channels (KBS, MBC, SBS) treating problems related to 'foreign migrant workers' and 'Korean migrant worker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e analysis of the texts was composed of analysis of description, analysis of critical discourses, and analysis of imaginal texts, however relative overlapping of these three was inevitable. By this means, television documentaries could be multi laterally analyzed based on 3 categories, 'Image' as visual description, 'Narration' and 'Interview' as explanation, and 'Descriptive Structure' as overall unfolding. Through such analysis, at first, all the texts were scrutinizingly consulted, then, the whole texts were secondarily classified into same sort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first analysis. Finally, the actual state of cultural and social discourses represented by the media was estimated based on the result of the second analysis.According to the whole analysis, while foreign migrant workers were considered as 'latent criminals' and 'the subject of compassion' and they were represented by some values like 'poverty, dirtiness, and difference', Korean migrant workers were considered as 'heroes, human beings who should come back home' and they were represented by values like 'warmness, humanity, sincerity and capability'. Furthermore, the distinctive Korean values in documentaries were relatively changed according to the compared countries. When Korea was compared with South-East Asian countries, the remarkable values of Korea were represented as 'rationality, civilization, and cool-headedness'. To the contrary, when Korea was compared with occidental countries, for example those in Europe, the notable values of Korea were represented as 'humanity, closeness to nature, and warmness'. It is supposed that this cultural exclusionism in Korean society be formed by discourses like 'nationalism' and 'racism'. The differentiation between 'Others' and 'Ourselves' is not only simple distinction about differences, but also is something resulted from 'natural recognition of differences' and 'superiority to others'. Historical memories are also well used as symbolic sources. These are incessantly reproduced through representation by the media, in the course, as dominant discourses nationalism and racism are more firmly maintained.On one hand, nationalism discourse as a medium for cultural exclusionism has unvarying framework called 'People with one blood', and this concept is never conceded except some marginally special situations. Nationalism fortifies internal solidarity, makes inside members have unconditional perspective toward outside and settles uniformed ideology. On the other hand, racism discourse as another medium for cultural exclusionism has a tendency that 'Others' are denied and they are at the same time complementally relied upon. This peculiarity is presumably related with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and with the experience during colonial period in South Korea.In this study, the identity forming process by foreign migrant workers in cultural exclusionism represented by the media is conceptualized as 'We-lization(The conversion of outsider into ourselves)'. When inner 'Others' continue to consider themselves as 'Others', this tendency could be called as 'Other-lization(The conversion of insider into others)'. To the contrary, when outer 'Ourselves' would like to call themselves as 'Ourselves', this tendency could be defined as 'We-lization'. In this mixed situation composed of separation and solidarity, some patterned discourses concerning inner 'Others' and outer 'Ourselves' are these discourses function as important mechanism to form 'People' as 'Imagined Communities' in diverse racial discussions.

비고 : MVC-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