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미니멀 커뮤니케이션의 모호성 연구
  • 저자명|유재림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5
  • 담당교수|박효신

주제어

미니멀리즘, 미니멀 커뮤니케이션, 동양 커뮤니케이션, 서양 커뮤니케이션, 모호성

국문초록

본 논문은 동양의 사유 체계를 중심으로 하여 서양의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더불어 미니멀 커뮤니케이션(Minimal Communication)이 가지고 있는 ‘최소주의’와 ‘모호성’을 통해 참여와 경험을 통한 새로운 경험의 재생산에 관한 연구이다. 모호성이라는 가치가 기존 커뮤니케이션의 진정한 의미에 다가가는 방법적인 도구가 될 수 있으며, 참여를 이끌어 내어 기존의 경험을 추동시키고 모호성 해독의 성취감을 통하여 새로운 경험을 창출 해내는 것이 그 목적이라 할 수 있다. \r\n 본 논문은 서론인 제Ⅰ장<미니멀커뮤니케이션의 모호성>, 본론인 제Ⅱ장 <미니멀커뮤니케이션>, 제Ⅲ장<모호성>, 제Ⅳ장 <브랜딩 전략으로서의 미니멀커뮤니케이션의 모호성>, 제Ⅴ장 <결론>, 제 Ⅵ장으로 구성 된다. \r\n 제Ⅰ장<미니멀커뮤니케이션의 모호성>은 기존의 미니멀리즘의 연구와 플랫(flat)화되고 있는, UI(User Interface)디자인의 동향을 통해 축소/간소화가 아닌 확장의 개념으로 ‘모호성’에 접근한다. 그리고 연구 방법과 내용, 문헌 조사, 사례 분석, 기획안과 작품 계획에 대해 싣고 있다. \r\n 제Ⅱ장 <미니멀 커뮤니케이션>은 미니멀리즘의 태동과 미니멀리즘의 본래의 목적을 역사적으로 고찰하여 미니멀리즘을 동양과 서양의 사유체계를 통해 분석한다.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관점으로 접근하여 서양의 이성적이고, 논리적이며, 합리성을 중심으로 한 사유체계는 가치(Value)가 아닌 기능(Function)의 확장이며, 상호보완적이고 상호작용성으로서의 의사소통에 약한 서양 커뮤니케이션의 한계를 보완해주는 개념으로서 미니멀리즘의 기초적 배경이 된 동양의 유·불·선(儒·佛·仙)사유체계의 커뮤니케이션에서 볼 수 있는 공(空)의 개념을 설명하고 다의적(多義的) 해석이 가능한 시적 표현으로 자유로운 상상력을 허용하는 공간으로서, 확장의 가능성을 열어 주는 동양 커뮤니케이션의 모호성에 대해 중점적으로 연구한다. \r\n 또한 시각 커뮤니케이션의 커뮤니케이션 체계를 로만 야콥슨(Roman Jakobson)의 커뮤니케이션 모델을 통해 설명한 후 미니멀 커뮤니케이션을 ‘최소 단위 커뮤니케이션’으로 정의하고, 미니멀 커뮤니케이션에서 나타나는 모호성의 연관성에 관하여 일본의 와비-사비(わび·さび,侘·寂), 일본의 단시(短诗)인 ‘하이쿠(俳句)’, 불경의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의 ‘색즉시공 공즉시색(色卽是空 空卽是色)’ 구절을 통해 예를 든다. 그리고 모호성을 통해서 수용자가 ① 정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② 그 의미를 읽어 내기 위해 좀 더 적극적인 의미 해독이 가능하며, ③ 다의적인 해석과 사용자의 감성적인 경험 또는 상상력을 자극하여 새로운 경험을 창출 냄으로써, 원형에서 미니멀화를 통해 생성된 모호성이 사고 확장과 경험이라는 가치로 연결되는 것을 설명한다. 그리고 모호성은 어디에나 숨겨져 있으며 최소 단위의 커뮤니케이션은 그 매개체가 모호화됨에 따라서 그 내부에는 복잡한 네트워크를 품고 있음을 이야기한다.\r\n 제Ⅲ장 <모호성>에서는 연구자가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하는 모호성이라는 단어의 사전적 정의와 함께 모호성의 네트워크 체계를 구성하고 있는 모호성의 개념을 상징형식(Symbolic form), 내러티브(narrative), 매개(mediation)를 통하여 연구한다. 그리고 모호성의 네트워크와 방법을 약호(code), ANT(actor-network theory)이론을 통하여 ‘모호성의 네트워크 체계’를 생태계 구조로서 바라보고 명확성을 뛰어넘는 모호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이야기한다.\r\n 그리고 모호성의 해석을 위한 중요 요소로서 ‘모호성의 맥락’을 짚어보며, 체계적 구조로서 윌리엄 엠슨(William Empson)이 제시한 언어의 다의성 개념인 ⌜일곱 가지 유형의 모호성(Seven Types Ambiguity)⌟ ① 은유와 극적 아이러니에 의한 모호성, ② 단일성에 의한 모호성, ③ 동음이어의 펀(PUN)에 의한 모호성, ④ 역설에 의한 모호성, ⑤ 연상 작용에 의한 모호성, ⑥ 불확실성에 의한 모호성, ⑦ 상반에 의한 모호성을 끌어와 미니멀 커뮤니케이션의 모호성을 통해 재분석/분류하여 ① 은유, ② 단일성, ③ 연상, ④ 불확실성으로 나눠진 모호성의 4가지 유형의 모호성을 제안한다. \r\n 제Ⅳ장 <브랜딩 전략으로서의 미니멀 커뮤니케이션의 모호성>에서는 브랜드 이미지 전략과 브랜딩 전박적인 전략 사례를 중심으로 브랜딩에서 미니멀한 태도를 취하는 유형적/무형적인 매개체가 앞에 제시한 모호성의 4가지 유형을 통해 외부와 내부의 네트워크 체계 안에서 어떤 작용을 하고 있는지 분석한다. 실제로 이 사례들에서 미니멀 커뮤니케이션의 모호성의 활용은 브랜딩의 한 가지 적용 방식이 될 수 있으며, 수용자가 적극적 참여(해독)를 통해 경험을 추동시키고 이를 새로운 경험으로 재생산한다는 것과 이를 통해 미니멀 커뮤니케이션의 모호성 영역이 디자인에 국한되지 않고 전체적 브랜딩 전략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r\n 제Ⅴ장 <결론>에서는 본문에서 사례분석 결과 미니멀 커뮤니케이션의 모호성은 확장 개념의 동양의 미니멀리즘과 동양의 커뮤니케이션 사유 체계에 근거하여 기존에 인식하고 있는 단순히 최소화된 시각체가 아니라 수용자의 적극적 참여를 끌어내며 사고 확장과 경험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브랜딩의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임을 알 수 있었다.

영문초록

he current study is concerned with the minimalism and ambiguity present in minimal communication, which stimulate the reproduction of new experiences of participation. The study focuses on the Eastern thought systems while considering Western communication theories. The goal is to show that the value of ambiguity lies in its role as a methodological tool that bring people closer to the real meaning of communication, while inducing participation to drive preexisting experiences, and generate new experiences through the sense of achievement in decoding the ambiguity.\r\nThe current study is composed of four chapters: Chapter 1 “The Ambiguity of Minimal Communication,” Chapter 2 “Minimal Communication,” Chapter 3 “Ambiguity,” Chapter 4 “Ambiguity in Minimal Communication as a Branding Strategy,” and Chapter 5 “Conclusion” as well as Chapter 6.\r\nThe first chapter, “The Ambiguity of Minimal Communication,” approaches the topic of ambiguity as a concept of expansion, rather than reduction or simplification; the chapter amplifies this notion by looking at previous studies on minimalism and the trend of User Interfaces (UI) that are becoming increasingly flat. The chapter also contains methodology, literature review, case studies, and work plans.\r\nThe second chapter, “Minimal Communication,” studies the historical objectives of minimalism and the birth of the movement through the lens of Eastern and Western thought systems. The chapter approaches the topic from a communications perspective to argue that the Western thought system based on reason, logic, and rationality is an expansion of function, rather than values. As a system that complements and interacts with the Western system, the study delineates the concept of emptiness easily seen in Eastern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hat serves as a basic foundation of minimalism. The communication in Eastern thought systems have ambiguity that serve as a space allowing for polysemantic interpretations, poetic expressions, and free imagination, thereby opening up the possibility of expansion.\r\nThe chapter goes on to explain the visual communication systems through Roman Jakobson’s communication model, and define minimal communication as “the minimal unit communication.” The relationship of ambiguity seen in minimal communication are explained through the examples of wabi-sabi and haiku of Japan, and phrase “Form is the void, and the void is form” in the Buddhist Heart Sutra. In addition, the chapter explains that ambiguity leads the recipient of the communication to 1) enhance his interest in the communicated information, 2) more proactively interpret the meaning to better understand, and 3) generate polysemantic interpretations, have sensory experiences, or create new experiences by stimulating the imagination, thereby linking the ambiguity created by minimization to the values of expansion and experience. The chapter also talks about the fact that ambiguity can be hidden anywhere, and that minimal unit communication harbors complex networks as its medium becomes ambiguous.\r\nThe third chapter, “Ambiguity,” deals with the definition of the concept, and delves deeper in to the topic of ambiguity through the lens of symbolic form, narrative, and mediation. The network system of ambiguity are considered to be a living structure, through the lens of code and actor-network theory (ANT), thereby talking about the fact that there is ambiguity that exceeds clarity.\r\nIn addition, the chapter studies the context of ambiguity as an important element in interpreting ambiguity. William Empson’s polysemantic concept of Seven Types of Ambiguity are considered as well: 1) Ambiguity through metaphor and dramatic irony, 2) ambiguity through unity, 3) ambiguity through homonymous puns, 4) ambiguity through paradox, 5) ambiguity through association, 6) ambiguity through uncertainty, and 7) ambiguity through opposites. After considering Empson’s types, the chapter reanalyzes and reclassifies ambiguity into four types of 1) metaphor, 2) unity, 3) association, and 4) uncertainty.\r\nChapter four “Ambiguity in Minimal Communication as a Branding Strategy” studies the brand image strategies to analyze the role of minimal media (with and without form) in and out of the network system of ambiguity, through the four types of ambiguity analyzed in the previous chapter. Through the case studies of the brand imaging strategies, we find out that the utilization of ambiguity in minimal communication can be one application of branding, and that the recipient of the communication can engage in active participation (decoding) in order to drive experience and recreate that experience into something new. We conclude in this chapter that the ambiguity in minimal communication does not limit itself to design, but can apply to the overall branding strategy.\r\nThe fifth chapter concludes that the ambiguity in minimal communication is not a mere minimalized visual object, but a useful tool for branding strategy that can induc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recipient and expansion of ideas and experiences. We arrive at this conclusion based on the Eastern minimalism and communication system that adhere to the concept of expansion.\r\n\r\nKeywords: Minimalism, minimal communication, Eastern communication, Western communication, ambiguity

비고 : MCD-1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