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운동 수행 지식 향상을 위한 인터랙션 디자인 연구
  • 저자명|박인영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6
  • 담당교수|전수진

주제어

분산된 인지, 웨어러블, 인터랙션 디자인, 운동 피드백, 수행 지식

국문초록

혼자 운동을 할 때 겪는 사람들은 적절한 피드백이 부족하다는 문제를 겪는다. 이것\r\n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헬스 클럽에서 운동을 하는 사람들에게 운동 수행 지\r\n식 피드백 향상을 위한 인터랙션 디자인 연구를 수행하여, 분산된 인지 시스템을 웨어\r\n러블 센서가 장착된 의류, 스마트폰, 디스플레이가 연결된 플랫폼에 적용하였다. 문헌\r\n연구에서 분산된 인지와 체화된 인지 이론, 해석 수준 이론, 운동 학습 이론을 분석하\r\n였다. 그리하여 사람들은 정보 이용 시점이 운동 전후인지 운동 중인지에 따라서 추상\r\n적이거나 구체적인 해석 수준의 신체 내적, 외적 정보를 이용하게 된다는 프레임워크\r\n를 도출하였다. 이 프레임워크를 기준으로 사례 분석을 수행했다. 기존 피트니스 웨어\r\n러블 서비스들의 정보 요소를 해석 수준과 심리적 거리에 따라 분류하였으며, 인터랙\r\n션 경험을 마음, 환경, 신체, 환경-신체의 차원으로 분류하였다. 분류를 통해 첫째, 신\r\n체와 환경의 상호 작용 차원에서 사용자들이 감각 정보를 자신의 신체와 연관시키게\r\n하는 피드백 방식이 효과적임과, 둘째, 정보의 해석 수준과 이용 시점에서 디바이스에\r\n대한 심리적 거리가 일치하는 피드백이 효과적임을 도출하였다. 인터뷰를 통해 현장\r\n의 사용자들은 피드백의 부족과 운동 의사 결정의 복잡함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r\n지도자들은 사용자들의 자세 인지를 돕기 위한 언어적, 시각적 피드백을 주고, 사용자\r\n에게 개인화된 운동 지시를 내림이 밝혀졌다. 조사를 통해 운동 피드백 시스템인 ‘XT\r\nBrio’은 운동 전후에는 추상적인 정보 시각화 형태를 통해 반성적 사고를 촉진하도록\r\n하였고, 운동 중에는 구체적이고 다중감각적인 정보의 형태로 현재 동작과 생리적 상\r\n태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작품에 대한 전문가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현재 사용\r\n단계와 정보를 압축해 단순화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해야 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r\n구는 웨어러블과 일반 스마트 디바이스가 함께 쓰이는 플랫폼에 있어서 정보의 해석\r\n수준이 이용 시점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갖는다.

영문초록

For the people who exercise alone, there exists problem of the lack of adequate\r\nfeedback. To resolve this problem, the interaction design study for enhancing the\r\nexercise performance knowledge was executed for the people who work out in the\r\ngym, and distributed system is applied on the connected platform of sports suit\r\nwith wearable sensor attached, smartphone, and display. In the literature study,\r\nthe analysis on distributed and embodied cognition, construal level theory, and\r\nmotor learning theory was reviewed. As a result, the framework was drawn that\r\npeople may utilize ongoing internal and external information of body distinctively\r\nwith high or low construal level depending on time in the course of their\r\nmovements or after the completion of movements. From this framework, case\r\nstudy of existing fitness wearable was performed. The cases are classified by both\r\nconstrual level of information representation and psychological distance of device.\r\nMoreover, interaction experiences of the existing services was characterized by\r\nthe dimensions of mind, environment, body, and environment-body interaction\r\nrespectively. Consequentially, first proposition that environment-body interaction\r\nis the most effective feedback method for the cognition for the body was\r\ncontended. The second suggestion was drawn that information construal level\r\nshould be accordance with psychological distance of devices from the users.\r\nThrough interview of onsite users and trainers, the problems of users are\r\ndiscovered the lack of feedback on their movement and complexity of deciding\r\nwhich exercise is appropriate for themselves. To help these problems, trainers are\r\nfound to provide users language-based or visual image feedback for the posture\r\nof users and recommend personalized exercises instructions. Based on these\r\nfindings, the workout feedback system ‘XT Brios’ was designed with distinctive\r\ninterfaces for the course of exercise and the completion of that. In this system,\r\nbefore and after the exercise session, users are intended to facilitate their reflexive\r\nthinking by interacting with abstract but condensed information. During exercise,\r\nusers are provided concrete and multisensory feedback for the coordinated\r\nknowledge of their ongoing movements and physiological states. The expert\r\ninterview on this designed system revealed that the contents should be simplified\r\nso that users can focus on interesting and engaging experience. This study\r\nindicates the construal level of information for fitness device platform of the\r\nwearables along with non-wearables should be properly decided depending on\r\nthe time of use.\r\nkeyword : distributed cognition, wearable, interaction design, exercise feedback,\r\nperformance knowledge

비고 : MCD-16-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