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비주얼 커뮤니케이션에서의 부조리 디자인 연구
  • 저자명|양희재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6
  • 담당교수|박효신

주제어

부조리 디자인(Absurd Deisgn), 부조리(Absurd), 초현실주의 디자인, 해체주의 디자인, 펀 디자인(Fun Design)

국문초록

o 본 논문은 부조리 디자인에 관한 연구이다. 이성적이고 경제적인 디자인 시대에서, 이와 반대로 비이성적이고 과한, 즉 '부조리(absurd)'한 디자이너의 의식이 담긴 디자인의 예술적 특성을 발견하고자 시작하게 되었다. \r\n점차 획일화되고 보편화된 디자인 흐름 속에서 크리에이터의 의식과 사상을 내포하는 디자인은 점점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자는 예술이 아닌 디자인에서 크리에이터의 주관이 강한 예술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크리에이터의 의식과 메시지, 실험성은, 기존과 다른 시각과 전복적인 관점으로 접근하여 디자인에 비평적이고 창의적인 시각을 유도하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r\n‘부조리’의 개념은 일반인의 이성이나 상식과 대립되는 것으로 다수의 논리에서 벗어난 비논리적, 비이성적인 것을 지칭하고, 우스꽝스럽고, 기괴하거나, 낯선 대상으로 나타난다. 본 논문은 ‘부조리’가 단지 논리와 질서를 벗어난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부조리 표현이 나올 수밖에 없었던 원인과 배경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가정에서 시작한다. ‘부조리’의 개념과 ‘디자인’이 결합된 ‘부조리(absurd) 디자인’은 보편화된 사고에 어긋나는 모순적인 상황이나, 관습적 코드에 대한 크리에이터의 전복적인 의식을 표현하는 디자인이다. 이는 일반적이지 않은 낯선 형상의 디자인으로 나타나는데 이러한 부조리 디자인이 등장하게 된 배경과 크리에이터의 사고를 이해하여 부조리 디자인의 당위성을 마련하고, 부조리 디자인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그 가치를 논의한다.\r\n부조리 디자인은 관습적 코드의 전복적 시각에서 출발한다. 전복적 시각은 익숙한 대상을 낯설게 만들어 수용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어렵게 만들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수용자에게 비판적 사고를 이끌어낼 수 있다는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지닌다. 본 연구는 브레히트의 ‘거리두기’ 이론을 통해서 전복적 시각의 커뮤니케이션 효과의 근거를 마련한다.\r\n본 연구자는 ‘부조리 디자인’을 이해하고 표현 특성을 분석하고자 예술사에서 역사적으로 고수해 왔던 고유한 특성에 대하여 전복적인 시각으로 접근했던 시기의 작품들을 추출하여 ‘부조리’ 현상이 발현되었다고 보고, 그 특성을 분석하여 이를 크리에이터가 관습적 기호를 파괴하고 자의적으로 기의와 기표를 결합하는 ‘자의적 언어성’, 대상이 기존에 지니고 있던 관념, 의미, 형태를 해체시켜 의도적으로 낯설고 비정상적이게 표현하여 웃음을 유발하는 ‘해체의 유희성’, 대상의 원형을 미지화 시켜 불완전하게 사고하는 ‘원형의 비결정성’, 해체하고 미지화한 반현실적인 형태로 은폐된 현실을 보여주는 ‘반현실의 현실화’의 네 가지 특성으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특성들을 기반으로 현대 디자인에 부조리 표현 특성이 어떻게 반영되고 표현되는지 사례를 중심으로 논의한다.\r\n본 연구의 의의는, 디자인에서 크리에이터의 부조리한 주관적 관점으로 익숙한 것을 새롭게 지각하게 이끌고, 수용자에게 비판적 사고를 유도하여 커뮤니케이션의 효과를 더하는 데에 있다. 또한 디자인의 개념과 영역을 확대시켜 디자인 문화를 풍요롭게 만드는 데 필요한 연구라 확신한다.

영문초록

o This thesis will focus on absurd design. Absurd design was founded on a thought that counters the modern trend of designing in which logical and economical design is prevalent. Study of absurd design is in search of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designs that contains illogical and uneconomical(hence "absurd,") thoughts of designers.\r\nIn the current trend of design where uniformity and ubiquity are being standardized, designs that connote their creators' consciousness and idea are losing their ground. I seek for artistic values in unartistic designs. I believe that a trend-setting creator's consciousness, message, and experimentalism possess potential to open new doors to novel critical and original view on established designs.\r\nAbsurdity counters the ideas of the majority, and emerges itself in an exaggerated, bizarre, or unfamiliar form. This paper begins on the assumption that understanding the inevitable causes of the advent of absurd expression are necessary. Absurd design is an expression of the creator's thoughts that counter established and existing ideas. I'd like to discuss about the social effects and values of absurd design by talking about the causal background and the creators' thoughts about absurd design.\r\nAbsurd design begins on overturning the conventional codes. Although overturning view makes communication more difficult between consumers, it provides possibilities for novel ways of criticism. This study draws its base on the communicative effects of overturning views from Bertolt Brecht's theory.\r\nBased on my hypothesis that holds absurd design emerged from some overturning views on the conventional artworks, I will discuss absurd design on four points: arbitrarity in absurd design's language, pleasure in the destruction and recombination, non-determinism of the original form, and the practicality in absurd art's semireality. I will discuss how these four characteristics of absurd art are realized in the modern design world.\r\nThis study is significant in a way that it can potentially catalyze novel views on dissecting conventional design. This can also expand the domain of design itself and enrich the design culture in the long run.

비고 : MCD-1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