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디지털 음원 시장에 적용 가능한 시스템 앨범 커버 연구
  • 저자명|신성찬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6
  • 담당교수|박효신

주제어

앨범 커버, 시스템 앨범 커버, 비주얼 시스템, 디지털 음원, album cover, system album Cover, visual system, digital music

국문초록

앨범 커버는 음악에 시각적 아이덴티티를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물리적 매체를 통해 하나의 상품으로 완성되는 음악의 특성상, 앨범 커버에는 개별적 완결성이 중요한 가치로 여겨져 왔다. 이후 등장한 디지털 음원은 유통, 홍보, 감상 등 음악 산업 전반에 큰 변화를 불러일으켰다. 더 이상 물리적 매체가 없어도 디지털 환경을 통해 소비자와 만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에 따라 앨범 커버에도 변화된 환경에 맞춰 새로운 가치들이 요구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물리적 앨범 커버의 형태나 제작 방식을 그대로 답습하는 경우가 많아 디지털 환경의 특성이 잘 반영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디지털 음원 시장 속에서 앨범 커버의 의미 및 역할에 대해 고찰해보고, 이를 비주얼 시스템의 관점에서 다루고자 한다. 비주얼 시스템은 논리에 기반을 둔 디자인 방법론으로서 그것이 지닌 유기적이며 효율적인 특성이 디지털 환경에서 요구되는 가치들과 맞물려있기 때문이다. 이를 활용하여 제작한 앨범 커버를 ‘시스템 앨범 커버’라 명칭하고, 국내외 앨범 커버의 사례연구를 통해 시스템 앨범 커버의 특징과 활용 방향성에 관해 살펴보았다. 또한, 비주얼 시스템의 적용 범위를 디지털 홍보물까지 확장하여 매체 간 유기적 관계도 함께 다루었다. 최종적으로 이를 가상의 프로젝트에 적용하여 기존 앨범 커버와 구분되는 시스템 앨범 커버만의 특징을 표현해 보았다. 앨범 간 유기적 관계를 형성하는 일관성, 가변성, 위계성 등을 기준으로 제작 단계를 구성하였으며, 이 과정을 통해 시스템 앨범 커버를 이루는 각 특성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획하였다.

영문초록

Album covers give a visual identity to music. Music gets completed as one finished product through a physical medium, and as such completeness as an individual entity has been regarded as an important value for album covers. The advent of digital music has brought huge changes across the entire music industry, including distribution, promotion, and appreciation of music. Under a digital environment, physical media became no longer necessary for music to get into the hands of consumers. Accordingly, album covers needed to change with the changing environment, and they needed new and different values. But in many cases album covers in this digital age simply imitated the existing physical form of album covers or the way in which they are produced. As a result, the qualities unique to the digital environment have not been reflected well in album cov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and role of album covers in the digital music industry, with a visual system approach. A visual system is a design methodology based on logic, and as such its organic and efficient qualities are in line with those values being demanded in the digital environment. A type of album cover produced using this visual system was referred to as a “system album cover” in this study. Case studies were done, which looked at album covers both home and abroad. As a result, the qualities of system album covers and the direction in which it could be used were examined. Also, the scope of applicability for the visual system was expanded to cover digital promotional materials, in order to also examine the organic relationships between different types of media. Finally, system album covers were put to use in a virtual project to highlight the unique qualities of system album covers which are differentiated from the existing album covers. The production stages were set up based on the factors that form an organic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albums, namely consistency, variability, and hierarchy. This process helped to promote an easy understanding of the distinctive qualities that make up a system album cover.

비고 : MCD-1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