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온라인 디지털 교육 환경의 수학 지식 시각화 연구
  • 저자명|황유나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7
  • 담당교수|전수진

주제어

지식 , 지식 시각화 , 시스템 다이어그램 , 널리지패키지맵 , 수학교육 , 온라인 디지털 교육 , Knowledge , Knowledge Visualization , System diagram , Knowledge Package Map(KPM) , Mathematics Education , Online Digital Education

국문초록

본 연구는 '수학 과목이 지닌 계통성과 추상성 때문에 겪는 어려움을 어떻게 하면 해결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특히 연계성이 뚜렷한 수학 지식의 구조를 이해하고 개념을 확장하는데 제약이 많은 기존의 오프라인 교육 환경에 주목하였고, 그것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수단으로 시각화를 생각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학 지식 간의 유기적인 연결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지식 시각화(Knowledge Visualization)'를 이론적 근거로 삼았다. 일단, 현상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구체적인 서비스의 개요를 구상하고, 해당 서비스의 기본 철학이 될 수 있는 지식 시각화라는 학문적 이론에 접근하였다. 기존의 이론을 통합하고 발전시켜 널리지패키지맵이라는 새로운 지식 시각화 유형을 정의하고, 이 연구 이론을 적용한 제품을 기획 및 디자인하고 평가하는 흐름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발 연구(Developmental Research)의 방법론을 따르고 있다. 본 연구는 두 가지 의의가 있다. 첫째, 수학 지식의 생성과 확장을 도와주는 수학 학습의 보조 수단으로서 온라인 디지털 서비스를 구체적으로 제안하였다는 점과 둘째, 그것의 기반이 되는 지식 시각화 유형을 새롭게 정의하고 연구 작품에 적용하였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 정의한 널리지패키지맵(Knowledge Package Map, KPM)이라는 새로운 지식 시각화 유형 이론은 세 단계에 걸쳐 정립되었다. 먼저, 다이어그램, 지식 지도, 지식 영역 시각화라는 기존에 정의된 지식 시각화 유형에서 주요 속성 및 역할을 추출하였고, 그것이 시스템 다이어그램의 네 가지 관점과 어떤 관계를 맺는지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디지털 환경에서 새로운 지식 시각화 유형이 갖춰야 할 특징을 도출하였다. 새롭게 제안한 지식 시각화 유형을 KPM이라 명명하고, KPM의 목적과 정의를 밝힘으로써 이를 활용한 구체적인 서비스 즉, 연구 작품의 목적 달성 여부를 판단하는 지표로 발전시켰다. 연구 작품인 온라인 디지털 수학교육 서비스 <맵앤노트>는 수학 지식의 연결 관계를 검색 및 탐색할 수 있는 지도 영역과 학생이 스스로 지식을 수집 및 구성하고 동료 학습자와 의사소통할 수 있는 노트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로토타입으로 사용성 평가를 진행해 서비스 개선 사항에 관한 의견을 수집하였고, 이를 일부 적용하여 최종 작품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 작품은 KPM의 세 가지 목적인 인지적, 사회적, 정서적 목적을 달성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작품에 미반영된 의견에 관한 후속 연구 가능성과 KPM의 활용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영문초록

This study is based on the question of “How can we overcome the difficulties in mathematics education that are brought on by systemicity and abstractness?”. With a focus on the existing offline learning environment and its numerous limitations in conveying the understanding of the structure of mathematical knowledge and its many interconnected concepts, this study suggests visualization as a means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Prior to the study, the researcher outlined an online digital service which alleviate these difficulties. In the study, the academic theory known as Knowledge Visualization was then applied in its design as a means for conveying the interconnected nature of mathematical knowledge. As a result, a new type of Knowledge Visualization named Knowledge Package Map was proposed and developed as a theory that had been used as a standard for evaluating the proposed service. Therefore, this study follows the methodology of developmental research, with two significant findings. First, it proposed the use of online digital learning as an auxiliary means of mathematics education. Second, it established Knowledge Package Map as the groundwork for the applied research. Knowledge Package Map (KPM) was established in the study as a new type of Knowledge Visualization Type Theory, and was defined in three stages. First, the researcher extracted key attributes and roles in the previously defined Knowledge Visualization types of Diagrams, Knowledge Maps, and Knowledge Domain Visualizations. Second, the researcher analyzed how they were related to the four perspectives of the system diagram.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the researcher derived the characteristics of KPM in an online digital environment with the aim of improving cognitive, social, and emotional engagement. Having clarified its purpose and definition, KPM was then used to determine if the goals of the research study were achieved. The service, named Map & Note, is composed of a Map area for searching and exploring the connective relationships of mathematical knowledge, and a Notebook area for students to collect and organize their knowledge and communicate with fellow learners. The researcher used a prototype of this service to evaluate usability, and finalized the research through collection and application of select feedback.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service accomplished KPM’s three aims: cognitive, social, and emotional engage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possibility of follow-up research on opinions not yet reflected in the study, as well as further applications of KPM.

비고 : MCD-1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