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스마트 모바일 기반 AAC에서의 공존의 경험 구성을 위한 인터랙션 연구
  • 저자명|박지수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8
  • 담당교수|전수진

주제어

보완대체의사소통, 인터랙션, 사용자 경험, 공존, 공동 경험, 내러티브, AAC, interaction, UX, co-presence, co-experience, narrative

국문초록

보완대체의사소통(AAC)는 수화, 의사소통 판, 음성 출력 장치 등을 사용하여 의사소통을 도와주는 것과 같이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들을 위해 말이나 언어를 보완하거나 대체해주는 방식을 의미한다. AAC는 최근에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 모바일 기기가 등장하면서 보편성, 저렴한 가격, 다양한 기능 등 많은 장점으로 인해 앱으로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스마트 모바일 기반 AAC는 수많은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획일적인 디자인을 띠고 있는데, 이는 AAC 대상자가 대화상대자를 향해 효율적인 메시지 전달을 할 수 있게 고안된 디자인으로 기존의 아날로그 형태의 AAC 디자인을 그대로 옮겨온 것이다. 이와 같은 획일화된 디자인은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기능적인 디자인으로서 AAC의 기반이 되지만, 효율성에만 중점을 두는 기능중심적인 시각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하고 있다.
의사소통은 타자와 함께 구성해 나가는 경험으로 양방향으로 일어나는 과정이다. 그러나 현재 AAC 서비스 디자인의 경우 단순히 AAC 대상자가 메시지를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려만 되고 있으며 AAC를 통한 의사소통 경험은 대부분 요구하기를 중심으로 한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능중심적 시각에서 벗어나 AAC에 대한 사용자 경험적 측면의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AAC를 통한 의사소통 경험의 확장 방향성 제안과 더불어 경험을 구성하는 AAC 인터랙션 프레임워크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AAC를 통한 의사소통의 확장 방향성은 타자와 함께 있음을 느끼는 공존의 경험이었다. 공존의 경험은 문헌연구를 통해, 타인이 거기에 있다는 인식, 타인과 함께 있다고 느끼는 심리적 연결, 타인과 함께 공동의 경험 구성 등 세 가지 층위로 나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공존의 경험은 인터랙션이 핵심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공존의 경험 구성을 위한 네 가지 인터랙션 차원(효율적 전달을 위한 인터랙션, 정서적 교감을 위한 인터랙션, 공동 경험 창출을 위한 인터랙션, 공존의 경험을 유지하기 위한 인터랙션)을 도출하여 AAC에 대한 인터랙션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이 프레임워크는 AAC 서비스에 대한 평가 프레임워크인 동시에 서비스 개발 시 참고할 수 있는 개발 프레임워크로 사용될 수 있었다. 작품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AAC 인터랙션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내러티브 방식을 적용한 발달장애인을 위한 AAC 서비스를 디자인하였다. 이를 통해 AAC 프레임워크에 대한 구체적인 적용 방안을 제시하고, 제안한 AAC 인터랙션 프레임워크가 제대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거의 처음으로 이루어지는 AAC에 대한 사용자 경험적 측면의 연구로서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지고 있다. 첫 번째, AAC에 대한 사용자 경험 연구의 초석 마련하였고, 두 번째 AAC의 인터랙션 프레임워크를 통한 인터랙션 디자인 기준점 제공하였으며, 세 번째 본 연구의 이론을 작품에 적용하여 이론의 활용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공하였다.

영문초록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is a way of supplementing or replacing speech or language for those have difficulty communicating, such as using a sign language, a communication board, or a voice output device to help them communicate. AAC has recently been developed as an App because of the many advantages such as universality, low price, various functions with smart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However, despite its many possibilities, AAC on smart mobile device has a uniform design, which is designed to enable AAC subjects to communicate effectively to their conversation partner, and it has transferred the traditional analog form of AAC design as it is. This uniform design is the most basic and functional design, which is the foundation of AAC, but it does not deviate from the function-oriented perspective that focuses only on efficiency.
Communication is a process that takes place in both directions with the experience of composing with others. However, in the current AAC service design, only consideration is given to how AAC subjects can effectively deliver messages, and communication experience through AAC is limited mainly by demand.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AAC interaction framework that constructs experience as well as suggestion of extension direction of communication experience through AAC by proceeding from user - experiential aspect of AAC out of function - oriented perspective.
In this study, the extension direction of communication through AAC proposed is a co-presence experience with others. The experience of co-presence can be divided into three layers through the literature, the perception that others are there, the psychological connection that they feel with others, and the co-experience together with others. Since this experience of co-presence plays a key role in interaction, we proposed the interaction framework for AAC by deriving four dimensions of interaction for constructing co-presence experience. It is an interaction for efficient delivery, an interaction for emotional sympathy, an interaction for creating co-experience, and an interaction for maintaining co-presence. This framework can be used as an evaluation framework for AAC services and as a development framework for service development. In the project, we designed the AAC service for the developmental disabled using the AAC interaction framework applied the narrative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We present a concrete application method for the AAC framework and verified that the proposed AAC interaction framework can work properly.
This study is a user empirical study on AAC which is almost the first domestically and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we set up the cornerstone of the user experience study of AAC. Second, we provide the interaction design reference point through AAC 's interaction framework. Third, the theory of this study was applied to the project, and the method of using the theory was provided concretely.

비고 : MCD-1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