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무대에 나타난 침묵의 형상 : 모리스 블랑쇼의 사상을 중심으로
  • 저자명|권희수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7
  • 담당교수|김형수

주제어

모리스 블랑쇼, 침묵, 글쓰기, 공연예술, 언어, 무대, Maurice Blanchot, silence, writing, performing arts, language, stage

국문초록

본 논고는 모리스 블랑쇼(Maurice Blanchot, 1907-2003)의 침묵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공연예술에 나타난 침묵의 형상을 살펴보고자 했다. 일찍이 블랑쇼는 언어와 언어 바깥의 상관관계에 주목하며 침묵이 이러한 역설적 관계를 보여주는 매개체라는 점을 간파하였다. 블랑쇼가 침묵을 통해 언어의 고유성을 실현시키는 문학의 공간을 찾고자 했다면, 공연에 나타난 침묵의 형상은 직접적으로 소통하는 실천적인 장으로서 보다 구체화된다. 따라서 본 논고에서는 공연예술 작품에서 나타나는 침묵의 형상은 형식적 장치로부터 심화된 의미에 이르기까지 다층적인 맥락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서사성에 의존하지 않고 다양한 형식을 적극적으로 실험하는 공연예술의 경향은 60년대부터 90년대 초에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특히 60년대에 로버트 윌슨(Robert Wilson, 1941-)은 언어가 부재한 작품들을 통해 무대 위에서 새로운 소통 의 가능성을 시도하는 실험적 양식의 계보를 이끌었다. <귀머거리 소년의 응시(Deafman Glance)>는 그 대표적인 작품으로 로버트 윌슨의 직접적인 체험과 더불어 침묵의 낯선 체험이 어떻게 또 다른 의미로 확장될 수 있는지 보여준다. 그의 작품이 언어를 뛰어넘는 소통 가능성을 직접적으로 보여준다면, 로메오 카스텔루치(Romeo Castellucci, 1960-)의 <천국(Paradiso)>은 언어가 작동하는 구조와 그것을 이탈한 즉물적인 감각을 통해 언어가 갖고 있는 필연적인 모순을 공간의 구조적 장치로 보여준다. 한편 클로드 레지(Claude Regy, 1923-)의 <실내(Interieur)>는 이러한 대립이 발생시키는 또 다른 힘에 주목하며 침묵을 통해 ‘이해할 수 있는 것’ 너머에 있는 존재 이면의 영역까지 그 에너지를 확장시킨다. 블랑쇼가 언급한 ‘침묵의 이미지’는 이러한 움직임을 통해 발생하는 궁극적인 공간이다. 이를 통해 침묵은 결코 언어로 완전히 소통할 수 없는 인간의 숙명을 무한한 가능성의 형태로 환원시킨다. 그 결과 침묵의 이미지는 인간의 한계를 보여주는 지표에서 출발하여 공동체의 필연성을 암시하는 매개체로 발전한다. 따라서 침묵에 대한 이해는 언어와의 상관관계부터, 죽음, 언어 이전의 어린아이의 존재와 주체와 타자의 관계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주제를 포함하여 점진적으로 확장된다. 그것은 블랑쇼가 글쓰기를 통해 사유하고자 했던 핵심 주제이기도 하다. 특히 무대가 본래 객석과 무대, 안과 밖이 통합된 공간으로서 행위를 통해 발생하는 에너지를 공유하는 장이었다는 점은 공연예술이 언어의 안과 밖을 공존시키는 매개체로서 침묵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음을 상기시킨다. 블랑쇼가 침묵을 통해 문학 고유의 공간을 발견하였듯이 공연예술에서 역시 침묵은 본래 언어를 통해 출구를 찾지 못한 극장의 본래적 의미를 밝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침묵에 대한 다층적 고찰은 그동안 철학적으로만 논의되어왔던 언어, 주체성 그리고 죽음에 관련된 다양한 논의들을 함축하며 공연예술의 고유성을 성찰해볼 수 있는 계기를 만들 것이다.

영문초록

This essay examines the works of silence in performing arts which emboides the form of silence by Maurice Blanchot. Early on, Blanchot focu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language and language outside, and found that silence is the medium of this paradoxical relationship. If Blanchot thought silence as a literary space that realizes the uniqueness of language, the appearance of silence in the performance materializes as a practical field communicating outside the language. Therefore, in the works of performing arts, the form of silence appears in a multi - layered context ranging from formal devices to deepened meanings. Especially, the tendency of the performing arts to active experiment with various forms without depending on narrativity is remarkable in the 60s and early 90s. Particularly in 1960s, Robert Wilson led a series of experimental styles that attempted new communication possibilities on stage through works with no language. is a representative work of Robert Wilson, showing how the unfamiliar experience of silence can be extended to another meaning with his own experience. If Robert Wilson's work directly question about the communication possibility of the language outside, then Romeo Castellucci's would be able to demonstrate inevitable contradiction of language as the space structural equipment through the language operation structure and the immediate sense of departure. Meanwhile, Claude Regy's focuses on another power generated by this confrontation and extends its energy to the area beyond the 'understandable' through silence. The 'image of silence' mentioned by Blanchot was 'outward movement' through this movement. Through this, silence eventually reverts human fate, which can never fully communicate with language, to the form of infinite possibilities. As a result, the image of silence evolves from an indicator of the impossibility of the human being and as a medium that suggests the inevitability of the community in solitude of being alone. So understanding of silence gradually expands, including the wide range of topics, from the correlation with language to the existence of a child before death, languag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and object. It is also a key topic that Blanchot wanted to think by writing. The fact that the stage was originally a place where the seats, the stage, the inside and the outside were integrated and the energy generated through the performance was shared, reminds us that the performing arts are closely related to the silence as a medium that coexists both inside and outside of the language. In particular, as Blanchot discovered the space inherent in literature through silence, silence can also be a chance to reveal the original meaning of a theater that did not find its way through the original language. This multi-layered view of silence implies various discussions related to language, subjectivity and death that have been discussed only philosophically in the meantime, and will create a chance to reflect on the uniqueness of performing arts.

비고 : MMA-1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