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공중의 메시지 수용에 미치는 효과 연구 : 군사적 충돌 위기시 책임귀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저자명|김형진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6
  • 담당교수|김경모

주제어

군사적 충돌 위기,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 책임귀인, 메시지 수용

국문초록

본 연구는 군사적 충돌 위기시 군(軍)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공중의 메시지 수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책임귀인을 도의적 차원과 실제적 차원으로 구분해 매개역할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2015년 10월 20일부터 23일까지 전국의 20세 이상 65세 이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온라인 실험 서베이를 통해 384개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문제1>에서는 군사적 충돌 위기시 군(軍)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따른 도의적, 실제적 책임귀인의 차이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도의적 차원에서 수용 전략보다는 방어 전략에서 도의적 책임귀인이 더 낮게 나타나 <가설 1-1>은 지지되었으며, 이는 위기 책임성이 낮은 위기에서 수용 전략에 비해 방어 전략이 효과적이라는 상황적 위기 커뮤니케이션 이론(SCCT)의 주장과 일치한다. 실제적 차원에서는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따른 실제적 책임귀인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가설 1-2>는 기각되었으며, 이는 실제적 책임귀인에 대해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과 사과전략은 영향이 없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 <연구문제2>에서는 도의적, 실제적 책임귀인이 공중의 메시지 수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도의적 책임귀인이 증가할수록 공중의 메시지 수용이 감소해 <가설 2-1>은 지지되었으며, 실제적 책임귀인 역시 증가할수록 공중의 메시지 수용이 감소해 <가설 2-2>는 지지되었다. <연구문제3>에서는 군사적 충돌 위기시 군(軍)의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따라 공중의 메시지 수용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군(軍)이 사용하는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따라 공중이 메시지를 받아들이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때 수용 전략을 사용할 때 보다 방어 전략을 사용할 때의 공중의 메시지 수용도가 높게 나타났다. 즉, 공중은 군사적 충돌 위기시 군(軍)이 방어 전략을 사용할 때 메시지를 더 잘 받아들였다. 이는 SCCT의 주장과 일치하는 결과이며, 군사적 충돌 위기라는 특수한 상황에서는 기업 위기 상황과 달리 방어적 메시지가 더 효과적인 전략임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r\n <연구문제4>는 군사적 충돌 위기시 군(軍)의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과 공중의 메시지 수용 사이에서 책임귀인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매개 모형 검증을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도의적 책임귀인이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과 공중의 메시지 수용 사이에서 완전 매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는 군(軍)의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공중의 메시지 수용에 미치는 효과가 도의적 책임귀인을 통해서만 발생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공중의 도의적 책임귀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선택하는 것이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적 책임귀인은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영향을 받지 않아 매개변수의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초록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crisis communication strategy on public’s strategy message accepta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crisis responsibility attribution.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crisis communication strategies (defensive/accommodative) and dependent variables was public’s strategy message acceptance and mediating variable was responsibility attribution(moral and actual).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20 ~ 65 year old domestic people from 20th to 23rd OCT. A factor analysis of crisis responsibility attribution produced two factors, moral responsibility and actual responsibility. \r\n According to the Situational Crisis Communication Theory(SCCT), which is developed based on the Attribution Theory, when corporations face the crisis, they have to use appropriate crisis strategy in order to minimize the damages. A lot of previous researches have confirmed the SCCT, however recent domestic researches show opposite results. Domestic researches insist that due to cultural speciality, SCCT is unacceptable in the domestic situation. But this experimental study proved that SCCT is acceptable in a special domestic situation, a military collision crisis situation. \r\n Results are as follows. People recognize lower moral responsibility attribution when military use defensive strategy rather than accommodative strategy. And, the more moral and actual responsibility attribution people recognize, the less people accept the military’s message. Futhermore, people who received military’s defensive strategy message show more message acceptance than those who received accommodative strategy. Also, moral responsibility attribution was identified to act as a complete mediator between crisis communication strategy and message acceptance. \r\n This study shows that SCCT is acceptable in the military collision crisis, even if still there were many previous researches have opposite results in the corporation crisis. Therefore, this study implicates that although there are cultural specialities in the domestic, acceptability of the SCCT depend on its crisis situation, ‘who’s crisis’ or ‘what kind of crisis’. In addition, this study shows that people’s crisis responsibility can subdivide into two dimension, moral responsibility attribution and actual responsibility attribution.

비고 : COM-1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