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정보원 자기노출이 사회적 실재감과 제품후기 정보 신뢰성에 대한 수용자의 지각에 미치는 영향 : 이미지 중심 정보와 텍스트 중심 정보의 차이를 중심으로
  • 저자명|문지현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5
  • 담당교수|김희진

주제어

정보원, 제품후기, 모바일 SNS, 자기노출, 정보형태, 시각적 요소, 이미지 중심 정보, 텍스트 중심 정보, 사회적 실재감, 정보 신뢰성

국문초록

o 현대사회는 넘쳐나는 정보를 어떻게 분류하고 활용할 것인지, 또 그것을 어떻게 담아내고 표현할 것인지가 중요한 시대이다. 모바일을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를 통한 미디어의 변화는 정보의 접근방식과 표현의 다양성을 이끌어냈다. 이는 정보 자체의 문제 뿐만 아닌 미디어의 환경변화에 따라 정보를 어떻게 담아내고 표현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부각시킨다. 특히 모바일 미디어를 통한 Social Network Service는 물리적 공간의 경계가 없고, 실시간 교류가 가능하며, 이용 시간에 대한 제약이 없어 즉각적인 정보공유에 유용하다는 특성을 지닌다. 이 때문에 정보의 표현 유형을 밝혀보는 것은 사용자가 그것을 어떻게 인식하고 수용하는지를 알아보는 바탕이 된다.\r\n정보 전달과 정보 신뢰성에 있어 어떤 내용을 전달할 것인가와 그것을 어떤 표현으로 전달할 것인가는 커뮤니케이션의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침투이론에 근거하여 모바일 SNS 제품 후기 정보원의 사적 자기노출이 사회적 실재감과 정보의 신뢰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그리고 정보의 형태를 시각적 요소가 많은 이미지 중심 정보와 시각적 요소가 적은 텍스트 중심 정보로 구분하고, 그로 인한 사회적 실재감과 정보의 신뢰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정보에서의 시각적 요소는 문자적 활용을 최소화하여 간결하고 구체적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Wanta와 Gao(1995)는 젊은 독자들일수록 시각정보에 대하여 흥미를 더 많이 갖게 되고,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시각정보의 사용이 이해와 기억을 높인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광고에서의 시각적 요소는 소비자들의 호기심을 유발하고 집중시키는데 문자적 요소에 비해 큰 효과를 가진다. 이중부호화이론에 따르면 문자정보와 시각정보의 결합을 통한 정보 전달이 가장 효과적이라 하였다. 시각적 요소는 여러 측면에서 문자적 요소보다 더 나은 정보 전달력을 가졌지만, 이미지가 메시지를 함축적으로 담고 있으며 다의적으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에 시각적 요소의 단독적인 정보전달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 정보와 문자적 정보의 혼합 형태에 있어 시각적 요소의 수준에 따른 차이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에 따라 시각적 자극과 문자적 자극에 의한 경험 유발 여부의 차이를 주 논의 대상으로 설정하여 그로 인한 사회적 실재감과 정보 신뢰성 차이를 검증하였다.\r\n연구 결과 모바일 SNS 제품후기 정보에서 정보원의 사적 개인정보가 많은, 즉 자기노출의 빈도가 높은 정보와 시각적 요소가 많은 이미지 중심 정보는 각각 높은 수준의 사회적 실재감을 형성하였으나, 정보의 형태를 조절변인으로 하였을 때 사회적 실재감에 미치는 정보원의 자기노출의 상호작용 효과는 보이지 않았다. 즉, 정보 형태에 따른 정보원의 자기노출 효과는 사회적 실재감과 정보의 신뢰성에 다르게 나타나지 않았다. 더불어 높은 수준의 정보원의 자기노출과 이미지 중심 정보는 각각 정보의 신뢰성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진 것이 검증되었으며, 정보원의 자기노출과 정보의 형태가 사회적 실재감의 매개효과를 통해 정보 신뢰성에 미치는 효과 또한 나타났다. 본 논문은 정보의 표현 형태(이미지 중심/ 텍스트 중심)와 정보원의 자기노출(고/저)에 따라 사회적 실재감과 정보 신뢰성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규명하였다. 이미지 중심 정보와 텍스트 중심 정보는 시각적 요소 수준의 조절변인으로써, 정보의 형태와 정보원의 자기노출로 인한 사회적 실재감과 정보의 신뢰성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검증하였다. 그 동안에 사회적 실재감과 정보의 신뢰성이 정보원의 특성이나 정보가 전달되는 매체 특성에 제한되어 이루어져 왔던 것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정보원의 자기노출이 전달되는 정보의 형태에 의해 신뢰성이 새롭게 제공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영문초록

비고 : COM-1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