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육군의 소부대 단위 네이버 밴드 운용과 장병 부모들의 사회자본 형성
  • 저자명|황태성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8
  • 담당교수|박남기

주제어

사회자본, 폐쇄형 SNS, 이용동기, 육군 신뢰, 육군 소부대 단위 네이버 밴드, social capital, closed SNS, use motivation, army trust, army’s small unit Naver Band

국문초록

본 연구에서는 육군 소부대 네이버 밴드의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장병 부모들의 SNS 이용동기를 확인하고, SNS 이용정도와 이용동기에 따라 어떻게 사회자본을 형성하게 되며, 사회자본의 유형에 따라 육군의 신뢰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SNS 이용동기는 재미추구, 사회 상호작용, 정보추구 등 3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동기요인을 확인하였다. 장병 부모들이 SNS를 이용하는 정도에 따라 사회자본의 크기가 증가하는지를 확인한 결과 SNS 이용정도는 교량형 사회자본과 결속형 사회자본 형성 모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SNS 이용동기가 각 유형별 사회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 결과, 교량형 사회자본에는 사회 상호작용과 정보추구 동기가, 결속형 사회자본에는 재미추구와 정보추구 동기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교량형 사회자본과 결속형 사회자본이 육군 신뢰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확인한 결과, 교량형 사회자본은 육군 신뢰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내는 반면, 결속형 사회자본이 육군 신뢰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볼 때, 앞으로 육군이 소부대 네이버 밴드를 운영함에 있어 교량형 사회자본 형성에 주목하여 부모들의 사회 상호작용과 정보추구의 동기에 적합한 콘텐츠를 업로드하고 이를 극대화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방식의 도입이 필요할 것이라고 제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폐쇄형 SNS 채널에서 교량형 사회자본뿐 아니라 강한 유대를 기반으로 한 결속형 사회자본도 형성이 가능한 것을 검증하였고, 교량형 사회자본이 사회에 미칠 수 있는 긍정적 외부 효과를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데 의의를 갖는다.

영문초록

The Army's Naver Band and Social Capital of Soldiers’ parents


Tae Sung Hwang
The Graduate School of Communication and Arts
Yonsei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otivation of SNS use of soldiers' parents in the communication situation of the ROK army’s Naver Band. Also the study examines how social capital is form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SNS use and motivation for use, and how it affects the trust of the army according to the type of social capital. As a result of the study, motivation for using SNS is identified by three factors including fun pursuit, social interaction, and information seeking. The degree of SNS use has a positive effect on both bridging social capital and bonding social capital. It is found that social interaction and information seeking motive in bridging social capital and fun seeking and information seeking motive in bonding social capital have positive effect. Bridging social capital has a positive effect on army trust, while the effect of bonding social capital on army trus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the study suggests the army should focus on the formation of bridging social capital in the operation of the Naver Band, and it would be necessary to upload the contents suitable for the motivation of parents' social interaction and information seek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it is possible to form bonding social capital based on strong tie as well as bridging social capital in closed SNS channel, and it is empirically tested that positive external effects of bridging social capital on the society.

비고 : COM-1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