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건강·의료 뉴스 생산 과정에 관한 연구 : 의학전문기자의 ''''이중적 직업 정체성''''을 중심으로
  • 저자명|김지현
  • 학위|박사
  • 졸업연도|2017
  • 담당교수|김용찬

주제어

의학전문기자, 건강·의료 뉴스 생산과정, 이중적 직업 정체성, 의학보도, 심층 인터뷰, 내용분석, 헬스 저널리즘, health and medical news coverage, professional medical-journalist, news making process, dual identity, health journalism, in-depth interview, content analysis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의 의학전문기자들의 뉴스 생산과정을 인터뷰와 내용분석을 통해 살펴보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기자이자 의사라는 의학전문기자의 이중적 정체성이 뉴스 생산 과정 속에서 어떻게 조정되는가?”라는 문제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의학전문기자가 스스로의 직업 정체성을 어떻게 구축하고 있는가와 관련하며 이를 위해 스스로의 정체성 인식, 상호인식, 언론직에 대한 인식을 세부적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둘째는 의학전문기자의 뉴스 생산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와 관련한다. 특히, 그 속에서 기자 개인적 요인과 언론사의 조직적 요인의 관계는 어떤 특성을 보이는가에 주목하였다. 셋째는 의학전문기자들이 평소 작성한 뉴스 기사의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고, 넷째는 의학전문기자들이 특정한 건강 이슈에 대해 작성한 기사의 특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문제들을 다루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심층인터뷰와 내용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먼지 의학전문기자(n=10)와의 인터뷰를 통해서 아이템 선정, 정보 검증, 뉴스 보도에 이르는 뉴스 생산과정에서 의학전문기자가 어떻게 자신의 이중적 정체성을 조정하는지 살펴보았다. 또, 내용분석을 통해 기자 개인과 언론사 조직의 상호작용 결과물로서의 뉴스 보도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비 의사출신 의학전문기자를 비교군으로 삼아 의학전문기자들과 비 의사출신 의학전문기자들 간 업무 수행 과정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내용 분석은 두 단계로 이루어졌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인터뷰의 대상인 의학전문기자가 인터뷰 시점을 기준으로 최근 3년간 작성 한 일반적인 건강·의료 뉴스를 분석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특정 건강 이슈(메르스 사태)를 다루는 뉴스 기사를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사출신 의학전문기자들은 의사라는 정체성과 기자라는 정체성을 동시에 활용하며 뉴스 생산 과정에 참여한다. 특히, 언론사 조직 내에서는 의학 전문가라는 정체성을 기반으로, 조직 밖에서는 기자라는 기자 정체성을 기반으로 업무를 수행한다. 기자와 의사의 이중적 정체성을 전략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언론사 조직 내에서 자기들의 영역을 확고하게 구축하려 한다. 둘째, 의사출신 의학전문기자와 비 의사출신 의학전문기자가 뉴스 아이템 선정 단계에서 이용하는 정보 출처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두 집단 모두 출입처의 보도 자료, 인터넷, 지인, 타 매체 등 다양한 곳에서 뉴스 아이템을 얻는다. 두 집단 간 유일한 차이는 의사출신 의학전문기자들의 경우 비 의사출신 의학전문기자들에 비해 학술 논문을 정보의 출처로 이용하는 경우가 더 빈번하고, 출입처의 보도 자료를 더 면밀히 검증하는 경향이 더 강하다는 것이다. 비 의사출신은 출처의 공신력을 정보의 신뢰성을 담보하는 것으로 여기는 경향이 더 강했다. 이러한 차이는 내용분석 결과를 통해서도 입증되었다. 셋째, 건강 뉴스 생산 과정전반에서 기자들은 의학전문기자이던 아니던 상관없이 어느 정도의 전문성과 자율성을 갖는다고 인식한다. 하지만 그러한 인식의 근거가 무엇인가를 살펴본 결과에서 두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난다. 의사출신 의학전문기자는 데스크를 저널리즘 전문가로, 본인을 의학 전문가로 간주하고 서로의 전문성을 인정한다는 관점으로 업무 자율성을 인식한다. 비 의사출신 의학전문기자는 건강·의료 분야가 갖는 전문성으로 인해 다른 분야(가령, 정치나 경제 분야 등)의 담당 기자들에 비해 건강·의료 담당 기자에게는 상대적으로 더 큰 권한이 온다는 관점으로 업무 자율성을 인식한다. 넷째, 기사 아이템 선정이나 기사 내용의 방향에 대해 데스크와의 충돌이나 갈등이 있을 경우 의사출신 의학전문기자는 의학 전문가로서의 가치 체계 내에서 데스크의 입장을 수용할지, 저항할지 판단한다. 반면 비 의사출신 의학전문기자는 저널리즘의 가치 체계 내에서 타협한다. 두 집단 모두 데스크나 회사의 요구가 자신들의 가치체계 내에서 어긋나지 않으면 수용하지만, 수용하기 힘든 경우엔 의사출신 의학전문기자는 의학 전문가로서의 정체성을 내세우며 데스크의 요구를 거절하고, 비 의사출신 의학전문기자들은 ‘좀 대들거나’ 보도를 유보하는 등의 방식으로 저항한다. 다섯째, 뉴스에 포함된 정보를 확인하는 방식에 있어서 의사출신 의학전문기자와 비 의사출신 의학전문기자들 사이에 공통점과 차이가 동시에 존재한다. 두 집단 모두 정보 검증을 위해 주로 인맥을 활용한 취재원 접근을 시도한다. 그러나 상당수의 의사출신 의학전문기자는 비 의사출신 의학전문기자에 비해 학술 논문을 직접 찾아 정보의 사실 여부를 검증하기도 한다. 비 의사출신 의학전문기자는 주로 관련 전문가(의학 전문가나 기관 관계자)를 만나 그들의 해석과 의견을 구함으로서 정보의 사실 여부를 검증한다. 이러한 경향은 내용분석 결과에서도 나타났다. 여섯째, 의학전문기자들은 비 의사출신 의학전문기자들에 비해 기사 가독성을 확보하는 것을 힘든 문제로 인식하는 정도가 크다. 많은 의학전문기자들이 전문적인 의학 용어를 시청자나 독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쓰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일곱째, 메르스 사건에 대한 기사를 분석한 결과 의학전문기자들과 비 의사출신 의학전문기자들 사이에 건강 쟁점의 책임소재를 설정하는 것과 취재원 선택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의학전문기자들은 정부와 병원 모두를 책임 주체로 파악하는 경향이 컸고, 의사들과 정부 정책 담당자를 주 취재원으로 삼는 빈도가 높았다. 이에 비해 비의사출신 의학전문기자들은 정부만을 책임주체로 파악하는 경향이 강했고, 신분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병원관계자’를 주 취재원으로 삼는 빈도가 높았다

영문초록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ews making process of professional medical journalists playing a vital role in producing and conveying health-medical news in Korea via in-depth interview and content analysis. This study specially focused on the dual identity of professional medical journalists. The analysis followed the news making process which includes news item selection, information verification, and news coverage and analyzed the interaction between professional medical journalists and various influence factors.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professional medical journalists' news article via content-analysis in an attempt to expl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an integrated perspective. The professional medical journalists who have no medical license but are considered as professional reporters by having built a career in a health field for over 10 years are analyzed as a comparison group as well as the professional medical journalists who have medical license. They will be called 'No medical license group'. In-depth interview and content analysis were conducted step by step to have completion for this study by supplementing the limitation of each method. Content analysis is divided into two parts. One is to analyze the articles on a regular day with no special medical issue. The other is to analyze the articles on a special issue which requires medical reporters to demonstrate their medical expertise. The designated issue is 'MERSC(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which spread in Korea in 201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professional medical journalists have conducted news making process having dual identity as a doctor and journalist without selecting only one specific identity. Especially, they practice their job based on the medical identity within news organization while based on the journalist's identity outside news organization. Professional medical journalists are devoted to their role of medical advisor for other non-professional reporters as well as of journalists. By using their 'dual' identity strategically, they try to establish their own field within news organization steadfastly. Secondly, the news sources used by medical license group are not strikingly different from those used by no-medical license group. The news sources are press release of news beat, internet, acquaintance, and other media, etc. The only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s for medical license group to check an academic thesis in selecting news item and verifying whether the press release of news neat is correct or not. The no-medical license group tends to select press release of news beat which has public confidence as a means of guaranteeing the information credibility. This finding was also identified in content analysis. Thirdly, the professional medical journalists are aware that they have domain expertise and autonomy to some extent at health news making process regardless of having a medical license. However, the basis of the awareness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medical license group accepts their professional autonomy regarding the desk or senior reporters as experts in journalism whereas they consider themselves as medical experts. They have an perspective of accepting each other's expertise. On the other hand, the no-medical license group regards their professional autonomy as the authority gained by being in charge of the health field, not other field such as politics and economics. They explain that the reporters who are responsible for health news can have more autonomy compared to other reporters. Fourthly, in case of conflict between reporters and the desk in deciding news items or news frame, the medical license group judges whether they accept or resist the desk's view based on medical experts' view, while no-medical license group compromises with the desk within the value system of journalism. Fifthly, between the two groups, the difference and a common feature coexist in verifying the information included in news contents. The two groups attempt to access news sources with personal connections. But most reporters at medical license group tend to verify matter of fact of the information through an academic paper. Whereas the no-medical license group investigates matter of fact by asking medical experts to analyze and explain certain issues. This pattern was also identified in content analysis. The sixth finding of this study is about the readability. The medical license group has difficulty ensuring the readability for the public compared to no-medical license group. Most professional medical journalists point out the difficulty of transmitting medical terms into simple terms to make people understand easily. Finally,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articles about MERSC showed that medical license group and no-medical license group differed from framing locus of responsibility and selecting news sources. The medical license group tended to accuse government and big hospitals of main agents of the responsibility. And they frequently selected doctors and policy makers as main news sources. While no-medical license group tended to accuse only government of being responsible for MERSC and they mostly selected the hospital interested as main news sources without clarify news source' name or identity.

비고 : CAQ-1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