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정파적 정체성과 감정적 극화가 타인의 도덕적 평가에 미치는 영향 : 수용자의 정파성과 뉴스의 정파성 일치 여부를 중심으로
  • 저자명|김상정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7
  • 담당교수|김경모

주제어

정치 양극화, 감정적 극화, 정파적 주체, 정파 뉴스, 도덕적 평가

국문초록

정치 양극화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이 정당들이 내놓는 정책에 대한 정파적 수용자의 지지나 반대에 관한 태도 연구에 머물렀다면 본 연구는 정파적 수용자들 간의 감정적 극화에 초점을 맞춘 데서 차이점을 둔다. 감정적 극화란 정파적 주체가 자신의 정치 성향과 반대되는 성향을 지닌 상대방에게는 부정적인 감정을 갖고, 자신과 동일한 정치 성향을 지닌 상대방에게는 긍정적인 감정을 갖는 현상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정파적 수용자가 정파 뉴스에 노출되었을 때 감정적 극화가 촉발될 뿐만 아니라 비정치적 영역인 타인에 대한 도덕적 평가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2(진보적 피험자 집단 vs. 보수적 피험자 집단) 3(통제 집단 vs. 내집단 편향 기사 집단 vs. 외집단 편향 기사 집단) 2(보수적 인물의 페이스북 프로필 제시 집단 vs. 진보적 인물의 페이스북 프로필 제시 집단) 실험 설계를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내집단 편향 기사에 노출된 피험자와 외집단 편향 기사에 노출된 피험자 모두 정파적 정체성의 강도가 클수록 감정적 극화 현상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내집단 편향 기사에 노출된 피험자와 외집단 편향 기사에 노출된 피험자 모두 정파적 정체성의 강도가 클수록 자신의 정치성향과 반대되는 성향을 지닌 타인에게는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고, 자신과 동일한 성향을 지닌 타인에게는 긍정적인 감정을 느끼는 것을 공분산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그러나 기사의 노출 여부가 정파적 정체성 강도에 따른 감정적 극화의 크기를 조절하지는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감정적 극화가 정파적 수용자가 타인에 대한 도덕적 평가를 내리는 과정을 매개하는 지 살펴보았을 때 개인의 정파적 정체성의 강도에 따른 감정적 극화가 정파적 개인으로 하여금 자신의 정파적 내집단에 속한 타인에 대한 도덕적 평가를 외집단에 속한 타인보다 훨씬 후하게 하도록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함의와 한계점을 논의했다.

영문초록

Existing researches on political polarization were mostly attitudinal studies on partisans' support or opposition toward policies of parties. This study differentiates from previous studies by focusing on partisans' affective polarization. Affective polarization is a phenomenon in which a partisan feels negatively about a person who has different partisan identity, and feels positively about a person who has the same partisan identity. This study is 2(liberals vs. conservatives) 3(control group vs. in-group biased news vs. out-group biased news) 2(conservative partisan's Facebook profile vs. liberal partisan's Facebook profile) experimental study design which tries to verify that not only affective polarization occurs when a partisan is exposed to biased articles but also affects partisan's moral evaluation toward others. According to the results, when the partisan's political identity was stronger, affective polarization occurred despite the content of a news article. In other words, both partisans who were exposed to in-group biased article and out-group biased article felt negatively toward a person who was a member of political out-group and felt positively toward a person who was a member of political in-group when their political identities were stronger than others. However, this study found out that the exposure of news article does not moderate the effect of political identity strength on affective polarization. In addition, affective polarization triggered by the strength of an individual's political identity caused the individual to evaluate more generously toward the political in-group than the political out-group when making moral evaluation on other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in this stud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es.

비고 : COM-1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