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무의지적 기억의 재현과 사유의 문제
  • 저자명|김지하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05
  • 담당교수|김형수

주제어

무의지적 기억, 들뢰즈, 프루스트, 다큐멘터리

국문초록

본 논문은 작품 <우연한 마주침(rencountre)> 의 개념적, 이론적 배경이 되는 무의지적 기억의 시간성과 사유성의 고찰을 통한 무의지적 기억의 이미지적인 표현의 실제와 가능성에 대한 연구이다. 이론적 논의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무의지적 기억의 이미지적 재현을 위한 영상물 형식과 표현의 쟁점들을 제기하고, 무의지적 기억의 본질, 무의지적 기억의 재현, 무의지적 기억의 사유성이라는 세 가지 주제에 관하여 인식론적, 방법론적인 탐구를 진행하였다. 본 논문의 주요 핵심 개념인 ‘무의지적 기억’에 관한 논의는 들뢰즈의 <프루스트와 기호들> 을 비롯하여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에 관한 다양한 사례연구들을 기반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r\n\r\n첫째, 무의지적 기억은 현재의 심리적 상태와는 무관한 과거의 존재론적 독립성을 지닌다. 이러한 무의지적 기억을 통해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과거의 시간은 현재의 시간과 서로 공명하면서 하나가 되는 일반화된 본질에 도달할 수 있다. 그러나, 무의지적 기억에서 전제하는 과거의 독립성은 주체의 흔들림, 혹은 복수의 주체성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본질적 완전성으로 향하기는 어려워 보이며, 따라서 스스로에 대한 계속된 응시와 성찰이 요구된다.\r\n\r\n둘째, 과거의 기억이 현재 기반의 논리적 사고 과정을 따라 재현되는 것과는 달리, 무의지적 기억의 재현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신만의 고유한 주관적 시간을 포착하는 것이므로 선형적인 시간 관계를 따르지 않는다. 즉, 무의지적 기억을 통해 되살아나는 과거의 시간은 공간적 영상과 합쳐져 시공간적 인접성으로 연결되는 은유적 영상으로 질료화되는 것이다.\r\n\r\n셋째, 무의지적인 기억은 고유한 상태로 수동적인 나에게 주어지는 것으로서 우연하고도 필연적인 방식으로 되살아난 과거의 진실을 확인해주는 진리의 기준이며, 사유의 재료를 주는 기호와 같다. 물질적인 기억으로서의 기억의 정신화 문제는 잊혀진 과거를 기억하며 그 기억을 통해 현재가 보여주는 기억 상실의 이미지들을 해독하고자 하는 영상의 가시성과 비가시성의 문제와 직결된다.\r\n\r\n작품 <우연한 마주침> 은 위와 같은 연구에 기초하여 제작되었다. 언어적, 시각적 몽타주 방법을 적극적으로 이용하여 고전적인 서사방식을 배제하고 시간을 비정형적으로 구성하였고, 파편화된 영상과 부유하는 소리 이미지를 활용하였으며, 무의지적 기억의 이미지화를 위해 현재시점과 과거시점을 불규칙적으로 교차시키고 접합하였다. 또한 여러 사람들의 시선과 작품 내의 이미지 구분을 해체하였다. 그 결과로서 시각과 청각이 수평적 화면분할을 통해 과거와 현재, 꿈과 현실이 동시에 발산되어 혼란스럽게 뒤엉키면서 관계의 알레고리가 해체되는 한편, 주체의 구분이 모호해지고, 실제와 메타포의 구분은 물론, 메타 이미지 자체의 해독도 불가능해진다. 이것은 궁극적으로 과거의 기억을 되살림으로써 잃어버린 시/공간을 되찾고자 하는 욕망이 근본적으로 실현될 수 없는 것임을 나타낸다.\r\n\r\n무의지적 기억을 통한 주관적 경험의 이미지적 재현은‘대상’의 표현의 문제를 결국 작가 자신의 시각적 성찰의 문제로 귀속시킨다. 여기서 작가는 관객이 지각할 수 있는 관계의 코드를 하나씩 파괴해나감으로써 열린 해석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것은 본인의 주관적 경험에 기초한 감정들이 혼재된 시공간 속에서 분절된 이미지와 문자로서 반영된 것으로, 본인 스스로 탈코드화하는 과정 속에서 관객의 이성 또한 해체해가고 있는 것이다.

영문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construction of time and space can be shaped according to the representation of involuntary memory, the key conceptual and theoretical basis of my work Rencountre. For the theoretical argument, this thesis discusses Gilles Deleuze's reinterpretation of Marcel Proust's In Search of Lost Time and interrogates the semiotic function of involuntary memory as the motivation for self-reflexivity in film works by Alain Renais, Theresa Hak-Kyung Cha, and Chris Marker. \r\n According to Deleuze, involuntary memory is independent from the past in that the present psychological situation evokes deviates from the past experiences. Through involuntary memory, the past is crystalized and resonates in the present as imperfect realization of the essence. It constitutes the fluctuating subject or multiple identities, necessitating continuous self-gaze and self-examination. In contrast to the memory of the past which is revived by the logical reflective process of the present, the representation of involuntary memory does not accord with linear time, revealing unique subjective time.\r\n The work Rencountre was produced based on the above theoretical framework. The use of linguistic and visual montage plays a significant role in this work. Traditional linear narrative structure is excluded, and time is constructed atypically, further fragmented by floating sound images. The bowndary between the present and the past become obsure in effect bringing to realization the representation of involuntary memory. Another important formal aspect of Rencountre is the split subject of narration. The division of subjectivity reaches such a level of ambiguity that it becomes impossible to differentiate reality from metaphor and to decode the meta-image itself. It reveals the essential impossibility of fulfillment of the desire to regain the lost time/space through reviving memory of the past. The representation of images from subjective experience through involuntary memory consequently leads to visual self-examination of the artist. Like the works by Renais, Cha and Marker, Rencountre eventually opens the space for multiple interpretation and reflection by deconstructing the rational expectations that the audience might have.

비고 : MCA-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