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음악 다큐멘터리 장르의 양식적 연구
  • 저자명|박형실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05
  • 담당교수|김형수

주제어

다큐멘터리, 시각음악, 빌 니콜스, 자기반영양식, 시나위, Documentary, Visual Music, Bill Nichols, Reflexive Mode, Sinawi

국문초록

다큐멘터리라는 장르의 출현 이후 다양한 형태의 실험적 영상물들이 선을 보였다. 빌 니콜스가 시도한 다큐멘터리의 양식적 분류를 점검해보고, 이러한 양식들이 실제 작품 속에서 어떻게 배합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는 영상작업을 하는 이들에게 아주 소중한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눈문에서는 니콜스가 구분한 6가지 양식론들 중에서 작가의 자기반영적.시적 다큐멘터리의 영역이 '음악'이라는 소재와 만나 작품으로 승화되는 과정을 기술하낟. 이에 '시나위'라고 하는 특정 장르의 음악소재로 이루어지는 시각음악화 과정을 살펴보고 이러한 과정이 갖는 다큐멘터리의 양식적 의미를 살펴보도록 한다. \r\n 새로운 양식의 출현의 이면에는 그 작품이 처한 사회의 문화적 배경과 테크놀로지의 발전 상황이 주요한 역할을 하고 잇다. 매우 정교하게 짜여진 유기체처럼 창작의 주체인 영상작가들이 경험하고 고민하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창작물들의 내용도 달라진다. 본 논문에서 다루었던 음악 다큐멘터리 또한 소재로서의 '사라져가는 음악양식'이라는 측면과 디지털 테크놀로지가 만나 '시각음악'에 대한 시도로 해석할 수 있다.\r\n 이 작품의 제작 과정을 통해서 고전적 다큐멘터리 분류양식을 다시 한 번 짚어보고, 미래에 우리가 추구할 새로운 양식을 모색하는 계기가 되었다. 다큐멘터리를 양식적으로 분류해서 바라보는 시각이 모든 작품에 해당된다고 볼 수 없으나 양식적 상이함으로 인해 실제 작품들이 어떻게 다르게 표현될 수 있는지는 영상인들에게는 의미있는 것이다.\r\n시나위라는 현대도시문화에서는 사라져가고 있는 독특한 음악장르를 화면에 담아 사라져 가는 음악양식과 현대적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소리영상'의 시도라는 점에서 이 작품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영문초록

Since the documentary appeared in the visual arts world, there have been numerous experimental works that employ various technical and philosophical aspects. It is an important stage for visual artists to review the modes of documentary, devised by Bill Nichols, and to find how Nichols'modes can be applied in the practical works. In this thesis, I will describe how the self-reflexive and poetic modes, among the six modes of Nichols, could be sublimated with a performing art, that is, 'music.' I produced a visual music documentary with a Korean traditional musical genre, called simawi, the shaman ritual music in the southwestern province, and explored hot the modes of documentary could be applied in the actual production.\r\nA new mode might be formed from the cultural background of the society where the documentary was produced and from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 documentray work is the result of visual artists who mirror and reflect the society and the time. The work I produced is the encounter of 'vanishing performing ars' and the 'emerging digital technology.'\r\nDuring the process of productoin, I re-examined the classical classification of modes of documentary and explore a new mode which we may search for new digital age. It is a meaningful process to pursue how the different modes could be applied in the actual production. A vanishing traditional culture could be revived as a 'visual music' with the aid of developing digital technology in this contemporary metropolitan culture.

비고 : MCA-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