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Channel Identity through Visual Narrative in Open Structure 열린 구조를 가진 시각적 내러티브를 활용한 채널 아이덴티티 표현연구
  • 저자명|이지영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06
  • 담당교수|박효신

주제어

TV채널 아이덴티티 ; 시각적 내러티브 ; 열린 구조 ; 하이퍼텍스트 ; 비선형성 ; TV medium ; channel identity ; visual narrative ; open structure

국문초록

현대는 모든 사람에게 일괄적으로 제공되는 동일한 경험보다는 개인성이 중시되는 사회이다. 개인에게 제공되는 디지털 매체는 보다 원활한 소통을 위해 감각의 확장을 시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소통의 방식을 바꿈으로써 커뮤니케이션에 본질적인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TV매체는 여전히 일방적 커뮤니케이션과 시각 위주의 단순한 채널 아이덴티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시청자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주지 못하고 있는데,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점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디지털 환경에서 새로운 TV 채널 아이덴티티 확립을 위한 시각적 표현방법을 찾으려 했고, 그 결과 ‘시각적 내러티브’와 ‘열린 구조’에 주목하게 되었다.\r\n\r\n시각적 내러티브는 컨텐츠의 의미를 더욱 유연하게flexible 만들어주고, 열린 구조의 도입을 용이하게 해준다. 메시지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병렬 배치시키고 펼쳐놓으면, 독자가 이를 재배열하고 재해석해 스토리를 구성하는 것이, 열린 구조를 가진 내러티브의 기본 형태이다. 이는 TV매체에서 하이퍼텍스트성을 지닌 내러티브로 표현될 수 있다. 또 이렇게 열린 구조를 가지게 된 컨텐츠는 그것을 수용하는 시청자에게 그 의미를 더 풍부하고 다양하게 전달하며, 의미 해석을 위한 ‘참여’를 유도하기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양방향적 소통의 경험은 채널의 인지와 기억에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한편 이것은 인쇄매체에서 나타난 하이퍼텍스트성과 비슷한 구조를 갖기도 한다.\r\n\r\n본고는 이러한 디지털 미디어의 하이퍼텍스트와 인쇄매체의 실험적 내러티브를 연구하고, TV매체의 특성을 반영한 비선형적 시각적 내러티브를 도입하여, 실제로 열린 구조를 가진 채널 아이덴티티 시퀀스(IDs)를 제작해 보았다.\r\n\r\n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논문은 첫째, 디지털 환경에서 TV매체가 지니는 채널 아이덴티티를 연구하는 데 있어서, 그 매체의 일관성과 함께 컨텐츠를 제공하고, 둘째, 열린 구조를 가진 컨텐츠 제작을 위한 실험적 내러티브의 연구를 통하여, TV매체에서의 하이퍼텍스트성을 실험하고, 셋째, 선형적 TV매체에서 시청자에게 ‘참여’의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디지털 시대에 맞는 TV 채널 아이덴티티를 더욱 풍부하고 다양하게 확장시킬 수 있음을 드러내고자 한다.

영문초록

The modern society emphasizes the personality rather than the identical experience provided en bloc to everyone. Digital medium offered to each individual is trying to expand the senses for smooth communication and is essentially altering its way of communicating by reinventing the method of communication. However, in spite of the fast changing digital era, the TV media is not giving new experience to the viewers by only presenting one-sided communication and providing a simple and visually coherence-oriented channel identity. \r\nHereupon, the researcher intended to develop a visual process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TV channel in the Digital environment and as a result, ‘Visual Narrative’ and ‘Open-structure’ was noticed. The visual narrative makes the content more flexible and makes the introduction of the open structure easier. In addition, the contents with an open-structure deliver the meaning of contents in a more copious and variable way and induce the viewers to participate in analyzing the meaning of contents. And, the very experience of bilateral communication plays a central role in recognizing and memorizing the TV identity. \r\nThe basic form of open-structure such that when the contents provider juxtaposes and unfolds the components of a certain message, then the viewers structures its meaning in his/her own way by re-arranging and re-analyzing. This could also be expressed in TV medium with a narrative of hypertext, having a similar structure of hypertext in the print medium. The researcher studied the above mentioned the hypertext in digital medium and the experimental narratives in print medium. After that, the researcher tried to produce the channel identity sequence with an open-structure by importing a visually non-linear narratives and reflecting a characteristics of TV medium. \r\nThe first and foremost goal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the contents with a visual consistency in studying the channel identity in TV medium of the digital era. The second goal is to experiment the hypertext in TV medium by studying the narratives to produce the contents with open-structure. Finally, by providing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on’ to the viewer in linear TV media, the goal was to expand the meaning of TV channel identity to become more various and copious that suits the digital era.

비고 : MCA-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