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외화면과 영화공간의 확장
  • 저자명|이소일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08
  • 담당교수|이윤영

주제어

외화면 ; 영화 공간 ; 프레임 ; 프레이밍 ; 탈프레이밍 ; 파편화 ; 비화면 영역 ; off-screen ; cinematic space ; frame ; framing ; decadrage ; fragmentation ; invisible territory

국문초록

프레임 안에서 보이는 영화세계는 대중들에게 이미 오래전부터 현실과 유사한 공간, 혹은 현실과 연결된 공간으로 받아들여져 왔다. 영화관의 관람객들은 스크린 속의 현실이 영사기로부터 나오는 빛과 그것의 반사로 인한 환영이라는 것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세계에 몰입한다. 그 이유는 바로 영화가 우리의 현실 공간을 그대로 재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영화는 시간축 위에서 움직이는 우리 세계의 다양한 현상과 인간의 내면세계까지도 담아내는 독특한 공간을 창출한다.본 연구는 먼저 영화를 구성하는 최소단위인 프레임의 특성부터 고찰한다. 여러 영화학자들이 정의한 프레임의 ‘이중성’은 영화 공간이 확장하는 근원이 되며 내화면과 외화면이 소통하는 연결점이다. 또 비가시 영역은 물론, 비서사공간으로까지 확장한 작품들을 통해 영화 예술에서 다양하게 나타나는 외화면의 사례를 제시한다. 본론에서는 영화예술의 특징인 ‘시간성’과 ‘이동성’에 주목한다. 특히 회화나 사진 같은 비서사적 시각예술들과 비교해 영화에서만 나타나는 공간 확장에 대해서 접근한다. 영화 공간은 관점에 따라 여러 공간으로 분류 할 수 있지만 원초적으로는 스크린과 스크린을 둘러싼 현실 공간(객석)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논자는 스크린 안에 등장하는 대상들의 움직임과 화면구성 등을 근거로 미장아빔과 탈프레이밍이 만들어가는 영화 공간의 확장 사례들을 비교ㆍ분석한다.앞서 언급한대로 영화 공간을 바라보는 관점이 바뀌면 범위는 더욱 확장 될 수 있다. 그동안 영화 공간을 바라보는 시각은 대체로 등장인물(텍스트) 또는 화면 구도가 기준이 되어왔다. 본론 마지막 장에서는 관습적으로 진행되어 왔던 영화 공간에 대한 연구방법에서 탈피해 관객(수용자)이 지각하는 영화 공간의 확장성에 대해서 논한다.끝으로 본 연구는 외화면과 영화 공간이 확장하면서 나타나는 미학적 특징을 발견하고자 영화예술의 ‘내용’과 ‘형식’ 모두를 다룬다. 그 과정을 통해 영화적 현실 공간으로 인정할 수 있는 한계를 짚어보고 개념화되지 못했던 영화 공간에 대한 세분화를 시도한다.

영문초록

The cinematic world that is visible in the frame has been considered for the public as a similar or connected space to reality for a long time. Despite that the audience already understand that the reality presented on the screen is the light and the reflected illusion from a film projector, they get themselves immersed in film. It is all due to the fact that film successfully reproduces our space of reality as it is. Therefore, a film creates a unique space that incorporates various phenomena of our world, moving along the time axis, and even the inner world of human beings.In this study, characteristics of the frame, which constitute the minimum unit of a film, are considered. The duality of the frame, which many film scholars have defined, functions not only as the origin for the expansion of the cinematic space but as the connecting point where the on-screen and the off-screen mutually communicate. Moreover, by researching works extended to the realm of non-diegesis as well as to the invisible territory, various examples of the off-screen are presented in multiple ways.In the main body, ‘time’ and ‘mobility’ which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 cinema, are observed. Especially, in comparison with the non-descriptive visual art, such as painting and photography, the expansion of space which occurs exclusively in cinema is approached. Though the space of a film can be divided into a variety of areas depending on different perspectives, it can be basically categorized into the screen and the real area off the screen. This study investigates examples of the expansion of cinematic space that ‘mise en abyme’ and ‘décadrage’ create, based on the movements and the screen composition of the objects appearing on the screen.As mentioned above, when the perspective on the cinematic space changes, the range of space can expand as well. Scholars have focused on characters or the screen composition as the main elements of the cinematic space. The last chapter of the main body studies the expansion of the cinematic space that spectators perceive irrespective of the conventional research method.Finally, this study deals with both ‘contents’ and ‘style’ of the art cinema in order to discover the aesthetic features, which immerge during the course that the off-screen and the cinematic space are expanded. By means of the process, this study delves into the limitation that can be regarded as the cinematic space of reality and tries to departmentalize the cinematic space, which has not been conceptualized so far.

비고 : MCA-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