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일본 핑크영화에 나타나는 여성 에로티즘
  • 저자명|장다나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1
  • 담당교수|서현석

주제어

여성 ; 영화 ; 에로티즘 ; 섹슈얼리티 ; 핑크영화 ; 전복성 ; 씨네페미니즘 ; 정신분석학 ; film ; erotism ; sexuality ; pink film ; subversiveness ; cine feminism ; psychoanalysis

국문초록

본 연구는 핑크영화라는 독특한 장르 안에서 여성 에로티즘의 영역이 재현되는 방식을 분석하고 남근적인 사회체제 안에서 터부시되어 온 여성의 에로티즘이 주체적인 것으로서 재현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조망하려는 시도이다. 남성 이데올로기의 기반을 견고하게 유지시켜주는 수많은 기제 가운데 특히 장르영화는 남성의 욕망을 전적으로 투사하는 수단으로 존재한다. 이는 영화 속 여성성 재현을 수동적이고 변방의 것, 잉여의 것으로 묘사하고 남성판타지를 완성시키는 대상으로서 존재시켜왔다는 사실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장르영화의 틀 안에서 여성성, 혹은 여성적인 무엇, 여성 욕망 재현의 가능성으로 몇몇 영화들에서 보이는 전복적인 특색에 주목하고 과연 진정한 여성성을 영화라는 매체 안에서 어떤 방식으로 재현 할 수 있는지 논의하고자 했다. 일본의 핑크영화는 남성관객들을 대상으로 제작되어 온 영화장르이지만 현상학적으로 수많은 여성관객들의 지지를 받고 있는 독특한 형상을 자아내고 있다. 이것은 핑크영화 속 내포되어 있는 전복적인 요소가 작용하여 기존사회 질서에 균열을 가하는 현상이라고 보여진다. 그래서 진정한 여성성의 의미를 분석하고 여성 에로티즘에 대한 접근 중심으로 핑크영화 텍스트들을 분석하였다.\r\n본문에서는 여성 관객들에게 가장 주목 받았던 핑크영화 4편 <도시락>(아마오카 신지). <가물치>(제제 타카히사), <크림레몬 시리즈: 꿈꾼후에 정사>(죠죠 히데오). 그리고 <간다천 음란전쟁>(구로사와 기요시)을 선정하여 카플란Kaplan의 환상의 개념, 윌리엄스Williams의 양가성과 동일시, 브라이도티Braidotti의 가변적 주체의 개념 등 페미니즘진영에서 제시하는 쟁점들을 정신분석학적인 틀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이전까지 영화에서 여성이 어떻게 신화적으로 건설되었는지에 대한 문제, 그리고 여성성이란 무엇이며 여성의 에로티즘이 장르영화 안에서 어떤 방법으로 재현 될 수 있는지 그 요소를 짚어보았다.\r\n본 연구는 언제나 타자의 역할로 존재하는 여성의 이미지와 역할이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여성으로 존재하며 여성의 에로티즘적인 욕망을 스크린으로 투영할 수 있는 가능성을 기대하는 것에 그 의의를 두고 있다. 결국 우리가 여성성을 탐구하는 것은 사회질서를 낯설게 보지 않고 그대로 받아들이는 획일화된 남근적인 틀을 거부함과 동시에 젠더적인 차원에서 역사와 사회현상, 그리고 여성성과 남성성을 이해할 수 있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초록

This thesis aims to analyze how feminine erotism are represented within the unique genre of pink film and to survey if feminine erotism could be represented independent from the dominant ideology which pink film is often criticized to enhance. Feminine erotism has long been considered a taboo in the phallic patriarchal social system. within which male sexuality is readily projected in genre films. In this mechanism, the depictions of masculinity often coincide with the rendering of feminityas a passive or subordinate position, This study focuses on subversive method on depicting feminity in some of the very films that uphold the genre conventions and their chronic misrepresentations of femininity and attempts to locate the possibilities for subverting them. Japanese pink films, usually targeting and serving male audience, have gained sizable popularity among female audiences. This rather ironic fact can be seen as a disruption upon the existing social order. The purpose of analyzing pink films in this thesis is to question how the notions of "femininity" and female sexuality can be challenged, redefined, and reconfigured in genre films that are known to conform to the norm.\r\nI focus on four pink films that have been most supported by female audiences: , , , . Applying theoretical frameworks by Anne Kaplan, Linda Williams, and Braidotti, this thesis reinterprets the female roles in these films as independent and active ones. The ultimate goal of this project is to propose perspectives that can lead to positive and constructive representations of female sexuality.

비고 : MCA-1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