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여성적 감정표현과 근접화면: 잉마르 베리만의 <페르소나>,<외침과 속삭임>을 중심으로
  • 저자명|한혜경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2
  • 담당교수|이윤영

주제어

근접화면, 페르소나, 외침과 속삭임, 잉마르 베리만, 여성-이미지

국문초록

본 논문은 스웨덴 영화감독 잉마르 베리만(Ingmar Bergman 1918-2007)에게 '여성-이미지'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하여 영화 <페르소나Persona > (1965), <외침과 속삭임 Cries and Whisper >(1972)에 나타난 여성적 감정표현과 근접화면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론에서는 여성영화의 선구자 샹탈 아케르만Chantal Akerman 의 영화 <잔느 딜망Jeanne Dielman > (1975)에서 여성-이미지를 보여주는 재현형식이 롱 쇼트와 롱 테이크인 반면에 베리만의 영화 <페르소나>와 <외침과 속삭임>에서는 여성-이미지를 표현한 재현형식이 근접화면인 차이가 존재하지만 '여성'이라는 주제를 밀도 있게 표현하고 있다는 공통점에 대해 논의한다. 영화에 예술적 지위를 부여했던 베리만이 주력하고 있는 근접화면의 가장 큰 특징인 '거리의 근접성'과 '시각적 촉각성'을 통해 <페르소나>와 <외침과 속삭임>의 여성-이미지들은 물신화되기보다는 쇼트를 장악하고 내러티브의 주체가 되고 있다. 또한 여성의 공간과 시간이 내러티브를 벗어나 근접화면이라는 영화언어를 통해 여성의 감정을 내밀하게 보여준다. 근접화면의 쇼트는 '심도'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보다는 '평면성'을 통해 이미지의 질을 획득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들뢰즈의 해석처럼 근접화면이 곧 얼굴인 여성-이미지를 통해 영혼의 울림 즉 여성의 내밀한 감정표현을 경험한다. 이때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얼굴은 언어로 표출되지 않는 의미들을 표정으로 발설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비가시적인 세계를 가시적인 얼굴을 통해 사유할 수 없는 것을 사유할 수 있게 만드는 형상의 세계로 우리를 이끈다. 이로 인해 베리만은 근접화면이 곧 얼굴인 스크린을 통해 여성적 감정표현을 성취해낸 감독이 된다.

영문초록

This study is to define the relation between womanly emotion expression and close-up indicated at movies, (1965) & (1972) starting from the question what the meaning of 'woman-image' to Ingmar Bergman (1918-2007), Swedish film director. Representation type which Chantal Akerman who was a pathfinder of woman film showed woman-image at is lonh-shot and long-take while representation type which expressed woman-image at & of Bergman is close-up. But both of them have something in common that expresses the theme of 'woman' intensively. In main subject, it discusses such common thing. Woman-images of & through 'proximity of distance' and 'visual tactility' which is the biggest characteristic of close-up that Bergman who granted artistic position to the film emphasizes take the shot rather than becoming fetishism and become subjects of narrative. Also, space and time of woman show the emotion of woman secretly through film language, close-up beyond narrative. The shot in close-up obtains the quality of image through 'planarity' rather than being made centering on 'depth'. Through this, we experience the echo of spirit, that is the secret emotion expression of woman via woman-image which close-up is the very face like the interpretation of Gilles Deleuze. It's because the face we are facing at this time reveals the meanings which is not expressed with language with expressions. That is, non-visible world leads us to the world of shape which makes us to think the thing which cannot be thought through visible face. Due to this, Bergman becomes a film director who achieved womanly emotion expression via screen which close-up is the very face.

비고 : MCA-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