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세계를 품은 소리의 풍경: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영화 <거울>, <향수> 이미지와 사운드 분석
  • 저자명|김유경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2
  • 담당교수|이윤영

주제어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 타르코프스키 ; 시간 ; 사운드 ; 음향 ; 소음 ; 구체음악 ; 사운드스케이프 ; 배경 ; 풍경 ; 소리풍경 ; 미셸 시옹 ; Andrei Tarkovsky ; tarkovsky ; time ; sound ; noise ; concrete mus

국문초록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Andrei Arsen’evich Tarkovskii : 1932-1986) 영화 미학에 접근하는 중요한 출발 지점은 시간이다. 타르코프스키 영화에서 시간은 인간과 세계가 존재를 드러내는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형태로 표현되어 독창적인 미학적 양식으로 나타난다. 이미지로 구현된 시간은 카메라에 포착되는 모든 것의 움직임과 그것을 포착하는 카메라의 움직임에 의해 개별 쇼트 안에 특유의 리듬을 새겨 넣는다. 또한 그의 영화 안에서 시간은 인간의 육체적이고 정신적인 삶뿐만이 아니라 예술, 그리고 세계를 구성하는 모든 존재들이 각각 시간의 결정체로 포착된다. 타르코프스키 영화에 대한 그간의 연구는 이 ‘시간’과 시간을 구성하는 개별적 결정체들을 분석하는 이미지 연구에 집중되어 왔다. 하지만 타르코프스키 영화를 이미지의 관점에서만 바라보는 것은 이 감독이 말하는 예술의 본질이 되어야 하는 삶의 진실 중 하나가 결여된 세계를 보는 것이다. 그의 영화에서 사운드는 이미지와 독립적으로 자기 세계를 구축하면서도 하나의 유기체처럼 조직되어 있다. 음성과 음악의 표현에서도 뛰어난 성취를 보이지만 특히 음향은 그의 영화 전체를 관통하며 반복적인 특징을 나타낸다. 따라서 본 논문은 타르코프스키 영화에서 사운드, 특히 음향의 표현양식이 이미지와 어떤 관계 맺음을 통해 나타나고 미학적 효과를 완성해내는지를 추적해 보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이 감독이 영화를 구성하는 여러 질료 중, 그의 예술이 나아갈 수 있는 바탕이 되었던 러시아의 풍경과 소리풍경이 개인적 체험과 소통하고 구체화되는 지점이 본 연구의 핵심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7편의 장편영화 중 작가의 자전적 체험이 예술적 바탕을 이뤘던 두 작품 <거울 The Mirror>(1974)과 <향수 Nostalghia>(1983)를 주요한 분석 대상으로 삼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영화 사운드의 역사에서 음향의 미학적 중요성이 부각되는 시기와 그 대표적인 사례를 미셸 시옹의 저작들에 대한 고찰을 통해 타르코프스키 영화 음향의 변별점을 모색했으며, 그 음향을 대표하는 소음을 조직하는 관점은 소음을 예술의 중요한 가치로 발견한 구체음악(La Musuque concrete)과 사운드스케이프(Soundscape) 개념에서 그 의미를 찾았다. 본론에서는 ‘풍경’과 ‘소리풍경’에 대한 영화 이론가들의 접근으로 방향을 넓혀, 타르코프스키 영화 전편에서 풍경과 소리풍경이 조직되는 사례를 살펴보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타르코프스키 영화 음향의 미학적 가치를 논의해 보고, 나아가 <거울>과 <향수>에 집중해 풍경과 소리풍경의 관점에서 타르코프스키 영화 음향의 중요한 성취에 접근하고 있다.

영문초록

An important starting point for understanding the film aesthetics of Andrei Arsen'evich Tarkovsky(1932-1986) is time. In Tarkovsky films, time is expressed as a form of realistic and creative aesthetics that reveals the presence of human beings and the world. The image, as realized by time is captured on the camera as it captures the movement and its individual movements are distinctive rhythms inscribed in the camera. In his films, human life, both physical and mental, as well as art, and all existences that make up the world are captured as a crystal of time.\r\nThe studies of Tarkovsky films in the past mainly focused on the image analysis of individual elements that make up time. However, only examining Tarkovsky films in terms of imagery fails to see the world from the essence of art, which is also a fact of life. The image and sound in his films independently build their own world, yet is organized as an organism. The expression of voice and music are achieved outstandingly, but throughout the entirety of his movies, sound especially represents a repetitive feature. \r\n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sound presented in Tarkovsky films, especially the image of the soun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magery and sound, as well as how the aesthetic effects are completed. Above all, the core of this study embodies the point that the director of this film seeks to portray through his film, and express art through communicating with his personal experiences and Russia's landscapes and sounds. Therefore, out of seven fulllength films, this study will feature two films that are based on the author's autobiographical experiences and produced as artistic works, “The Mirror” (1974) and "Nostalgia” (1983),.\r\nIn the history of film sound, the importance of sound aesthetics in movies are highlighted through considering the period that best represents this point. To do so, Tarkovsky films were examined and noise that represent the sound in the film. This is applicable to the notions of the La Musuque concrete or concrete music and soundscape that discovered noise as an important component of art. In the study, 'landscape' and 'soundscape' as approached by film theorists will be expanded to include the case of landscape and soundscape as comprised in Tarkovsky films Based on this, sound aesthetic value of Tarkovsky films will be discussed and reflect its achievements through focusing on film sound of “The Mirror” and "Nostalgia”.

비고 : MCA-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