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그레인을 통한 기억과 무의식의 작동 -하모니 코린의 영상작품을 중심으로-
  • 저자명|조영직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3
  • 담당교수|서현석

주제어

사진 ; 입자 ; 저화질 이미지 ; 그레인 ; 기억 ; 무의식 ; 이미지의 외상적 자국 ; photo ; particle ; lo-fi image ; grain ; memory ; unconsciousness ; traumatic marks of images

국문초록

영상(映像)에서 이미지는 전통적인 표현 기호인 언어나 문자, 그림과는 달리, 기본적으로 피사체를 스크린 위에 직접적이고 시지각적으로 기록, 재현하는 하나의 표현방식으로 이야기 할 수 있다. 영상 이미지로 자신의 작업을 수행하는 작가들은 화면의 구성, 조명, 색감, 화면 사이즈와 앵글, 매체 그 자체의 성질과 느낌과 같은 시각적 요소들을 통해 자신만의 특정한 시각적 스타일을 이끌어내고 어떻게 영상의 맥락 속에 투영할 것인가 숙고하게 된다. 본고는 이러한 시각적인 요소들 중 사실적인 재현이 아닌 이미지의 물질적인 지점에서 그레인이라는 요소에 대한 매혹에서 시작되었다. 오늘날 영상 기술이 발전하면서 고화질 이미지가 보편화되는 시대에 의도적으로 저화질 이미지를 기록하는 매체들을 사용하고, 극단적으로 이미지 아래의 물질적인 부분을 증폭시킨 이미지를 적극적으로 자신의 영상작업에 활용하는 작가들을 접하게 된다. 이렇게 증폭된 이미지들은 그레인을 함유하게 되고 이미지의 시지각적인 부분을 넘어 이미지 이면의 심미적인 부분을 이끌어내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본고는 이미지의 물질성으로써 그레인이 영상 속에서 독특한 시각적인 스타일을 창조해내고, 시각적인 이미지 이면에 잠재되어 있는 기억과 무의식의 지점들을 건드리고 이끌어내고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r\n\r\n우선 롤랑 바르트의 이미지 그 자체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정수이자 감성의 몸을 더듬는 무의식에 대한 언어로써, 그리고 할 포스터의 의도적인 효과로써 푼크툼을 제시한다. 그리고 이러한 푼크툼을 작동시키고 시각적 무의식을 이끌어내는 이미지의 외상으로써 그레인을 논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논문 전체를 관통하는 관점과 이론적인 틀을 마련하며 연구를 시작한다. 그리고 영상 이전의 인상주의 회화와 초기 사진역사 속에서 빛이라는 중심 테제를 중심으로 서로 영향을 주고 받으며 새롭게 생성된 이미지의 그레인을 분석, 제시함으로써 이후 영상 영역으로 순환되며 크게 '입자성'과 '흐려짐, 흩뜨려짐'으로써 제시되는 그레인의 형태적인 특성을 연구한다.\r\n\r\n다음으로 앞의 이론적 논의들을 바탕으로 영상에서 그레인을 작동시키는 다양한 방식들을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분석한다. 현대의 영상작가 중에서 비디오 매체를 다양한 방식들을 통해 그레인을 극단적으로 이끌어내고 자신의 작품 속에 적극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작가인 하모니 코린의 영상작품들을 중심으로 유사한 작동방식을 보여주는 실험영화와 아방가르드 영화들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코린이 어떻게 그레인을 작동시키고 자신만의 이미지로 창조해내고 있는지 살펴본다. 특히 이렇게 그레인이 작동된 미학적이고 실험적인 이미지들이 내재하고 있는 기억과 무의식의 지점들에 주목하게 된다.\r\n\r\n마지막으로 방법론을 통해 작동된 그레인이 이미지 이면의 무엇을 작동시키며 이끌어 내는지에 대해 정신분석학적인 측면에서 연구한다. 이미지에서 그레인이 의도적인 흐린 효과로 과거의 기억을 재현함으로써 감정을 건드리고 추억, 연상, 향수를 함유하는 레미니슨스(reminiscence)로써 발현하는 지점들을 사진과 회화 그리고 다양한 이론적인 논의들을 바탕으로 살펴본다. 그리고 사진의 영역에서 논의되던 바르트의 푼크툼을 프로이드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정신분석학적 접근을 통해 논의를 영상으로 확장하면서 그레인이 점멸하며 흐르는 '이미지의 외상적 자국'으로써 푼크툼을 이끌어내며 이미지 내부에 잠재되어 있던 '무의식'을 작동시키는 지점들을 연구해 본다.\r\n\r\n본문은 이렇게 '이론-방법론-작동'의 흐름을 통해 이미지에서 그레인이라는 물질적인 요소를 탐구하고 구체화 해 보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특히 의도적으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미지 위로 이끌어낸 그레인들을 통해 사적인 기억과 무의식의 세계를 공적인 영역으로 이끌어낼 수 있음을 확인하고자 한다.

영문초록

Images in moving pictures can be described in general as a way of expression which, unlike traditional representative signs such as languages, letters, or pictures, directly records and visually represents the subject on screen. Artists whose works are based on moving images tend to contemplate on how to develop and reflect their own unique visual style in the context of moving pictures using various visual elements, such as screen composition, size, angle, lighting, color, and other medium-specific characteristics. This article initially originates from the author's attraction toward grain due to its material aspects in images, which have little to do with the so-called realistic representations of the outside world. With a rapid development of moving image technology, we now live in a world where hi-definition images are commonly accepted. Still, there are artists who intentionally use media that record images in low quality to amplify their material aspects to the extreme. Within these amplified images are grains from which the aesthetic parts underneath the surface can be seen. This article takes notice of how grains create unique visual styles in moving pictures, and touches upon the points of memory and unconsciousness previously hidden inside the visual images.\r\n\r\nFirst, the main perspective and theoretical frames behind this article are indebted to Roland Barthes' discussion on grain both as the quintessence of image itself and as a language about unconsciousness which touches the body of the senses, as well as to Hal Foster's discussion on grain as image's trauma which runs functum as an intentional effect and draws out the visual uncnosciousness. Then the topic of light is visited in the contexts of the active exchange between impressionist paintings and early photography before cinema, followed by the analysis of grain'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hich can mainly be summed up as 'particle-like' and 'dim' natures.\r\n\r\nNext, based upon previous theoretical discussions on grain, the article analyzes various ways in which grains are operated in moving pictures from the methodological point of view. Among contemporary visual artists, Harmony Korine stands out in his ability to utilize grain in an extreme yet diverse way through the video medium. We explore how Korine creates his own images using grain by comparing his works with other experimental or avant garde films with similar working principles. In particular, we focus on how the points of memory and unconsciousness previously hidden within the aesthetic and experimental images are called upon by grains.\r\n\r\nLastly, the article investigates grain's workings of what is hidden underneath the image from the psychoanalytic point of view. Based on photography, fine arts, and various theoretical discussions, the article explores the points where grain manifests it self as a point of reminiscence by representing the past memories in an intentionally dim way. Also, we take Barthes' functum from the realm of photography and apply it to the territory of moving pictures through the Freudian psychoanalytic approach. This article studies the points where grain draws functum as "image's traumatic marks" and thus operates "unconsciousness" latent within image.\r\n\r\nThrouth the folw of 'Theory-Methodology-Working', this article intends to explore and analyze the material elements of grain in concrete terms. In particular, this article attempts to make sure that there are diverse ways through which grain can call forth the world of private memory and unconsciousness in public.

비고 : MCA-1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