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여성적 에세이 영화에 대하여: 엘렌 식수의 여성적 글쓰기를 중심으로
  • 저자명|이현정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3
  • 담당교수|서현석

주제어

엘렌 식수, 에세이 영화, 여성영화, 자기 반영적, 여성적 글쓰기, 보이스 오버, Helene Cixous, Essay Film, Feminine Film, Self-reflexivity, Feminine Writing, Voice Over

국문초록

프 랑스의 여성주의 작가, 엘렌 식수 Hélène Cixous는 여성들이 자신 의 목소리로 자신의 글을 쓰는 여성적 글쓰기를 제시하였다. 식수에게 기 존의 글쓰기는 여성 억압이 재생산되는 곳이다. 남성적 상징 속에서 언어 를 상실한 여성은 남성에 의해 신비화 혹은 타자화 되었고, 가부장적 이데 올로기를 보존하기 위하여 여성은 마녀, 혹은 광기나 히스테리를 부리는 여성, 아니면 메두사와 같은 괴물의 이미지로 그려졌다. 이러한 여성에 대 한 왜곡된 인식은 그대로 문학과 영화와 같은 매체에 고스란히 녹아있다.\r\n본 논문은 식수를 비롯한 여성학자들이 주창한 여성적 주체성 고찰과 함께 여성적 글쓰기의 실천 방안을 연구한다. 또한 페미니즘과 영화 매체 에 대한 상관관계를 고찰하기 위해 로라 멀비 Laura Mulvey와 카자 실버 만 Kaja Silverman의 이론에 주목한다. 아스튀릭 Alexandre Astruc의 ‘영 화는 펜 camera stylo이다’ 라는 명제 하에, 식수의 여성적 글쓰기 방식을 여성적 에세이 영화 만들기에 대입하여, 기존의 남성 시각 중심의 영화 매 체에 새로운 지평을 제시한다. 특히 언어, 신화, 이미지 등의 문화적 실천 들 속에 녹아있는 가부장적 담론들에 반하는 여성성의 자기 반영적이자 수 행적인 영화 양식, 즉 에세이 영화에 주목한다.\r\n여 성이 ‘나’라고 말하는 것의 어려움은 글쓰기보다 영화에서 더 크다. 왜냐하면 영화는 문학이 지닌 가부장적이고 남근적인 유산을 물려받았고, 거기에 영화의 관습이 진화하면서 물려받은 남성적이고 이성적인 규범에다 구조화된 시청각적 체계까지 더해졌기 때문이다. 그 결과 여성은 보여짐의 대상으로 전락하게 되었다. 여기서 여성은 시각, 행위, 발화의 주체라기 보다 타자이자 대상이 되었다.\r\n식 수는 여성과 남성의 차이가 남성학자들이 주장하는 해부학적인 차이가 아니라 향유의 차원에 있다고 주장한다. 식수에 의하면 여성적 향유는 여성의 육체적 층위에서 뿐만 아니라 무의식 층위에 이루어지고, 남성의 경제인 결핍과 소비의 경제와는 질적으로 다르다. 여성은 복수적 이고 유동적이며 열려있는 존재이기에 나와 다른 나, 혹은 다른 것들에 대한 통합되어있다. 그녀가 말하는 여성의 글쓰기는 세 가지 특징이 있는데 첫째, 목소리와 울림으로 쓰기이고, 둘째는 몸으로 쓰기이다. 마지막으로 탈소유화, 탈인격화를 지향한다.\r\n본 논문은 더 나아가 식수의 여성적 글쓰기를 영화적으로 접목시키고자 하고, 자기반영적이며 여성적인 에세이 영화에 대해 주목한다.\r\n에 세이 영화의 특징을 살펴보면 우선 에세이 영화는 개인적인 주체가 드러나는 자아 반영적 특질을 포함하고 있다. 그것은 주체를 중심으로 관객과 소통하고, 관객을 향해 열려 의미 형성을 지속적으로 수행하는 영화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하고 역설적이며 이단적인데 그렇기 때문에 에세이 영화는 하이브리드적이고 유동적이면서 수행적이다.\r\n작 품 연구에서는 각기 다른 스타일의 영화를 추구하지만 궁극적으로 자신만의 여성영화 문법을 고수하고 있는 세 명의 여성감독들을 고찰한다. 자아 성찰적이면서 에세이 영화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는 프레드리히의 <인생의 고리 The Ties That Bind>(1984), 여성적 영화의 특징인 목소리로 쓰기, 울림으로 쓰기를 영화적으로 잘 실천하고 있는 에비게일 차일드 <이걸 위해 태어났는가? Is This What You Were Born for?> (1981-1988), 마지막으로 기존의 남성적 시각을 대표하는 내러티브 영화 문법을 취하는 것 같지만 오히려 그와 정반대의 영화를 만드는 샹탈 아커만의 <갇힌 여인 La Captive>(2000)이다.\r\n졸 업 작품인 <원시림>(2012)은, 본 논문을 통해 고찰한 여성적 에세이 영화의 특징들에 집중하여 이질적이고, 이방적인 시간과 공간의 겹침과 울림을 경험한다. 전통적으로 가부장적인 사회에서 타자화되었던 여성의 자리를 벗어나 남성 중심과 이성 중심의 재현의 장을 거부하는 수행적 퍼포먼스의 펼친다.

영문초록

French feminist writer Hélène Cixous presented 'feminine writing' suggesting that women should write in their own voice. For her, the pre-existing methods of writing were just reproductions of the suppression of women. Women had lost their own language in the midst of male symbols, cast as 'mysterious' and 'unworldly' for the sake of the patriarchal ideology of the social system and the logos system of the male economy. Women have been described as witches, mad, hysterical, or monstrous 'Medusa' as Luce Irigaray puts it. And this kind of distorted perception of women has been reflected as it is in media such as literature and film.\r\nThis paper studies the correlation between feminism and film media through the feminine subjectivity of feminists and the theory of Laura Mulvey and Kaja Silverman. Based on Alexandre Astruc's proposition, 'camera stylo,' I applied Cixous' methods of writing on making feminine essay film to suggest a new horizon to the male-dominated film media. Furthermore, I focused on essay film of which the defining characteristics include self-reflexivity and performativity, while focusing on the patriarchal discourses about cultural practices such as language, mythologies and images. It is even more difficult for a woman to refer to herself as 'I' in a film than it is in writing. It is because film inherited the patriarchal and phallogocentric legacy of literature and as the conventions of film evolve, a structured audiovisual system have been exploited as images or objects of male looking added to the masculine and rational norms. Women became just objects for being\r\nlooked. On the contrary, Cixous argues that the difference between men\r\nand women resides on the level of enjoyment, not the anatomical one. What she refers to as the 'feminine enjoyment' happens in the level of unconsciousness as well as the physical level. Women are plural, fluid and open. These features mean the integrity of 'I', a 'different I', and others. Feminine writing has three features: writing with a voice and echo, her body, and pursuit of depossession and depersonalization.\r\nThis study focuses on the self-reflective essay film which can be understood as cinematic expression of Cixous' feminine writing.\r\nThe characteristics of essay film include self-reflectiveness which reveals personal agent with initiative. The format of this type of film intends to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which keeps establishing meanings through an openness towards the audience. In addition, they are various, paradoxical, and the heretical ones among them are hybrid, fluid, self-reflective and performative.\r\nCixous' feminine writing puts an emphasis on the intertextual features in multilayered linguistic amusement so far, but this paper accounts for her autobiographical and self-reflective writings and, simultaneously, essay film based on her feminine writings.\r\nEssay film came to reveal an understanding of the diversity in feminism theories, women and feminity of gender with long-term changes, and showed identity through self-reflectiveness and performativity. We can find how self-reflectiveness and performativity could be practiced through discussions in the male-dominant, phallogocentirc system that has oppressed and alienated women. For this purpose, we will study female writers who share their self-reflective works and medium to reach common ground on feminine essay film. They are Chantal Akerman's and by Abigail Child and Su Friedrich .

비고 : MCA-1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