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장시간 노출 사진에서의 변형된 시공간 이미지에 관한 연구
  • 저자명|최영진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3
  • 담당교수|이현진

주제어

-

국문초록

예술가는 예술적 표현을 위해 실제의 시공간을 자신이 사용하는 예술적 매체 안에서 변형시킨다. 그 중 ‘사진’은 예술가의 주관적 표현을 위해 카메라라는 장치를 통해 실제의 시간과 공간을 2차원의 이미지에 저장한다. 이러한 시각적 재현의 과정은 셔터와 조리개에 의한 구체적인 시간과 공간의 정보를 필요로 한다. 즉 사진은 현실의 시공간에 의존하는 경향이 큰 매체이다. 이는 사진적 이미지를 바탕으로 발전한 영화적 재현 방법과도 무관하지 않다. 그럼에도 사진은 사진 자신만의 존재적 가치를 유지하며 현재에 이르기까지 하나의 예술적 표현 방법으로 유지되어 오고 있다. 사진 개발의 역사 초기에 기술적 한계에 의한 표현의 방식이었던 장시간 노출 방식 역시 20세기 후반부터 최근에 이르기까지 새로운 시공간의 표현의 가능성으로 재조명 받고 있다. \r\n본 논문은 사진의 수많은 기술적인 표현 중에서 장시간 노출 사진에 관한 연구이다. 피사체의 선명한 사진적 재현이 좋은 사진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믿음이고 이를 위해 필연적으로 짧은 시간의 셔터 속도는 기술적으로 당연한 요구가 된다. 이에 반해 사진작가의 의도에 의해 셔터가 장시간 개방되어 제작된 사진들이 현대적 사진 중에 하나의 표현 방식인 것이다.\r\n따라서 이 연구는 장시간 노출 사진을 사진작가들의 예술적 의식을 표현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장시간 노출사진 제작에 의해 변형된 시공간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장시간 노출 사진이 실제의 선형적으로 흐르는 시간에 연관되어 표현된 ‘사진’이라는 표현적 양식 범주 안에서 연구되기 위해서, 사진만이 가지는 특징을 바탕으로 장시간 노출 사진을 연구한다. \r\n구체적 연구로써 사진이 영화적 재현방법과의 차이점을 바탕으로 사진만이 가지는 “거기에 있었음”을 부인할 수 없는 감정, 즉 바르트가 말한 ‘노에마’가 장시간 노출사진에서도 유지 되는 것으로 보고, ‘기록’이라는 사진의 존재적 가치를 돋보\r\n\r\n이게 하기 위해 가장 큰 기여를 해왔던 다큐멘터리 사진의 시간과 공간을 장시간 노출 사진과 비교 분석함으로서 장시간 노출사진의 표현되는 사진의 시공간을 고찰한다. \r\n\r\n장시간 노출 사진은 오랜 시간동안 셔터가 열려져 있는 상태로 촬영하는 것이고, 그로 인해 동적인 요소를 표현하기 힘들다. 이러한 과정으로 만들어진 사진은 다큐멘터리 사진에 비해 관객이 얻을 수 있는 시각적인 정보가 제한되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 연구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장시간 노출사진 또한 롱샷으로 이루어진 사진들이고, 동적인 요소들은 배제되어 있다. 그러나 관객은 장시간 노출사진의 한정된 시공간의 이미지를 접하면서 상상하기를 포기 하지 않는다. 결국 장시간 노출 사진은 그 자신만의 시공간의 표현방법으로서 관객과 소통하고 있는 것이고, 이러한 화면 구성 방법을 기존의 다큐멘터리 사진과의 시공간의 구성 방법과의 차이점을 분석한다. \r\n본 논문에서 작가의 미의식 표현 과정에 의해 표현되어지는 장시간 노출 사진의 예로 김아타, 박홍천, 히로시 스기모토, 마이클 웨슬리의 사진작업을 통해 살펴본다.

영문초록

This thesis is A Study of modified space and time image in The Long - exposure photography among the various methods of photography. \r\nCurrently, even if photographers take the photography in many different ways, 'good pictures' are base on clear pictures in the generally accepted belief and necessarily needed to the short time-shutter speed of the camera. \r\nOn the contrary, The Long-exposure photography in accordance with the intention of photographers is a form of representation the among currency photography. \r\nThus, this study has an intention of analysis on the modified space and time under the Long-exposure photography as a means of the technical method in order to represent artistic consciousness.\r\nFor a study of the long-exposure photography in a form of representation that is the represented picture related to the real time of straight line of the long -exposure photography, this research analyzes the main features in the long-exposure photography. \r\nAs a detailed research, this study considers the space and time of the documentary photography contributing to stand out of the existence value in the photographic record by searching for the differences form the long-exposure photography in thinking that 'Noema', Roland Barthes said-"an undeniable feeling that has been so" is standing up to the long-exposure photography.\r\n\r\nThe long-exposure photography takes a picture in condition of the long time opened shutter, so it hard to represent elements of the movement. This photography after this process has the restricted information as compared with the documentary photography. however, a lot of spectators do not give up the imagination about it when they encounter the image of the long-exposure photography. \r\nFinally, long-exposure photography communicates with the spectators by its own 'expression method of time-spac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ce of the space and time in comparison with documents photography. \r\n\r\n On the other hand, the long time-exposure photography by the artist's aesthetic process of expression is to be searched from the works of Atta Kim, Park Hong Chun, Hiroshi Sugimoto, Michael Wesely.

비고 : MCA-1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