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자기반영적인 영화의 인용과 재구성 : 장 뤽 고다르의 <영화의 역사(들)>을 중심으로
  • 저자명|이하늘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4
  • 담당교수|서현석

주제어

장 뤽 고다르, 콜라주, 인용, 재구성, 영화의 죽음, 자기반영성, 텔레비전과 비디오

국문초록

프랑스 영화감독 장 뤽 고다르(Jean-Luc Godard)는 1980년대 후반 프랑스 영화계에 제기된 “영화의 죽음”이라는 시대적 문제에 대해 <영화의 역사(들)>(1988-1998)이라는 영화로 응답한다. 10년에 걸쳐 만들어진 이 영화는 고다르가 앞선 30년 동안 작품 활동 중에 보여주었던 모든 성찰적 시도들이 집약된 작품이다. 본 논문에서는 고다르의 <영화적 역사(들)>의 시대적 배경과 그 의의, 그리고 이 영화의 기법과 형식을 분석하면서 궁극적으로 그가 영화를 통해 보여주려는 이야기(들)을 연구한다. \r\n 고다르는 <영화의 역사(들)>에서 ‘영화란 무엇인가’에 대한 가장 본질적인 질문을 던지며, 새로운 영화를 만들기 위한 도구를 ‘현재’에서 찾고 있다. 그는 ‘영화의 죽음’에서 비롯된 영화예술의 위기를 그것과는 다른 성격의 매체인 텔레비전과 비디오를 통해 전에는 경험하지 못한 이미지를 보여준다. 이 영화에서 고다르가 보여주고자 하는 것은 기존 영화사와 당시 부각된 시대의 “제도 아래 이미지 보기”, “영화의 죽음과 노스탤지어”, 그리고 “다시 새롭게 보기”다. 그는 이 과정에서 관객에게 이미지를 다르게 보아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고다르가 제시하는 이미지는 새롭게 생산된 것이 아니라 고다르가 설정하는 영화적 맥락에 의해 그 의미가 변하면서 다르게 보이는 것으로 해석하며, 이 점에서 고다르의 영화를 새로운 영화라고 분석한다. 고다르가 말하는 여지(Margin)는 역사-기억의 이미지에 내재되어 있다. 이것은 이미지 해석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안에서 의미변화를 만들 수 있는 개념이다. 본 연구에서는 여지를 영화적으로 실현시키기 위해 고다르가 인용과 재구성을 이 영화의 형식으로 삼는다고 보고 이를 분석한다. 그는 이 형식을 이용해 기존 영화사에 존재해왔던 영화를 포함한 이미지와 사운드를 인용하고 재구성하는데, 이에 대해 연구자는 그가 직접 인용구들의 연결 관계를 만들기 위해서라고 개입하는 것이라고 분석하며, 그것의 증거로 영화에 직접 자신의 신체와 목소리를 등장시키는 고다르와 기계장치의 등장, 그리고 그 둘이 관계를 맺고 있음을 제시한다. 또한 이 방법론이 미술에서의 콜라주와 유사하다고 보며, 고다르 영화의 기법과 형식을 분석하기 위해 콜라주 개념의 도움을 받아 그가 말하는 여지의 대한 논의를 진행한다.\r\n 본 연구는 이 영화에서 고다르가 수집한 인용구들이 재구성되는 스타일을 분석하기 위해 그가 제시하고 있는 세 주제어 - “보편적 역사에 관한 담론”, “영화의 죽음과 노스탤지어”, 그리고 “도래할 시간과 기억의 ‘영화’-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또한 연구자는 인용구들이 영화적으로 재구성된 형태들을 살펴보면서 고다르와 그의 영화에서 나타나는 자기반영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영문초록

Citation and Reconstruction of Self-Reflective Film :\r\nFocused on Histoire(s) du cinéma by Jean-Luc Godard\r\n\r\nFrench Filmmaker Jean-Luc Godard made the film Histoire(s) du cinéma in response to the question of the 'Death of Cinema' raised in France during the late 1980's. The film addresses the essential question of 'what is cinema?' and integrates all the introspective attempts that mark Godard's career prior to its decade-long production. Here, Godard makes use of new media of the 'present' television and video-that are befitting of a film "never made before," as he unravels the helplessness he feels as a filmmaker at the face of the 'Death of Cinema.'\r\nHistoire(s) du cinéma thematically articulates the following: the "conventional mode of seeing" that has its origin in the history of image thus far, the "death of and according nostalgia for cinema," and finally, "seeing in a new way." In the process, Godard emphasizes the necessity of having the audience see the 'image' anew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He finds the opportunity to reconsider the meaning of the image by "seeing in a new way" through the concept of 'margin' inherent to the image. As a conceptual factor that brings changes in the thematic contexts of the image, 'margin' is what Godard tries to embody in the form of a film. He also presents citation and reconstruction as the form of Histoire(s) du cinéma. He collects fragments of image, sound, and even poems, then reconstructs them in a composition of collage.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film form signifies how the citations become semantically connected. Godard appears as the main performer and narrator by actuating a typewriter and an editing table within the film.\r\nThis research focuses on how Godard relates with the histoire(s) of cinema and how he visualizes the aforementioned themes in Histoire(s) du cinéma. It aims to study the significance of Godard's film by examining examples of reconstituted style depending on elements of citation.\r\n\r\nKeywords : Jean-Luc Godard, collage, citation, reconstructing, the Death of Cinema, self-reflectivity, television and video.

비고 : MCA-1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