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자전적 다큐멘터리의 분열된 발화주체가 감독의 자기성찰에 미치는 영향 - 로스 맥켈위의 <셔먼의 행진>을 중심으로 -
  • 저자명|정희영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5
  • 담당교수|서현석

주제어

다큐멘터리, 자전적 다큐멘터리, 자기성찰, 로스 맥켈위, 자크 라캉, 정신분석, 자서전

국문초록

자전적 다큐멘터리는 감독 자신과 자신을 둘러싼 현실을 대상으로 탐구하는 다큐멘터리로서 감독의 생각이나 태도가 일관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지 의문을 가지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 문제와 관련하여 자전적 다큐멘터리에서 나타나는 특징과 그 특징이 감독의 자기성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r\n로스 맥켈위의 자전적 다큐멘터리 <셔먼의 행진>은 분열된 발화주체의 양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작품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작품의 발화주체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라캉의 정신분석학 관점에서 분석한다.\r\n자전적 다큐멘터리의 발화주체는 빌 니콜스가 말하는 기존 다큐멘터리의 “신의 목소리” 와 다르게 일상적인 개인의 목소리로 나타나고, 자서전의 일관된 주체와 다르게 다중적 주체로 나타난다. <셔먼의 행진>에서는 내레이션, 독백, 대화를 통해 발화하는 주체와 1인칭, 3인칭으로 발화되는 주체에 주목한다. 내레이션은 화면 속 자신과 시공간이 분리되어 나타난다. 독백은 상황에 따라 목소리가 변화한다. 대화는 감독과 주인공을 오가는 자신을 드러낸다. 1인칭 ‘나’는 감독과 일치할 수 없는 언어적 지시대상으로 나타난다. 3인칭 ‘로스’는 감독이 아닌 다른 사물의 이름으로 구체화된다.\r\n자전적 다큐멘터리는 주체와 대상이 일치하여 감독을 직접 드러낸다. <셔먼의 행진>에서 촬영을 하는 감독은 거울을 보며 자기성찰과 매체성찰을 한다. 역사적 인물인 셔먼과의 동일시가 좌절되고, 남부 여인들과의 연애에 실패하며, 핵전쟁에 대한 불안감이 반복되면서, 주체는 욕망의 구조 속에서 결여를 드러낸다. 이 작품에서 실패의 전경화와 불확실한 결론도출 같은 수사적 전략을 사용하는 통합된 주체가 나타남에도 불구하고, 분열된 발화주체의 양상은 여전히 감독의 자기성찰을 확장시킨다.\r\n결론적으로 자전적 다큐멘터리의 분열된 발화주체는 이론적 고찰의 대상에만 머물지 않고, 영화를 만드는 감독에게 실천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특징이다. 자전적 다큐멘터리는 감독이 자신의 다양한 측면을 직면하고 재현하는 매개가 되고 있다.

영문초록

Autobiographical documentary, a type of documentary that explores the director’s own self and the surrounding reality, raises the question of whether it represents the director’s consistent identity.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split subject and self-referentiality of the director are interrelated in autobiographical documentary, most notably in Ross McElwee’s Sherman’s March. It incorporates Jacque Lacan’s psychoanalytic accounts of ego and subject to interrogate how the director’s self-representation conveys senses of anxiety and indeterminacy as the rhetorical and ethical ground for audiovisual enunciation of subjecthood. \r\nThe subject in an autobiographical documentary tends to appear in an ordinary, everyday conversational tone rather than what Bill Nichols calls “the voice of god” in expository mode of representing “reality.” The semantic makeup of the director in such films as Sherman’s March is dispersed throughout multiple layers of representation, namely off-screen narration, in-camera monologue, and discursive engagement with others. These indicators unsettle the process of enunciation in the psychoanalytic sense. The mode of speech in fact alternates with no preset rules as situations and moods change. The narration, while conveying very private thoughts, alienates itself from the very semantic position that the director as a “real person” attempts to assume. The director is even referred to as the third person. The “I” of the confessional discourse, in other words, hardly corresponds to a stable and consistent persona; the name of “Ross” is objectified as a kind of protagonist. \r\nThese fluctuations function in ways through which the very self-enunciation engages in a mirroring effect, revealing the very process of speech and self-formation. The mirroring effect is also visualized in the film as the director gazes himself in the mirror. The sensory self-reflection becomes analogous to the self-reflexivity of the medium itself, as the subject of the self-gaze is exposed in the process of making the film. \r\nIt is no coincidence that it is precisely these performative exchanges of self-reflection and self-reflexivity that make the motifs of anxiety and failure symbolically protuberant. The director’s efforts to identify with the historical figure of Sherman, to find himself a romantic partner, and to cope with the nuclear threat do not amount to a controlled, psychologically stable formation of the self; the more vocal the narrator/protagonist/director becomes in rationalizing himself, the more unsettling the modes of self-representation gets, alienating himself from the ideal ego and implying the inherent lack of the subject that Lacan explicates as the very condition of subject-enunciation.\r\nSuch are not simply theoretical or conceptual problems but rather practical and concrete ones that the subject of autobiographical performance faces in audiovisual construction of surrounding reality. Autobiographical documentary, in other words, becomes the means not only to deal with multi-dimensional aspects of one’s alienation but also to formulate and represent them.\r\n\r\nKeywords: documentary, autobiographical documentary, self-referentiality, \r\nRoss McElwee, Jacques Lacan, psychoanalysis, autobiography

비고 : MCA-1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