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콜라주 형식으로 나타난 자전적 다큐멘터리의 주체 : 수 프리드릭의 <Sink or Swim>을 중심으로
  • 저자명|이지윤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6
  • 담당교수|서현석

주제어

자전적 다큐멘터리, 주관성, 수 프리드릭, 콜라주, 페미니즘 영화, 주체, 자기기입, 자서전, autobiographical documentary, subjectivity, Su Friedrich, collage, feminist film, self-inscription, autobiography

국문초록

본 논문은 수 프리드릭의 실험 다큐멘터리 (1990)이 어떻게 자전적 글쓰기의 지배적인 양식으로부터 벗어나며 질문을 던지는지 연구한다. 여러 예술 영역과 사회정치적 담론의 영향 하에서, 1970년대의 자전적 다큐멘터리는 기존의 다큐멘터리와 저널리즘에서 전제되는 객관성의 한계를 교란 시켰을 뿐 아니라 불확정적이고 탈중심적이며 미완성인 발화주체의 위치를 조성하였다. 대중문화에서 나타나는 가족과 아버지의 신화myth에 대한 논평으로서, 은 발화주체와 장르적 관습 사이, 사적인 명상과 공적 담론 사이의 조화로운 관계에 문제를 제기한다. 이러한 작품들의 주체는 일관된 세계관과 거리를 두며, 환경에 따른 가변성과 유동성을 특징으로 하며 프리드릭은 영화적 실천에 다양한 목소리의 필요성에 대한 복합적인 사유를 제시한다. 1980-90년대 자전적 영화 만들기의 자아의식을 재정의한 선구적인 작품으로서, 프리드릭의 영화는 파편적이고 모호하며 역설적인 자기기입의 양식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프리드릭의 영화를 콜라주 영화로 접근함으로써 자신의 목소리를 다루는 과정의 미학적, 수사학적, 정치적 함의를 온전히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자는 미술에서 등장한 콜라주를 이질적인 요소들 간의 창의적인 배치와 이로 인한 맥락의 전환으로 정의하며, 이로써 재현의 조건에 대한 논평과 새로운 의미 창출이 가능함을 살펴본다. 또한 프리드릭의 방법론이 지니는 수사학적인 양상과 정치적 의미를 되새기기 위하여 들뢰즈와 가타리의『천 개의 고원』 (1987)에서 제시되는 리좀학의 개념들을 이론적 틀로 도입한다. 이 과정에서 연구자는 영화가 파편적이고 이탈된 주체를 정치적으로 제공하는 방식을 밝힌다. 또한 프리드릭은 풍부한 레퍼런스들을 통해 자기 자신의 기억으로부터 이탈하여 사적인 이야기를 보다 넓은 사회적 문화적 맥락으로 확장시킨다. 이러한 방식을 통해서 프리드릭이 재현하는 여성성 및 레즈비언 정체성의 모습이 남성중심적인 다큐멘터리의 발화주체에 대한 논평으로 기능할 수 있는 것이다. 이로써 아버지와 딸의 관계라는 개인적 주제를 다루며 프리드릭은 여성 주체성의 재현에 대한 유의미한 사유를 제공하며, 자신만의 뚜렷한 목소리를 구축한다.

영문초록

This thesis examines how the self-enunciation in Su Friedrich’s experimental documentary Sink or Swim(1990) questions and deviates from the predominant mode of selfhood in autobiographical writing. Under varying influences from other areas in art and sociopolitical discourses, autobiographical documentary in the 1970’s had not only unsettled and put to test the limits of objectivity presumed in documentary and journalism but also fostered indeterminate, decentered, and incomplete positions for the speaking subject. As a critique of the myth of family and fatherhood in popular culture, Sink or Swim further problematizes the harmonic relation between the speaking subject and the genre conventions, between the private contemplation and the public discourse. Far from conforming to the premise of a stable, consistent worldview, the subject of autobiographical documentaries are defined by contingency and variability, and Friedrich’s film offers an intricate political account on the necessity of diversified voices in cinematic practices. As one of the pioneering works that redefined selfhood in autobiographical filmmaking in the 1980-90’s, Friedrich proposes fragmented, ambiguous, and paradoxical self-inscription as a mode of writing. In this study, I approach Friedrich’s film as a collage film in order to fully apprehend the aesthetic, rhetor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of her treatment of her own voice. I define the main feature of collage as its creative juxtaposition of disparate materials in a manner that displaces contexts, which enables itself to reinstate its representational state and to derive new meanings. In Sink or Swim, the new layers of meaning derived from the collage construction are both self-reflexive and political. In order to analyse the rhetorical aspects and political implications of this methodology, I use Deleuze and Guattari’s concept of rhizome in A Thousand Plateaus(1987) as a theoretical framework. In doing so, I illuminate the ways through which the film furnishes the fragmented and displaced subject with political valour. Incorporating rich references from various sources, Friedrich displaces herself from her own unsettling memories and repositions private vulnerability in the social, cultural contexts. It is in this way that her representation of femininity and lesbian identity becomes a critique of the self-assured voice in male-dominated documentary. While tackling a personal theme, Friedrich evokes a mode of self-representation that opens and questions itself.

비고 : MCA-1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