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알랭 레네의 <밤과 안개>에 나타난 영화적 애도
  • 저자명|모현신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5
  • 담당교수|이윤영

주제어

애도, 밤과 안개, 알랭 레네, 장 케롤, 무젤만, 자크 데리다, 푸닥거리, 면갑 효과, 유령

국문초록

본 논문은 알랭 레네의 영화 <밤과 안개>(1955)에 나타난 영화적 애도에 대한 연구이다. 프로이트의 불확실한 추측적 접근과 아브라함과 토록의 실패한 애도 작업에서 긍정의 요소를 발견한 데리다는 애도란 그것을 수행하는 육체 안에 잘 간직하는 것과 잘 꺼내 놓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러한 데리다의 ‘호주머니 만들기’식의 애도 작업을 기초로 이 글은 영화의 주체인 감독, 되돌아온자, 관객이 수행하는 애도에 대해 중심적으로 다룬다. 제 2장에서 감독의 애도는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다. 첫 번째는 카메라의 운동으로 오프닝 시퀀스에서 초혼 형태로, 두 번째는 몽타주로 가스실 천정 시퀀스에서 어긋남을 인식하게 하는 빈 공간의 형태로 초혼의 대상을 적절하게 묻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3장에서는 되돌아온자 장케롤의 말할 수 있는 입장의 독특성을 알아보고 그의 텍스트가 화면과 충돌하면서 형성하는 애도 작업 중 침묵, 경고와 사명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제4장에서는 은폐된 존재 무젤만이 환기하는 어긋난 이음매를 찾아보고, 무젤만이라는 단어 자체가 내포하는 무의식적인 감정, 즉 부끄러움과 수치감이 의미하는 현재적 의미에 대해 고찰한다. 5장에서는 경계 위의 삶의 영역에 존재하는 애도의 이미지를 통해 애도 작업의 의미를 확장시킴과 동시에 미래적인 타자와의 관계 맺기를 강조한다. <밤과 안개>는 이미 상실해 버린 대상과 끊임없이 되돌아오는 타자에 대해 남겨진 자들이 수행해야 할 푸닥거리, 그 자체이다.

영문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operation of ‘cinematic mourning’ in Alain Renais’s Night and Fog (1955). \r\nTaking upon Sigmund Freud’s ‘uncertain’ speculative approach and a positive element which Derrida found in Nicholas Abraham and Maria Torok’s failed mourning he defines ‘mourning’ as keeping it in and out well from the body. Using Derrida’s concept of ‘forming a pocket’, this study explicates how mourning operates through the agencies of director, revenant and the audiences. The second chapter gives two different ways in which the film symbolically performs ‘proper burials’ of the spectres. One is the camera traveling which is shown in the opening sequence through the form of ‘invoking spirits’. And the other one is the montage in the sequence of the gas chamber ceiling that shows the empty space to reinforce the ‘disturbance’. The third chapter accounts for the uniqueness of the ‘effable’ position that Jean Cayrol, the revenant, is in. It also investigates the operation of mourning through the way of ‘silence, warning and mission’ made by the collision between his text and photographic images. The forth chapter deals with Muselman, the object of concealed mourning, in order to explicate how mourning involves shame. \r\nThe fifth chapter stresses to extend the meaning of mourning through the image existing on the borderline of life area and to bond with the future stranger at the same time. In essence, Night and Fog performs the cinematic equivalent of exorcism to come to terms with the effects of collective violence and to offer an ethical vision of the future as well as the past.

비고 : MCA-1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