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영화와 동시대성 : 자크 랑시에르의 미학과 이미지성을 중심으로
  • 저자명|고유희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6
  • 담당교수|서현석

주제어

동시대성, 동시대 영화, 미학, 모더니즘, 이미지, 자크 랑시에르, contemporaneity, contemporary cinema, aesthetics, modernism, image, Jacques Ranciere

국문초록

동시대라는 시간의 축을 공유하면서 ‘동시대성’을 질문에 부치는 것은 어쩌면 너무도 어려운 과제일 것이다. 예술사에 있어 그것은 때로는 자신의 시대를 역사적으로 시점화하며 이전의 역사와 단절하고 특정한 위치로 맥락화하는 형태로 나타나기도 하고, 파편적으로 흩뿌려져 있던 개별이고 국소적인 작업들을 한데로 모아서 늘어놓고 제시되기도 한다. 사후적으로 또는 현행적으로 시대정신이라 일컬어지는 것을 길어올리도록 설계하는 이 작업은 사실상 난립하는 동시대를 표방하는 것들 중 시대착오적인 것, 지금 여기에는 거의 없는 것을 탐구한다. \r\n자크 랑시에르의 미학에 대한 관점은 기존의 예술을 대상으로하는 분과 학문으로서의 미학과 구분되며 세계를 지각하고 사유하는 체제들, 질서를 지배하는 원칙의 양식으로서 파악된다. 권력의 통치에 따라 지각과 사유가 고착된 채 사로잡혀 있는 상태에서, 미학은 볼 수 있는 것(사유될 수 있는 것)과 볼 수 없는 것(사유될 수 없는 것)을 구획하고 언표 아래 감각적 것들 사이의 위계를 만든다. 반면 이 위계를 폐지함으로써 기존에 볼 수 없던 것들이 보여지도록 들추어내는 체제 역시 미학의 양식으로서 존재하며, 이것은 기존의 모더니즘 예술사에서 표명되었던 미학의 원리 및 테제와 차이를 가지면서 모더니즘이 미제로 남긴 과제를 동시대적으로 수행하고자 한다. \r\n근대 이후 발견된(발명된) 근대성과 예술사에서의 모더니즘은 동시대인 역시 근대인의 테두리 안에 묶어두는 한 편, 이후의 여타 담론들의 출현에도 불구하고 다시 그 자리로 되돌아가도록 만드는 강력한 영향력을 지속하고 있다. 그것이 제기한 자기-지시적인 탐구의 방식은 근대의 산물로서 출현한 영화 예술에서도 마찬가지로 동반되어왔다. 디지털 방식의 기록 매체의 출현, 컴퓨터 그래픽의 진보, 유통 및 관람의 방식의 다변화 등 영화를 둘러 싼 요소들이 그것의 역사와 나란히 변모해가면서, 동시에 더 이상 움직이는 이미지가 자기만의 것이 아닌 동시대적인 현상과 맞딱드리면서, 영화는 그것의 존재론적인 질문의 범주 밖으로 뻗어져 나간다.\r\n시각예술 영역에 속하면서 미학적 지위를 성취해온 영화와 그것의 동시대성을 고찰하기 위해 본 논문은 차라리 본질적인 질문, 이미지로 돌아가고자 한다. 이미지 자체가 미학적인 역량으로서 존재할 때, 곧 이미지가 언표적으로 지시된 것과 지시되지 않은 것 사이의 관계를 재구축하도록 만드는 시각성의 역량으로서 작동할 수 있는지 재고함으로써 이미지의 종말, 영화 예술의 위축, 예술의 종언과 같은 예술사와 함께 내내 떠도는 이러한 류의 위기로부터 다시금 타계할 계기를 수복하고자 한다.

영문초록

It is perhaps a difficult task to question the contemporaneity whilst sharing the contemporary as an axis of time. In the history of art, it often appears as constructing a historical viewpoint on one’s own period, departing from the previous and contextualizing a certain position. In fact, desigining what is called the Zeitgeist is exploring the anachronic, the unexisting, from the jumbles of many that claim to be contemporary.\r\nThe perspective on the aesthetics of Jacques Rancie're distinguishes itself from previous aesthetic studies, an academic discipline subjected to existing art.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system of perceiving and deliberating on this world, as a frame of principles that govern the order. In a status of fixated perceptions and thoughts under the authoritarian power, aesthetics compartmentalizes and creates hierarchies between what is visible(and be thinkable) and what is invisible(and cannot be unthinkable). On the other hand, alternative system of aesthetics also exists, which reveals the previously invisible by revoking such hierarchy. It attempts in contemporaneity to carry out the unsettled tasks left from what had\r\n69\r\nbeen proclaimed by the modernism art history as the principle and the thesis of aesthetics.\r\nModernity and modernism discovered(invented) after the modern times continue to hold power that still confines the contemporary in the frame of modernity, despite the emergence of other discourses. Its self-referencial means of study has been also applied in cinema, the “modernist” medium par excellence. Due to historical transfigurations of diverse elements surrounding cinema such as the advent of digital as a recording medium, advance of computer graphics, diversified ways of circulation and viewing, as well as the contemporary phenomenon of moving images no longer belonging to its own, cinema is spreading out of an existential question.\r\nIn order to rethink/reframe the contemporaneity and the aesthetic establishment of cinema as part of the visual arts, this thesis suggests rather to return to the fundamental question, the image. By reflecting whether the image can operate as a visual competence that enables the restructur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locutionarily indicated and the non-indicated, this thesis attempts to reclaim the opportunity to overcome such currents of crisis coined as the end of image, the atrophy of film art, or the death of art.

비고 : MCA-1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