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식민지 시기 학술조사 사진에 나타나는 ''''관찰자의 현존''''에 대한 연구
  • 저자명|이재준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8
  • 담당교수|서현석

주제어

관찰자의 현존, 인류학적 사진, 탈식민주의, 호미 바바

국문초록

1910년 한일병합을 전후로 일제는 식민정책의 원활한 수행을 위해 조선인의 삶과 문화에 대한 대대적인 학술조사를 실시했다. 이 시기에 조선은 새로운 주체와 새로운 재현 체계에 의해 가시화되었으며, 이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근대적 재현도구가 바로 사진이다.
본 연구는 일본의 사회학자이자 민속학자 아키바 다카시(秋葉隆)가 제작·수집한 유리원판사진들을 탈식민주의적(post-colonial) 관점에서 검토한다. 아키바가 남긴 1500여점의 사진들 중 대다수는 제작의 의도 및 피사체의 정체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채 ‘미분류’ 상태로 남아있으며, 오늘날의 관객이 그 사진들의 의미를 읽어내고자 할 경우 사진을 찍은 ‘그들,’ 즉 식민주의자의 시선에 의존해야하는 역설적인 상황에 봉착하게 된다. ‘지금’의 ‘우리’가 사진에서 다른 의미를 읽어내기 위해서는 피사체를 향했던 그 시선의 정체를 규명할 필요가 있으며, 따라서 본 연구는 우선적으로 식민권력이 사진에 대해 가졌던 기대와 믿음의 역사성을 밝힌다. 당시 일제의 학자들이 서고자 했던 자리는 근대적인 관찰자의 자리로, 이는 과학적 관찰의 규범과 사진적 리얼리즘의 공모를 통해 구성된 비가시적 권력의 자리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아키바의 사진에서는 아키바 자신을 비롯한 관찰자의 모습이 반복적으로 등장하는데, 그로 인해 식민담론이 전제하는 주체와 객체, 봄과 보여짐의 이분법적 구분이 모호해진다. 이렇듯 주체와 타자의 경계에서 발생하는 모호성과 양가성의 효과는 호미 바바(Homi K. Bhabha)가 주장하는 식민지적 주체성의 핵심으로, 본 연구는 그의 탈식민주의 이론을 경유하여 화면에 가시화된 아키바의 모습을 분석한다. 결과적으로 ’관찰자의 현존‘이 드러내는 것은 식민지배자의 이데올로기적 의도가 실행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균열과 간극이며, 이 때 사진은 촬영자의 의도를 수행하는 도구가 아닌 주체의 불안정성과 불가능한 욕망을 비추는 거울로 작동한다.

영문초록

The present study analyzes the gelatin dry glass plate photography produced and collected by the Japanese sociologist and folklorist Akiba Takashi from a postcolonial perspective. Aiming to further its colonial policies, Imperial Japan conducted large-scale academic research on the life and culture of the people of Joseon at the time of Japan's annexation of Korea in 1910. During this period, Joseon was largely visualized through a new representation system by the new subject. Photography was a modern representation tool, which symbolically represented various aspects.?
To date, the production intention and the identity of subjects for photography remain unknown and unclassified in most of the 1,500 photographs taken by Akiba. When present-day viewers attempt to understand the true meaning of these photographs, they face a paradoxical situation in which they have to depend on the gaze of 'them' who took the photographs, that is, the colonialists. It is required to investigate the identity of this past gaze at the subjects of photography so that 'we' can understand the meanings 'now.' Therefore, this study primarily investigates the history of the colonial power's expectations regarding and faith in photography. The position that scholars of Imperial Japan aimed to assume was that of a modern observer. In other words, it is an invisible position constructed by combining the norms of scientific observation and realism of photography. However, the figures of observers recur as well as Akiba himself in many of his photographs. This renders ambiguous the dichotomous boundaries between the observer and subject and the 'seeing' and 'being seen,' which form the premise of the colonial discourse. This i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the colonial subject proposed by Homi K. Bhabha. The present study analyzes the appearance of Akiba visualized in his photographs through the theory of post-colonialism by Bhabha.
In conclusion, the 'observer's presence' reveals cracks and cleavage, which occurred in the process of executing the ideological intent of the colonists. In this context, photography was not a tool that represented the intent of the photographer; rather, it served as a mirror that reflected the instability of the ruling subject and its impossible desire.

비고 : MCA-1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