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시네마 베리테의 성찰적 픽션-이마무라 쇼헤이의 <인간증발>을 중심으로 -
  • 저자명|강상우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9
  • 담당교수|서현석

주제어

시네마 베리테, 이마무라 쇼헤이, 인간증발, 장 루쉬, 에드가 모랭

국문초록

1960년대 초에 출현한 시네마 베리테(cinema-verite)는 프랑스의 민족지학자이자 영화감독인 장 루쉬(Jean Rouch)와 사회학자 에드가 모랭(Edgar Morin)에 의해 창안된 영화 운동이다. 루쉬와 모랭은 경량의 필름 카메라와 휴대용 테이프 레코더로 가능해진 동시녹음-촬영 체제를 활용해 우발적인 현장에 감응하는 핸드헬드 카메라 운동과 일상적이고 즉흥적인 대화를 동시적으로 포착하는 새로운 영화의 가능성을 탐구했다. 본 연구는 그들의 시네마 베리테 선언을 짚어보며 오늘날 다큐멘터리의 하위 양식으로 흔히 인식되는 시네마 베리테적 실천이 가진 픽션(fiction)으로서의 역량에 주목한다.
시네마 베리테의 픽션은 동시녹음-촬영 체제를 통해 변화하는 목소리의 지위와 제작진의 전경화에 기반을 둔다. 최초의 시네마 베리테 영화 <한 여름의 연대기(Chronique d’un ete)>(1961)의 동시녹음-촬영의 방법론인 루쉬의 ‘페도비지옹(pedovision)’과 모랭의 ‘코멍살리테(commensalite)’는 삶의 현장에서 즉흥적으로 이루어지는 대화의 상황을 포착한다. 이는 카메라 앞에 선 실제 인물들을 일종의 심리극(psychodrama)적인 상황에 마주하게 하여 자기 자신의 일부를 연기하는 상황을 유도한다. 또한 카메라 앞에 출현하는 감독과 인물들의 상호작용이 전경화되면서 영화 만들기에 대한 성찰은 시네마 베리테 영화의 주요한 형식적인 요소로 자리 잡는다. 그러나 다큐멘터리적 리얼리즘이 부과한 기존 규범들과 이미지와 사운드의 동시성에 충실한 편집은 <한 여름의 연대기>가 시네마 베리테가 픽션으로서 역량을 실험하는데 상당한 제약으로 작용하였다.
일본의 영화감독 이마무라 쇼헤이(今村昌平)의 아홉 번째 장편영화 <인간증발(人間蒸發)>(1967)은 픽션으로서의 시네마 베리테의 역량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그는 동시성의 규범을 선택적으로 활용하는 동시에, 이질적인 이미지와 사운드의 ‘픽션적 구축(fictional construction)’을 통해 새로운 유형의 심리적 인물을 창안한다. 또한 싱크레즈와 프리즈 프레임, 쇼크 컷 등 다양한 픽션적 장치를 활용하고 감독의 영화적 방법론에 대한 고민을 전경화함으로써 시네마 베리테의 ‘성찰적 픽션(reflexive fiction)’의 가능성을 제시한다.핵심어: 시네마 베리테, 이마무라 쇼헤이, 인간증발, 장 루쉬, 에드가 모랭

영문초록

"Cinema-verite" is the French film movement created by ethnographer and film director Jean Rouch and sociologist Edgar Morin in the early 1960’s. With the advent of a lightweight handheld film camera and a portable tape recorder, Rouch and Morin explored the possibility of the "authentic talkie cinema" that captures the authenticity of life as it is lived through the synchronized sound-and-image system. Beginning with a close reading of their original declarations, this thesis focuses on the fictional capacities of the cinema-verite practice, which is often perceived as a subordinate mode of the documentary genre.
The "verite fiction" is made possible based on two decisive changes in cinema contributed by cinema-verite: the changed status of voice in film and the pro-filmic presence of the filmmaker. Rouch’s "pedovision" and Morin’s "commensalite" were the two main methodologies of Chronicles of a Summer(1961) that facilitated interactions between the filmmaker and the "social actors," capturing synchronized images and sound of their everyday conversations in an improvised manner. Such "verite" practices led to a certain type of "psychodrama" situation in which social actors were encouraged to play parts of themselves, thus enabling the fictional capacity of cinema-verite. The pre-existing norms imposed by documentary realism as well as the synchronization-based editing, however, limited the extent to which Chronicles of a Summer experimented in the fictional territory.
This thesis places A Man Vanishes(1967), Japanese director Shohei Imamura’s ninth feature film, as an important example of cinema-verite’s fictional capacities. While Imamura selectively utilizes synchronized images and sound, he also experiments with "fictional constructions" of heterogeneous images and sound to represent new types of psychological characters in the film. By utilizing various cinematic techniques such as "freeze frame" and "shock cut," the film foregrounds the filmmaker’s reflections on cinematic methodologies and presents the possibility of reflexive fiction pioneered in the French origin of cinema-verite.Keywords: Cinema-verite, Shohei Imamura, A Man Vanishes, Jean Rouch, Edgar Morin

비고 : MCA-1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