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의 유기적 몽타주 - 영화 <멕시코 만세>를 중심으로 -
  • 저자명|박철진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19
  • 담당교수|이윤영

주제어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 몽타주, 멕시코 만세, 유기성, 충돌몽타주, 유기적 몽타주,
일원성, 중의적, 화면 내의 몽타주.

국문초록

1931년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이 멕시코에서 받은 영감과 작업들은 전생에 걸쳐 몽타주의 가장 집중적인 연구의 시기였다. 멕시코의 살아있는 이미지들이 멕시코의 삶과 자연의 풍경 속에서 서로 대립하고 공존하는 이중적인 형태의 생명으로서의 가치들은 에이젠슈테인의 몽타주를 더욱더 견고하게 만들며 지금 것 자신이 주창한 모든 몽타주의 결정체를 이뤄 낼 수 있는 중요한 시기가 되었다. 1929년에 제기된 ‘상음적 몽타주’를 시작으로 멕시코의 경험을 바탕으로 관찰된 ‘유기적 몽타주’는 그가 이룬 몽타주 중, 가장 높은 수준의 몽타주이며 전체를 대변하는 일부, 일부를 대신하는 전체로서 멕시코의 사회와 삶, 주변의 지리적 특성, 그리고 멕시코인의 정신과 특질을 포함하고 있는 유기적인 몽타주의 집합체이다. 에이젠슈테인은 멕시코의 풍경과 자연을 바라보며 쇼트를 살아있는 생명으로 여기며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가 공존하는 멕시코의 사회를 관찰하며 하나의 쇼트 안에서도 내적인 충돌이 일어나고, 그 안에서 다시 분리되고 다시 하나로 융화되는 ‘화면 내의 몽타주’를 통해 같은 질량의 쇼트들이 힘과 대비되는 에너지들로 서로 중첩되며, 이미지의 연쇄적인 충돌과 내적인 반응을 통해, 하나의 쇼트가 전체를 대변하는 통공교차적인 관점에서의 ‘일원적 사유’를 에이젠슈테인은 <멕시코 만세>를 통해 표현하였다.
본 논문은 그의 사고의 전환과 그만의 다양한 미적 양식, 그리고 실험적 세계를 추적하는 것을 본 논문의 목표로 삼고 있다. 그중 그가 펼치지 못한 2시기와 3시기의 글들을 재조명하여 <멕시코 만세>에 나타난 그의 심층적인 세계관(유기적, 일원적 사유, 다양한 양식들의 대립)을 분석하고 그가 미처 이루지 못한 ‘유기적 몽타주의 일원적 사유’를 현대에서 바라보는 몽타주의 관점과 의의를 통해 쇼트의 일원적 사유를 정의 하는 것이 본 논문의 주요 쟁점이다.

영문초록

1931 was a period of intensive explorations that Sergei Eisenstein conducted with his works and inspirations drawn from his experiences in Mexico. The vivid images of Mexico depicted the double-faceted features of life that conflict and coexist within the Mexican lifestyle and natural landscape. Throughout this period, he consolidated his notion of montage and finally made his past arguments on the subject fruitful. Beginning with the ‘Overtonal montage’ which first appeared in 1929, the ‘Organic montage’ is paramount among others that he had created. This was established based on his experiences in Mexico. It is an organic aggregation of montages that include concepts such as portions which represent the whole Mexican society and lifestyle, the whole which substitutes the portions, the surrounding geographical features, and the mi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Mexican people. From the observation of the Mexican landscape and nature, Eisenstein considered the shot to be an entity with its own life and through his examination of the Mexican society, where the past, present, and future coexist, he described that even within one shot there exist inner-collisions and through ‘Montages within a single Frame’, which disintegrate and re-integrate within itself, shots with identical mass amass into an energy with comparable force and from this cascade of images and inner-reaction, through ‘¡Que viva Mexico!’, Eisenstein was able to describe the concept of a shot representing the whole from a synchronic and diachronic ‘unitary reasoning’ perspective.
The objective of this dissertation is to trace Eisenstein’s shift of philosophy, his various artistic styles, and his experimental universe. Among many,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the writings of his second and third phases to analyze his in-depth world view (organic and unitary reasoning and the conflict among various forms) and reveal the modern perspectives and implications of montages using the ‘unitary reasoning of organic montages’ through the unitary reasoning of a shot, that which Eisenstein failed to achieve.

비고 : MCA-1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