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커뮤니케이션대학원 졸업논문

소프트 몽타주를 통한 역사의 재맥락화 - 하룬 파로키의 <세계의 이미지와 전쟁의 각인>을 중심으로 -
  • 저자명|이혜원
  • 학위|석사
  • 졸업연도|2020
  • 담당교수|이윤영

주제어

하룬 파로키, 테오도르 W. 아도르노, 소프트 몽타주, 에세이, 에세이 영화, 내재적 비판, 형세, 역사의 재맥락화

국문초록

이 논문은 영화 감독이자 미디어 아티스트, 이론가인 하룬 파로키(Harun Farocki)의 핵심적인 미학으로 꼽히는 소프트 몽타주(soft montage) 개념을 통해 파로키의 작업을 면밀히 들여다본다. 본고는 소프트 몽타주를 파로키의 후기 미술관 인스톨레이션 작업의 방법론에만 국한된 개념이 아닌 그의 에세이 영화에서의 몽타주까지 아우르는 개념으로 확장시켜 정의한다. 물론 그의 영화 작업과 인스톨레이션 작업은 영화관과 미술관이라는 공간적, 제도적으로 분리된 별개의 영역에서 이루어져왔다. 하지만 파로키의 핵심적인 미학에 다가가기 위해서는 영화와 미술관 인스톨레이션 작업을 아우르는 그의 일관된 문제의식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미지의 배열을 통해 이미지와 그것이 담고 있는 현실이 새롭게 보여질 수 있도록 하는 파로키의 지속적인 관심사는 그의 작업 전반에 걸쳐 나타나기 때문이다.

이미지가 새롭게 보여지도록 하는 소프트 몽타주의 미학에 접근하기 위해서 소프트 몽타주를 테오도르 W. 아도르노(Theodor W. Adorno)의 에세이 논의와 함께 살펴본다. 이미지의 재맥락화, 이미지의 재유형화, “이율배반”은 에세이 방법론으로서 소프트 몽타주가 이미지들의 관계성을 통해 이미지에 내재되어 있는 의미값들을 살피는 종결되지 않는 과정을 나타낸다. 이는 이미지 자체에 대한 성찰과 더불어 소프트 몽타주의 방법론까지 되돌아보는 성찰로 나아간다.

아도르노의 에세이 논의에서 특히 주목해야할 개념은 “내재적 비판”이다. 이는 개념과 요소를 서로에게 대질시켜 비판적 사유를 추동한다. “내재적 비판”은 특정한 형상을 거부하는 아도르노의 “형상 금지” 미학 원리와 연결된다. 이미지와 이미지가 담아내는 현실 둘 모두에 대한 비판적인 시선을 유지하기 위해 현상태를 “해체”하고 “다른 상태로 결합”해야한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소프트 몽타주는 “내재적 비판”을 “형세”를 통해 수행한다. 이미지와 이미지가 생산, 소비되는 맥락을 함께 제시하면서 다층적으로 이미지를 읽어내도록 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이미지가 현실에서 작동하는 지점이 드러나게 된다. 소프트 몽타주로 역사적인 이미지를 읽어내는 과정은 이미지가 역사 속에서 영향을 미친 지점들을 살피는 과정이며 결과적으로 이미지에 대해 또 그것이 담고 있는 역사적 사건에 대해 새롭게 사유하도록 제안한다.

파로키의 대표적인 에세이 영화 <세계의 이미지와 전쟁의 각인>은 소프트 몽타주가 이미지를 살피며 역사를 재맥락화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파로키는 우선 이미지의 역사를 재맥락화한다. 예술 영역에만 국한된 이미지의 역사가 아닌 비교적 덜 알려진, 하지만 막강한 영향력을 발휘해 온 과학과 전쟁의 도구로서 이미지의 역사에 주목하는 것이다. 각각 “주관주의”적이고 “객관주의”적인 시선을 발동시키는 이미지의 변증법적인 역사를 살펴보면서 파로키는 이미지 생산과 분석의 작업을 “이미지의 처리 과정에서 현실의 처리 과정으로 재조정”하고자 한다. 이러한 전환은 관객의 참여로 완성된다. 파로키는 이미지를 재프레이밍하고 이미지와 내레이션의 불일치를 드러내는 소프트 몽타주를 통해 우리의 시선을 유도하고 제한하는 또 다른 이미지의 작동 과정을 관객 스스로 인지하게 만든다. 이는 이미지가 현실에서 작동하는 과정을 비판적으로 거리두면서 사유할 수 있도록 한다. 소프트 몽타주는 관객들로 하여금 이미지에 대한 사유를 통해 각자의 위치에서 영화에서 제시된 역사적 사건을 다시금 바라보게 한다. 그리고 재인식된 이미지를 통해 각자가 위치한 현실까지도 새롭게 바라보게 만든다. 소프트 몽타주로 이미지의 고유성을 살피는 과정은 세계를 재조직하는 개방성으로 이어진다.

이미지에 내재되어 있는 여러 의미값들을 들여다보면서 이미지가 현실에서 작동하고 현실이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접점들을 살피고, 나아가 현실에 대한 변화를 촉구하는 소프트 몽타주는 영화와 현실이 맺을 수 있는 새로운 관계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영문초록

This paper closely examines the works of Harun Farocki, a film director, media artist, and theorist, through the concept of soft montage, one of his core aesthetics. To that end, this paper defines soft montage as a concept not limited in its scope to the methodology of his later gallery installations but rather expanded to include the montage of his essay films. His films and installations have respectively taken place in theaters and art space, two spatially and systematically disparate domains. However, in order to get a better understanding of Farocki’s core aesthetic, there is a need to pay attention to his consistent concern that transcends his work on films and installations. Farocki’s continuous interest in rediscovering realities embodied in images through their configuration is evident throughout his work.

In assessing the aesthetic of soft montage that allows for the images to be seen in a new light, this paper examines the concept of soft montage with discussion of the essay by Theodor W. Adorno. The recontextualization of image, recategorization of image, and antinomy are all methodologies of the essay that represent a continual process of how soft montage examines inherent values of meaning in images through the relationship of the images. This process is not only a reflection of the image but also a reflection of the methodology of soft montage.

The concept of “immanent critique” is a particularly important concept in Adorno’s discussion of the essay. It refers to the notion of making ideas and elements confront each other to drive critical reasoning. Immanent critique is related to “Bilderverbot” or prohibition of form, an aesthetic principle set forth by Adorno who refused to create specific forms. This principle calls for the present state of things to be “deconstructed” and “reconfigured” in order to maintain a critical perspective on both the image and the reality represented by that image. Soft montage is the execution of the reasoning of “immanent critique” through a “configuration”. It is a way of differentiating various meaning of images by presenting the image as well as the context in which that image is produced and consumed. It is through this process that the images’s operating point in reality is revealed. The process of reading historical images through soft montage is effectively a process of examining the specific points in history on which those images had influence. As a result, the process prompts one to think about the image and the historical incidents that image contains in a new way.

In his essay film, Images of the World and the Inscription of War, Farocki demonstrates how the method of soft montage could be used to examine historical images and recontextualize history. First, Farocki recontextualizes the history of images. He focuses not on the history of the images that is limited to the domain of art, but on the lesser known, yet incredibly influential, history of those images used as a tool of science and war. By looking at the dialectical history of the images that elicits both “subjective” and “objective” perspectives, Farocki seeks to readjust the production and analysis of those images from “the processing of the images” to “the processing of the reality”. Such transition becomes possible with the participation of an audience. Through soft montage which reframes images and lays bare the discrepancy of images and their corresponding narration, Farocki makes the viewers take notice of operational process of the images that limits viewers’ perspective. Such process allows for one to reflect upon the images critically by keeping distance from the operational process of those images. Soft montage allows viewers to revisit the historical incidents shown in the film from their respective positions by reflecting upon the images. Through the rediscovered images, the viewers are also prompted to revisit the realities in which they are themselves positioned. The process of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image through soft montage effectively leads to the openness to reconfiguring the world.

By looking into the various values of meaning inherent in the image, examining the points of contact between the image and the reality, and demanding change in the reality, soft montage provides potential for a new kind of relationship between film and reality.

비고 : MCA-20-06